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질환
- 최초 등록일
- 2018.10.01
- 최종 저작일
- 2018.10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1. Spinal stenosis
2. AVN (avascular necrosis)
3. THR (Total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4. TKR (Total knee Replacement)
5. 골절(Fracture)
본문내용
1. 척추의 해부, 생리
척추
- 척추 뺘, 디스크, 인대, 근육, 신경의 다섯 가지로 구성. 경추와 요추는 전만을, 흉추는 후만을 이루면서 신체를 지지하며 평형을 유지한다. 척추의 전방부는 상, 하 척추의 추체와 그 사이에 있는 추간판으로 구성되며 70%의 체중을 감당하고 쇼크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부는 척수 등 신경구조물을 보호하는 추궁판과 척추경이 있고 근육과 인대가 부착되는 극돌기 및 횡돌기로 구성되며 30%의 체중을 부담한다.
추간판 : 디스크
- 연골단판, 섬유륜과 수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체의 쇼크를 흡수하고 척추에 가해지는 힘을 분배한다.
<중 략>
2. 증상
(1) 모든 환자에게서 만성적인 요통
(2) 신경성 간헐적 파행 (Neurogenic Intermittent Claudication : NIC)
- 대표적인 특징. 보행 시 하지에 이상한 통증이나 저린 감각, 둔한 감각, 또는 운동 마비 증상이 악화하여 앉았다 쉬어 가야하는 증상. 누워 있거나 쉬면 증상이 없다가, 서거나 어느 정도 걸어가면 하지에 표현하기 어려운 이상한 통증이나 저린 증상 발생. 결국 가다가 쉬고, 가다가 쉬고 하는 간헐적 파행이 발생.
(3) 요통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한쪽이나 양쪽(60%) 하지통증.
(4) 걸을 때 앞으로 구부리는 자세, 둔하고 자주 넘어짐
(5) 소, 대변 기능 장애
(마미증후군 : cauda equina syndrome)
<중 략>
3. 치료
(1) 보존적인 치료
- 약 3주에서 3개월 동안의 물리치료, 자세 교정, 견인술, 약물 요법(소염제, 진통제, 근이완제) 허리 강화 운동, 교정 치료, 보조기 착용(약 6주간), 신경 차단 치료 등의 보존적인 치료로 시작하게 되며, 대부분은 이와 같은 치료로 호전된다.
(2) 수술적 치료
- 매우 천천히 spinal canal이 좁아져 신경이 충분히 적응하고 있기 때문에 증상이 심하지 않으면 수술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보존적인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고 서 있거나 걷는 것이 심하게 제한되는 경우는 수술적인 치료가 필요하게 되며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수술이 필요하게 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