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과제 케이스 스터디 / case study / 심근경색 / STEMI / ER / 간호진단 3개 / 1. 심근 조직 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환기 관류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3. 인슐린 분비 저하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 / STEMI / MI / 심근경색 / 성인간호학 / 응급실 / ER / 간호학과
- 최초 등록일
- 2018.11.29
- 최종 저작일
- 2018.10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1. 심근 조직 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환기 관류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3. 인슐린 분비 저하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
A+ 과제입니다! 교수님께 칭찬 들은 과제이며, 피드백 듣고 다 고친 간호과정입니다.
정말 후회하지 않을 것 입니다! 표 또한, 색상까지 넣었고 예쁘게 꾸몄습니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이론적 근거 有)
간호계획 및 간호중재 5개~8개
목차
1. 심근 조직 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
2. 환기 관류 저하와 관련된 가스교환 장애
3. 인슐린 분비 저하와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
본문내용
간호진단
#1. 심근 조직 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
합리적 근거
⦁심장질환의 기본 증상인 흉통 또는 불편감은 관상동맥질환, 심낭염, 대동맥박리증 등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의 가장 주요한 증상은 흉통인데, 심근에 혈류공급이 충분하지 못 하여 나타난다. 흉통은 가슴, 상복부, 턱, 등, 팔 등으로 방사될 수 있다. 심근경색의 통증을 흉골하부의 압박감으로 나타나며, 왼팔과 등, 턱으로 방사되고 원인 없이 아침에 나타나기도 한다.
간호목표
목 표 대상자는 통증이 사라진다.
기대결과
① 대상자는 30분 이내 NRS 통증사정 결과, 1점 이하로 감소한다.
② 대상자는 30분 이내 통증이 사라졌다고 언어적으로 표현한다.
간호계획
1. 통증을 사정한다.
(시작부위, 위치, 방사부위, 강도, 기간, 완화·악화요소)
2. 대상자의 V/S을 측정한다.
3. 대상자에게 EKG를 적용하여 monitoring한다.
4. 처방된 진통제 (Morphine) 를 투여하고 대상자의 반응을 관찰한다.
5. 처방된 Aspirin을 투여한다.
6. 대상자의 심장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좌위를 취해준다.
7. 처방된 산소요법을 적용하고 산소를 투여한다.
8. 처방된 진단검사를 실시한다.
(혈액검사; 심장효소검사, ABGA 등 | X-ray | CAG 등)
이론적 근거
1. 가장 중요한 증상을 흉통이다. 흉통은 가슴, 상복부, 턱, 등, 팔 등으로 방사될 수 있다. 통증이 있다면 0~10까지의 척도를 이용하여 강도를 측정한다. 통증의 양상은 조이는 느낌, 타는 듯한 느낌, 압박감, 상복부 불편감 등으로 나타난다. 통증의 시작부위, 위치, 방사부위, 강도, 기간, 완화요소, 악화요소 등을 파악한다.
2. 급성통증 대상자는 혈압, 심박수, 체온이 상승될 수 있고 피부는 창백하거나 만지면 축축할 수도 있다.
3. 심근이 허혈, 손상, 경색이 되면 심전도의 변화를 가져온다.
참고 자료
조경숙, 김희경 외 | 성인간호학(상) | 제6판 | 현문사
전시자, 김강미자 외 | 성인간호학(하) | 제5판 | 현문사
조경애·박형숙 외 | 최신기본간호학(하) |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