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생명윤리]줄기세포 연구윤리에 대하여 찬반

"[생명윤리]줄기세포 연구윤리에 대하여 찬반"에 대한 내용입니다.
51 페이지
파워포인트
최초등록일 2019.03.18 최종저작일 2019.03
51P 미리보기
[생명윤리]줄기세포 연구윤리에 대하여 찬반
  • 미리보기

    목차

    1. 선정근거
    2. 줄기세포 정의
    3. 줄기세포 종류
    4. 쟁점
    5. 선행연구
    6. 국내/외 사례
    7. 관련현황
    8. 쟁점 및 과제
    9. 발전방안
    10. 요약
    11. 참고 문헌
    12. Q&A

    본문내용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제1장 총칙
    제2장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및 기관생명윤리위원회 등
    제3장 인간대상연구 및 연구대상자 보호
    제4장 배아 등의 생성과 연구
    제5장 인체유래물연구 및 인체유래물은행
    제6장 유전자치료 및 검사 등
    제7장 감독
    제8장 보칙
    제9장 벌칙

    #배아의 생성 시 준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누구든지 임신 외의 목적으로 배아를 생성하여서는 안됩니다.
    ② 특정의 성을 선택할 목적으로 난자와 정자를 선별하여 수정시키는 행위를 해서는 안됩니다.
    ③ 사망한 사람의 난자 또는 정자로 수정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됩니다.
    ④ 미성년자의 난자 또는 정자로 수정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됩니다. 다만, 혼인한 미성년자가 그 자녀를 얻기 위하여 수정하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⑤ 누구든지 금전, 재산상의 이익 또는 그 밖의 반대급부를 조건으로 배아나 난자 또는 정자를 제공 또는 이용하거나 이를 유인하거나 알선하여서는 안됩니다.

    참고자료

    · 이상만(2018.03.27).의학신문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80454
    · 김선영(2017.07.17).브릿지경제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707170 0423
    · 우경임(2011.01.13).동아일보 http://news.donga.com/3/all/20110113/33900908/1
    · 임우진.(2018. . ).메디컬투데이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20370
    · 지용준(2017.09.14).메디컬투데이 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295629
    · 엄영지(2013.04.08).청년의사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1273
    · 임우진(2018.05.09).메디컬투데이http://www.mdtoday.co.kr/mdtoday/index.html?no=320370
    · 최종수 (2013.06.17).아시아경제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61714314081983
    · 이해영(2016.12.07).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61207067300009?section=search
    · 박정미(2018. 3. 6).트리니티메디컬뉴스 http://mdtrinity.com/news/view.php?idx=1294
    · 정우용(2017.12.18). 의학신문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74619
    · 오애리(2018.05.03).뉴시스http://www.newsis.com/view/?id=NISX20180503_000 99216
    · 이성철(2013.05.16).SBS뉴스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787758&plink=OLDURL
    · 이영완(2018.04. ). 조선일보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1/2018040101789.html
    · 윤신영(2018.10.12).동아사이언스http://news.donga.com/3/all/20181012/92363008/1
    · 최성우(2005.6.13).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41887.html
    · 전자영(2010).줄기세포연구에 대한 법적 규제.숙명여자대학교 https://academic.naver.com/article.naver?doc_id=38445092
    ·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정보포털 http://www.irb.or.kr/menu01/RegulationTarget04.aspx
    · 궁금한 일요일 장영실쇼 https://tv.kakao.com/channel/2653447/cliplink/300069524
    · 송기원(2017.10.21).연세대학교.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73 6#09T0
    · 한국줄기세포학회(2017.12.21) http://www.ksscr.org/rang_board/list.html?num=945&code=rnd
    · 공성윤(2018.07.16). 시사저널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176430
    · 김종화(2018.03.18).아시아경제http://cogib.tistory.com/53?category=701562
    · 오철우(2018.01.01).한겨레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825792.html
    · 김지섭(2018.10.31).이데일리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18&aid=0004239118&sid1=001
    · 김충열(2017.04.10).브레이크뉴스 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503336&section=sc1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http://gsph.yonsei.ac.kr/postgraduate/subject/International_Health/medical_ethics/intro_subject/
    · 문성학(2010.10).정창록 수록지: 哲學論叢. 제62집 제4권. pp.85-110
    · 박문각,[네이버 지식백과] 줄기세포 (시사상식사전)
    · 황상익(20 ).형사정책연구 제 13권 제 3호 통권 제 51호. pp.25-51
    · 이향연(2018). 학위논문(박사)-경북대학교 대학원http://dcollection.knu.ac.kr/public_resource/pdf/000000078211_20181103140900.pdf
    · 김지섭(2017.12.19).디지털 타임스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1220 101576 9001
    · 김경수(2018.05.10).내외통신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1944
    · 김효원(2018.10.17).스포츠서울http://www.sportsseoul.com/news/read/690135
    · 김미정(2018.11.11).중앙일보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6729245
    · 신현주(2015,12.12).BRIC VIEW 2015-T19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id=2445&Board=report
    · 헬스조선편집부(2013.06.17).헬스조선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6/17/20130617 268.h....
    · 이순용(2018.06.11).이데일리http://www.edaily.co.kr/news/news_detail.asp?newsId= 883126619240736
    · 송연주(2016.06.20).메디게이트뉴스http://www.medigatenews.com/news/3997558731
    · 이상목 외(2012). 줄기세포 연구와 생명의료 윤리. 아카넷. 61~74p
    · 여성건강간호연구회(2018), 여성건강간호학Ⅰ. 수문사. 94~97p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