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 교육에 있어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부의 목적 중 하나는 대입이다. 입시를 공부의 궁극적 목표로 여기기 때문에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력은 OECD 국가 가운데 최상위권에 속한다. 하지만 PISA 2015에 따르면, 한국학생들의 삶의 만족도는 OECD 국가 가운데 최하위권에 위치한다. 입시위주의 학교교육으로 인해 학생들은 학교생활에서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수면시간을 줄여가면서 까지 학교공부에 매진하고 있다. 계속되는 입시위주의 공부로 인해 학생들의 스트레스가 늘어가면서, 학교폭력을 비롯한 여러 사회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학생들이 행복한 학교가 교육계의 핵심 키워드로 떠오르게 되었다.
세계적으로도 학업위주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의 행복과 잠재능력 중심의 변화에 주안점을 두는 것이 하나의 흐름이다. 학생들의 행복에 대한 고민이 많아지고, 학생을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 접근방법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의 잠재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도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다. 자유학기제는 이런 세계적인 트렌드와 우리나라의 무너진 학교교육을 되살리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입시위주의 교육을 타파하고, 시험이라는 삭막한 평가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꿈과 끼를 내세울 수 있게 만드는 교육이 자유학기제가 내세우는 핵심적인 내용이다.
교육부는 2013년에 시범운영을 시작했고 2016년에 전면적 도입으로 전 중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시범도입을 포함해 햇수로 4년 차에 접어든 지금 자유학기제가 우리 학교현장에 잘 정착했다고 말하기에는 지필고사를 대체할 평가방법의 논의 부족, 지역별 진로교육 편차, 일반학기와 연계의 어려움, 교사의 업무 과중, 사교육비 증가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 문제들을 분석하기 전에 근본적으로 자유학기제라는 제도가 현장의 목소리를 잘 반영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 교육부(2013.5.28.),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운영 계획(안),
· 교육부(2015).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안).
· 교육부(2016). 자유학기제 경험 학생의 네트워크 분석 연구.
· 교육부(2016). 2015년도 2학기 자유학기제 운영 만족도 조사 결과.
· 교육부(2016).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운영 매뉴얼.
· 권지영(2011), 교육정책 집행과정 연구–창의·인성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미래교육연구. 24(2). 97-123.
· 김나라, 방재협, 최지원(2013).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분석을 통한 한국 진로교육에의 시사점, 비교교육연구, 23(1), 147-169.
· 김달효(2015). 사례연구를 통해 본 자유학기제의 가능성과 한계, 21(5). 191-197.
· 김미진, 홍후조(2016), 자유학기제의 지속가능성과 중학교육의 정체성 탐색, 교육과정연구 34(1). 1-28
· 김안중(1998). 열린학교의 의미 탐색. 교육진흥, 11(1), 117-127.
· 김현철(2013). 자유학기제 정착을 위한 아일랜드 전환학년제 분석 및 시사점, 한국교육개발원 세계교육정책 인포메이션 1호, 현안보고 CP 2013-01-1.
· 박삼철(2013). 호주 IBPP가 한국교육에 주는 시사점: 자유학기제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세계교육정책 인포메이션 4호. 현안보고 CP 2013-01-4.
· 박휴용(2014), 교육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한 자유학기제 정책의 방향, 교육발전연구 제30권 제2호, 145-165
· 손희권(2013). 자유학기제 성공적 추진을 위한 헌법적 쟁점 분석, 교육법학연구, 25(1), 151-180.
· 신철균, 황은희, 김은영(2015)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6(3). 27-55
· 신철균 박민정(2015).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세 학교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3(1). 323.
· 신철균, 박민정(2017). 자유학기제 연계 양상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사례 연구: 교사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34(1). 213-215.
· 신철균, 김은영, 황은희, 송경오, 박민정(2014). 중학교 자유학기제 정착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신철균, 김은영, 황은희, 송경오, 박민정(2015). 자유학기제 운영 개선 방안 연구: 일반 학기와의 연계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여지영, 채선미(2016). 중학생의 자유학기제 경험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698-709
· 이병환, 임영희, 권민석(2015). 교육공동체 의견 조사에 기초한 자유학기제의 안정적 정착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13(2). 103-126
· 이상은(2015), 자유학기제로 인한 교육과정 변화동향과 쟁점 분석, 교육발전연구. 31(1). 53-77
· 이용순(2017). 자유학기제 참여 학생과 미참여 학생 간 비교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7)
· 이은화, 신상명(2016), 자유학기 집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직무행태 분석 13p, 교육행정학연구. 34(3). 1-24
· 이지연(2013). 「進路」중심 자유학기제 도입의 타당성과 향후 과제, 진로교육연구. 26(3), 1-22.
· 이재창, 홍후조, 김미진, 임재일(2014). 자유학기제 연구학교의 수업과 교육활동의 특징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8(4). 1142-1143
· 임종헌(2016), 자유학기제 운영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양가성 현상의 발견과 의미, 교육행정학연구. 34(4). 99-128
· 장현진, 이지연, 윤수린, 이윤진(2014a). 진로탐색 중심의 자유학기제 성공요인 및 지원 방안. (연구보고 2014-20).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장현진, 정윤경, 김나라, 임건주(2014b). 자유학기제 학생 체험 인프라 확충 방안. (연구보고 2014-27).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정영근, 민용성, 변희현, 김용명, 설현수, 임지연, 장현진(2015). 중학교 자유학기 교육 과정 실행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지은림, 원효헌, 민경석, 손원숙(2014). 중학교 자유학기제 평가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최상덕, 신철균, 박균열(2013). 자유학기제 실행 방안.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한국교육개발원(2015). 2015년도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사례연구 종합보고서.
· 한국교육개발원(2017). 자유학기제 확대 발전 방향 탐색을 위한 포럼 자료집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2), 질적연구자료분석방법의 다양성 이해, 취약계층 아동·청소년 종단조사 III 제2차 콜로키움 자료집
· 홍창남(2016). 자유학기제 운영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3(2), 166.
· OECD (2017). PISA 2015 Results: Overviews: STUDENTS’ WELL-BEING – Performance at school and life satisfaction (Volume III, Revised edition, April 2017). PISA, OECD Publishing.
· Shahar, T. B. (2007). Happier : learn the secrets to daily joy and lasting fulfillment, 노혜숙 역 (2007). 해피어. 서울: 위즈덤하우스.
· 김경근(2016.02.29.), “교육정책의 실패가 잦은 이유”, ifs POST, http://www.ifs.or.kr/bbs/board.php?bo_table=NewsInsight&wr_id=70
· 남보라. “자유학기에 놀기만 한다? 학업성취도 되레 높아져요”. 한국일보. 2016.09.29.
· 내년 자유학년제 도입... 도농 인프라격차, 학력저하 우려 숙제, <한국교육신문>, 2017.02.28. 16:38:48, http://www.hangyo.com/news/article.html?no=80128 (2017/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