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론
- 최초 등록일
- 2018.09.10
- 최종 저작일
- 2010.04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없음
본문내용
던 디자인의 등장배경 - 사회모순과 과학의 진보
선구자 : 영국/헨리콜 / 미술공예운동-모리스
①신분제도의 붕괴-신분보다 개인의 능력중시
②종교적 권위실추-풍속을 따르는 가치관의 발전
③사회 구성원의 변화-직업이동빈번/도시의
공장지대화로 도시로의 인구집중
④이성지상주의 확립-기계론적 세계상, 토착적 가치관의 해제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등장함
빅토리아 여왕시대 특징 - 대영제국
①민주주의 발전②제국주의 확장③과학발달
④물질주의 팽창⑤종교적 회의
산업혁명의 공업화로 인해 수공업적 전통 파괴
직공길드 쇠퇴 - 존 러스킨- 고딕리바이벌 외침
수정궁 출현-만국산업대박람회(30만장의 유리와철)
추진: 알버트공 헨리콜 / 설계 :조경가 조셉팩스톤
내부인테리어: 오웬존슨
목적: 모든나라의 산업제작물을 모아 전시하는것
내용: 관심은 공업제품에 쏠렸으나 전시품은 대부분
장식이 요란한 물건과 수공예품이었다.
물건에 장식-값비싼 물건처럼 보이게 하는 수단
당시 영국에서는 기계제품-싼게 비지떡이라는 말이 유행
러스킨과 모리스도 이런 기계화 현상을 비난했다
모리스와 공예운동-근대디자인의 출발점
공예운동의 발단배경 : 레드하우스 제작을 통해 전전한 공예활동을 통해서 생활에 만족 할 수 있다는 이상이 실현되었음.
레드하우스를 만든 경험. 즉 자기에게 필요한 물건은 자기가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상용한다는 체험이 미술공예운동의 발단이됨 / 또한 러스킨의 사상접함
중세 주의자 존 러스킨의 사상- 예술가와 직인이 미분화 상태에 있으므로 창조와 노동을 같은 수준에 맞추면 사람들이 매일 노동에 대한 기쁨을 느낄 수 있다.
모리스의 사상 - 근대디자인의 시조
①공예활동 통해 전전한 공예활동을 통해서 생활에 만족 할 수 있다
②기쁨을 빼앗는 기계생산을 악으로 여기는 것
③산업혁명이 불러일으킨 어리석은 기계사회이며 빈부차가 극심한 산업시대
④물건을 통해서 풍요로운 공동체를 만들고 싶다는 이상 / 모순점
모순점 : 중세풍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정성을 들인다면 모리스의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