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 간호사업
- 최초 등록일
- 2019.04.16
- 최종 저작일
- 2019.03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간호사업에 관련된 내용 정리본입니다.
시험공부할 때 유용히 사용하세요
목차
1. 방문건강관리사업
2. 가정간호사업
3.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4.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사업
5.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
6.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
7. 국가 암 관리사업
8. 국가 건강검진사업
본문내용
1.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개념
1) 정의
공공 보건의료 인력이 지역주민의 가정이나 시설을
방문하여 이들의 건강증진, 질병예방 및 관리를 위해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거나 관련기관에 의뢰, 연계
함으로써 대상자와 가족의 건강관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포괄적 건강관리사업
2) 개념적 틀
(1)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건강형평성 확보 위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바움ㄴ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2) 2013년 1월부터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의
한 분야로 운영됨
2. 추진배경
(1) 취약계층을 위한 보건의료 형평성 제고
(2) 고령화사회의 도래에 대한 대응
(3) 적극적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의 필요성 증가
(4) 국민의료비 절감유도
3. 추진경과
1) 1990년: 서울시 보건소에 지역보건과 신설
2) 1995년: 지역보건법 개정, 건강증진법 제정
3) 1990-2000년: 공공근로사업 일환으로 의료사각지대
계층을 대상으로 한시적 사업 실시
4) 2001년: 방문간호사업 표준지침 개발 및 보금
전국 보건소 정규인력을 통한 방문보건사업 전면 실시
5) 2003-2004년: 대도시 방문보건사업 시범 실시
6) 2006년: 보건소 방문보건사업 활성화방안 수립
7) 2007년: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 보건소중심 실시
8) 2008년: 재가암환자관리사업,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9) 2012년: 북한이탈주민 건강관리사업 전국확대 실시
10) 2013년: 지역사회통합건강증진사업 13개 분야 중 하나로 운영
4. 방문건강관리사업의 개요
1) 사업전략
(1) 생애주기별 건강관리
- 신생아,영유아: 예방접종관리, 부모,자녀 간 상호 작용 강화 위한 정보제공 및 상담
- 임부: 스크리닝 통한 건강문제 발견, 상담, 교육
- 산부: 산욕기평가에 따른 건강관리, 정보제공, 상담
- 성인: 건강문제 및 건강위험요인별 서비스 제공
- 노인: 허약 예방 위한 프로그램 제공 및 연계
참고 자료
간호직, 보건진료직 시험대비 PASS 지역사회간호핫/ 정현 편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