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심근경색 케이스 A+ 내용충실+칭찬받음 (간호진단, 과정 1개)
- 최초 등록일
- 2020.07.25
- 최종 저작일
- 2007.04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급성심근경색 케이스 A+ 내용충실+칭찬받음 (간호진단, 과정 1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문헌고찰
Ⅱ. Case study report (ER)
Ⅲ. 결 론
본문내용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심근경색
1.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의 폐색으로 심근으로의 혈류가 갑자기 차단되어 심근에 괴사를 일으키는 질환으로써 죽상경화증의 가장 심각한 합병증의 하나이다. 흔히 이를 심장발작(heart attack)이라 한다.
2. 원인
관상동맥 내강의 죽상경화증으로 인한 죽상반이 점차 커지다가 결국 파열되면서 내용물이 협착된 혈관내로 쏟아지고, 이로 인해 생성된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 내강이 완전히 폐색됨으로써 그 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을 공급 받는 심근이 괴사를 일으키게 된다.
드물게는 관상동맥의 색전증이나 관상동맥의 손상이나 혈관염 또는 수술 후 쇼크, 심한 탈수증, 저혈압 등으로 관상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감소될 때에도 발병된다.
3. 병태생리
관상동맥 폐색 후 시간이 경과되면 심근의 괴사가 오는데, 괴사층의 병리적 소견은 가장 바깥층의 허혈성 변화, 중간층의 심근 상패, 중앙부위의 완전한 괴사층을 볼 수 있다.
심근경색증은 심근의 부담을 가장 많이 받는 좌심실 전벽에 가장 흔하며 이것은 좌측관상동맥의 하행가지의 폐색으로 온다. 다음은 좌심실의 후벽과 승모판막의 후측부위와 횡격막에 닿는 부분이다. 좌심실 후벽의 경색은 우측 관상동맥과 좌측 관상동맥의 회선가지의 폐색으로 온다.
4. 증상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1/3은 발병 1~4주전에, 2/3는 1주 이내에 협심증의 증상을 경험 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50%는 협심증 병력이 있으나 50%는 병력 없이 갑자기 발생된다.
심근경색증 환자의 전형적인 증상은 심한 흉통과 심장의 펌프기능 장애로 인한 심인성 쇼크, 폐수종에 의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것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임상적 양상을 달리한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가장 중요한 증상 또한 흉통이다. 흉통의 발생부위는 대부분이 흉부 중앙부위이며 양쪽 가슴에 격렬하고 쥐어짜는 듯한 심한 분쇄성의 흉통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