정신간호학 ADHD 간호과정 5가지
- 최초 등록일
- 2019.04.25
- 최종 저작일
- 2015.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I. 간호진단
1. 충동성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2. 집중력 저하와 관련된 학습 불이행
3. 분노 조절장애와 관련된 폭력위험성
4. 은둔형 생활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5. 부모님의 잘못된 훈육방법과 관련된 부모역할 갈등
본문내용
* Assessment
+ Subjective Data
- “OOO가 유치원에서 친구들이 노는데 갑자기 때리고 괴롭힌다고 담임선생님이 그러더라고요.”
- “우리아이가 유치원에서 같은 반 친구들 끼리 잘 어울리지도 못한다고 하니까 정말 걱정이에요.”
- “나는 그냥 혼자있는게 좋아요. 친구들이 나랑 안 놀아주는데 필요없어요. 혼자도 재밌어요.”
+ Objective Data
- 유치원 친구들이 지훈이가 괴롭히고 소리지르는 등 장난을 쳐서 같이 있기 싫어한다고 함.
-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걷도는 모습을 자주 관찰함.
* Nursing Diagnosis
충동성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 Expected Outcome
대상자는 간호사 및 타인과의 정상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 Nursing Intervention
+ Nursing Plan
1. 대상자의 충동을 유발하는 요소를 사정한다.
2. 충동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대상자와 함께 찾아본다.
3. 환자와 신뢰관계를 발달시킨다.
4. 대상자가 타인과 첫 상호작용 시 곁에 있어준다.
5. 간호사와 타인간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통해 환자에게 역할 모델로서 행동한다.
6. 환자에게 집단 상황을 제공한다.
7.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치료한다.
8. 노력에 대한 건설적인 비평과 긍정적 강화를 제공한다.
9. 대상자의 치료 및간호에 가족들의 참여를 격려한다.
+ Rationale
1. 충동을 일으키는 요소를 찾아 제거하여 심리적 안정을 제공한다.
2. 충동적인 상황 발생시 스스로 충동을 조절이 가능해진다.
3. 신뢰관계는 대상자의 간호에 도움을 준다.
4. 신뢰하는 사람이 옆에 있으면 정서적으로 안정된다.
5. 역할모델을 통해 대상자는 타인과의 적절한 상호작용을 학습한다.
6. 집단 상호작용을 통해 타인으로부터 긍정적, 부정적인 피드백을 학습한다.
7. 긍정적 강화는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증진시킨다.
참고 자료
강미정 외, 간호과정과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현문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