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마트 TV 시장 동향
- 최초 등록일
- 2019.02.18
- 최종 저작일
- 2019.02
- 2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스마트 TV 시장 동향
1-1. 스마트 TV 시장
1) 스마트 TV 시장의 현황
2) 스마트 TV 시장의 향후 전망
3) 시사점 및 정책적 이슈
4) 스마트 TV에 의한 시장 변화
5) 스마트 TV의 특징 및 배경
1-2. OTT 사업자 동향
1) 국내 OTT 사업자 동향
1-3. 스마트TV와 스마트폰
1) 스마트TV 정의
2) 스마트TV 시장 동향
3) OS의 정의
4) 스마트TV의 수익모델
본문내용
□ Apple TV
- 차세대 모델로 9월1일 전격 공개한 새 Apple TV는 하드디스크를 배제한 스트리밍 전용 단말로 구성되어 있음. iTunes의 동영상 콘텐츠를 지원하는 셋톱박스 형태의 단말로 기능차원에서는 YouTube 수용, 영화 렌털 지원, 검색, AirTunes를 탑재하고 있음. Apple TV의 가장 큰 특징은 단순성으로 하드디스크 삭제로 저장 공간을 없애고, TV와 인터넷을 바로 중계하는 Plug & Play 방식으로 변경함. UI 역시 스크린에 횡으로 배치된 메인 메뉴는 다섯가지 항목으로 구성됐고, 개별 항목 바로 아래는 하위 메뉴가 세로로 나열돼 다시 각각의 해당화면으로 이어짐.
- Apple TV는 TV는 TV다워야 한다는 주장하에 하드디스크를 빼버린 이상, 이들의 성패를 가를 변수는 TV 콘텐츠임. 따라서 현재 Apple이 기댈 곳은 매스마켓에 속하는 일반 소비자의 호응으로 판단되고 있음. 한편, Apple TV의 행보에 도움을 줄 상황은 최근 미국 TV 관련 콘텐츠 공급 진영들 사이에서는 광고 매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콘텐츠 자체의 매출을 늘리려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다는 점임. 따라서 Apple은 이들의 대안형 유통채널로 주목 받을 가능성이 높음.
- 그러나 Apple의 렌탈형 서비스에 대해 근시일에 호응할 수 있는 사업자는 대부분이 지상파로 한정될 것으로 보이고, 수요자의 행태변화 측면도 불확실한 상황에 있음. 예를들어, 어린이용 콘텐츠 소비자들은 렌탈보다는 구매해 소장하는 편이 더 저렴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렌털형 서비스를 선호하지 않을 수 있음. 따라서 Apple TV는 자사 단말을 팔기 위해서 콘텐츠 진영을 향해 끊임없이 수익담보를 전제로 한 대안을 제시해야할 입장.
- 한편, Apple에게 어려운 과제를 제공하는 상대는 Apple TV가 공개된 바로 다음 날에 ABC, Fox TV 프로그램을 99센트에 판매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Amazon과 같이 낮은 가격 경쟁력을 내세운 기업임.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