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생명의료윤리] 줄기세포 연구 윤리

"[생명의료윤리] 줄기세포 연구 윤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43 페이지
파워포인트
최초등록일 2019.03.18 최종저작일 2019.03
43P 미리보기
[생명의료윤리] 줄기세포 연구 윤리
  • 미리보기

    목차

    01 서론
    -줄기세포
    -정의 및 종류
    -줄기세포의 장단점

    02 본론
    -최근 국·내외 사례
    -관련 현황
    -쟁점 및 발전 방안

    03 결론

    본문내용

    선정근거

    처음 조원들 의견은 안락사를 하자는 의견이 많았지만 다른 조와 중복이 되어서 다른 주제를 찾다 보니 ‘줄기세포를 혈액과 같은 특정 조직 내에 넣으면 혈액세포로 분화하여 성장한다’, ‘줄기세포를 뇌 조직에 넣으면 뇌세포로 분화한다.’ 라는 말에 관심이 생기게 됐다.

    그저 황우석박사의 비윤리적문제로 이슈화 되었던 줄기세포 연구가 과연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이고 또한 윤리적으로 어떠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되어 선정하였습니다.

    줄기세포 정의

    기원한다(stem)에서 유래 간세포라고도 함.

    참고자료

    ·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암흑기’ 배아줄기세포, 실명환자 치료로 빛을 보다”. 조선 일보. 2018.
    · http://m.biz.chosun.com/svc/article.html?contid=2018040101789&Dep0=www.google.co.kr&utm_source=www.google.co.kr&utm_medium=unknown&utm_campaign=biz
    · 송영록 기자. 네이처셀, 중증 버거병 환자 5명, 줄기세포 치료 후 혈관재생 등 효과 확인”. 이투데이. 2016.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384751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18&aid=0003632336
    · http://www.biostar.co.kr/2016/09/중증-버거병-환자-5명-줄기세포-치료-후-혈관재생-등-효/
    · 조인우기자.“피부 80% 잃은 시리아 소년, 줄기세포로 만든 피부로 "새 삶"”.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2017.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1109_0000142779
    · “하마드 이야기”. Parent’s Guide to Cord Blood. 2018.
    · https://parentsguidecordblood.org/en/news/hamads-story
    · 김철중 기자. “오사카 줄기세포 병원 가보니… 환자 90%가 한국인”. 조선일보. 2018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5/05/2018050500092.html
    · “'줄기세포 치료' 받은 그 소년은 왜 암에 걸렸나?”. 프레시안 뉴스. 김윤나영 기자. 2014.
    ·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19595
    · 남도영 기자. “중·일은 속도내는데… 규제장벽 막힌 국내 줄기세포 연구”. 디지털 타임스. 2017.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9&aid=0002406059
    · 이성규 기자. 노인 실명 '황반변성'…줄기세포로 빛 본다”. YTN science. 2018.
    · http://science.ytn.co.kr/program/program_view.php?s_mcd=0082&s_hcd=0010&key=201804051329522112
    · 줄기세포 UCC
    · https://www.youtube.com/watch?v=DxnzgFyHGjg
    · 남청, 곽한식 공저. (2016) 생명의료윤리. 파주: 정민사. p124-125.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한국줄기세포학회>
    · http://www.nifds.go.kr/nifds/upload/Stemcell.pdf
    · <The Science Times>
    ·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A4%84%EA%B8%B0%EC%84%B8%ED%8F%AC%EC%97%B0%EA%B5%AC%EC%9D%98-%EC%97%AD%EC%82%AC
    · https://netpilgrim.tistory.com/431
    · 장인선 기자. “알아두면 유용한 줄기세포치료 의학상식” 경향신문. 2017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703241352002
    · 이재웅 기자. “美연구진, 체세포 복제방식 인간배아줄기세포 추출 성공” 동아닷컴 2014
    · http://news.donga.com/3/all/20130517/55215237/1
    · 변지민 기자.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동아사이언스. 2017
    · http://dev-dongascience.donga.com/news.php?idx=15832
    · <대한의사협회지>
    · https://synapse.koreamed.org/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4-450.pdf
    · 이용권 기자. “성체줄기세포란”의학 신문. 2006
    ·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09463
    · 줄기세포 관련 법
    · <국가법령정보센터>
    ·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99534&efYd=20171212#0000
    · 박으뜸 기자. “‘줄기세포치료제` 잠재성은 과연‥나라별 정책 `천차만별`” 메디파나뉴스. 2018.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21825&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 박으뜸 기자.“'재생의학' 시대 도래‥국가별 '노력'은 천차만별” 베디파나뉴스. 2018.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26156&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 줄기세포 관련 기관
    · <질병관리본부> http://www.cdc.go.kr
    · <국가생명윤리정책원> http://www.nibp.kr
    · <차바이오텍> http://www.chabio.com
    · 줄기세포 관련 선행 연구
    · 이향연(2017.12).배아줄기세포 연구의 윤리적 쟁점에 관한 비판적 고찰.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