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케이스-myocardial infarction case study(심근경색)
- 최초 등록일
- 2018.11.04
- 최종 저작일
- 2017.03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응급실 케이스 양식대로 쓴 케이스 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반적 정보
2. 내원 일시 및 주호소(CC)
3. 도착당시 상태
4. 응급검사 및 자료
5. 진단명
6. 이론적 고찰
7. 자료 분석과 평가
8. 응급치료 및 간호
9. 처치 후 결과
Ⅲ. 실습 후 소감
본문내용
****병원 ER에서 3주 동안 실습 중에 심혈관계 질환으로 급하게 ER을 내원하는 경우가 많았고 그 중 생명이 가장 위급한 심근경색증에 대해 알아보고 싶어서 MI에 대해 case study를 하기로 했다. MI환자는 바로 치료를 해야 하는 고위험군에 속하는 무서운 질병이며 환자 중에도 위급한 환자로 분류되고 빠른 치유가 요구된다. 심근경색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얻고 대상자의 치료방법과 간호방법을 알고 회복과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기 위해 사례 연구를 하고자 한다.
대표적으로 91세 남자 분인 김○○씨를 case study 대상으로 잡았다. 김○○씨는 쥐어짜는 듯한 chest pain이 주 증상으로 적절한 간호와 신체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환자에게 도움을 주고자한다.
1)응급검사
①EKG (심전도 검사)
②O2 Saturation Monitoring& Vital Sign
③BST
④혈액학 검사
⑤일반화학검사
⑥출혈, 혈전 검사
⑦chest x-ray(AP)
진단명
Acute Myocardial infarction→급성 심근경색
이론적고찰
질환명 - Acute Myocardial infarction(급성 심근경색)
정의
좁아져 있던 관상동맥이 혈전(피떡)에 의해 완전히 막힘으로써 심장
근육이 죽어가는 상태이다.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심근경색은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로는 통벽성 심근경색증(전층심근경색증),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근경색증(심내막하경색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는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병태생리
우관상동맥(right coronary artery)
참고 자료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2850&subIdx=2&searchCate=&searchType=&searchKey=&pageNo=&category=&category_code=&dept=&sortType=date&page=1&searchField=&searchWord=
박승정(2003). 알기 쉬운 심장병 p123~141. 가림출판사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심근경색
http://www.snuh.org/pub/infomed/sub02/sub01/index.jsp?s2_id=8&s3_id=2&s4_id=5&s5_id=1
http://www.snuh.org/pub/infomed/sub02/sub01/index.jsp?s2_id=8&s3_id=2&s4_id=5&s5_id=2
http://www.snuh.org/pub/infomed/sub02/sub01/index.jsp?s2_id=8&s3_id=2&s4_id=5&s5_id=3
http://www.snuh.org/pub/infomed/sub02/sub01/index.jsp?s2_id=8&s3_id=2&s4_id=5&s5_id=4
http://www.snuh.org/pub/infomed/sub02/sub01/index.jsp?s2_id=8&s3_id=2&s4_id=5&s5_id=5
성가롤로 ER, EMR
이종구(2001). 심장병 알면 이길 수 있다 p79~95. 중앙생활사
정형재 외(2015). 알기쉬운 인체병리학 p215~217. 정담미디어
조경숙 외(2016). 성인간호학 상권 p678~705. 현문사
KIMS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