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cu RDS 케이스 스터디
- 최초 등록일
- 2018.11.17
- 최종 저작일
- 2018.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slrspdlad (본인인증회원)
6회 판매

목차
1. 문헌고찰
1) 원인 및 유발요인
2) 임상증상
3) 검사소견 및 진단방법
4) 치료
5) 간호
2. 아동간호 최신동향 분석
1) 제목
2) 출처 및 저자
3) 필요성 및 목적
4) 연구방법
5) 결과 및 의의
6) 사례연구의 적용
3. 진단적 검사 및 임상병리 검사
4. 약물요법
5. 간호 과정 사례보고서(Case Study)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 진단명 : r/o RDS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of newborn
1. 원인 및 유발요인
1) 세기관지 및 흉곽의 미숙
미숙아는 기관지가 아직 연골의 발달이 덜 되어 성인이나 만삭아보다 더 물렁물렁하므로 호흡의 주기에 따라서 기관지의 유지가 잘 되지 않고 쉽게 닫히게 되어 무기폐가 잘 발생하고 따라서 폐포의 가스 교환이 잘 되지 않을 수 있다.
2) 폐포의 미숙
폐포의 개수가 만삭아에 비하여 현저하게 적다.
3) 폐표면 활성제의 분비 저하
폐표면활성제(surfactant)의 분비가 충분하지 않은데 이는 미숙아에서 RDS가 잘 발생하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4)호흡중추의 미숙
호흡의 주기를 주관하는 뇌의 중추신경의 발달이 미숙하여 자발호흡이 약하고 재태주수가 어릴수록 무호흡증이 잘 발생하게 된다.
2. 임상증상
재태주령이 어린 미숙아일수록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한다. 신생아호흡곤란 증후군이 있는 미숙아는 호흡이 빠르고, 신음소리를 내며, 콧구멍을 벌렁이며 숨을 쉬려고 하여 심한 경우 육안으로도 청색증이 관찰된다.
<중 략>
Ⅱ. 아동간호 최신동향 분석
1. 제목 :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캥거루 돌보기에 대한 인식과 장애
2. 출처 및 저자 : 정선경, 김태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3. 필요성 및 목적 :
1) 연구의 필요성
본 연구는 대전, 충청지역 소재 대학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캥거루 돌보기에 대한 인식과 장 애정도를 조사하여 캥거루 돌보기의 임상 적용과 확산을 위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2) 연구의 목적
(1) 연구 대상자의 캥거루 돌보기 실행경험을 파악한다.
(2) 연구 대상자의 캥거루 돌보기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한다.
(3) 연구 대상자의 캥거루 돌보기에 대한 장애 정도를 파악한다.
(4)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캥거루 돌보기에 대한 인식과 장애 정도를 파악한다.
(5) 연구 대상자의 캥거루 돌보기에 대한 인식과 장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참고 자료
국립보건연구원 희귀난치성질환센터
정선경, 김태임,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캥거루 돌보기에 대한 인식과 장애, Child Health Nurs Res, Vol.22, No.4, October 2016: 299-308
신생아 중환자 간호, 병원신생아 간호사회
아동청소년간호학 실습매뉴얼, 김영혜, 권봉숙 외 3명 저, 수문사, 2009
아동간호학 각론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son 저, 김영혜 외 2명 역, 현문사, 2014
아동간호학 총론 Marilyn J. Hockenberry, David Wilson 저, 김영혜 외 2명 역, 현문사,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