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품 현황 및 무역전략
- 최초 등록일
- 2018.09.09
- 최종 저작일
- 2018.09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목차
1. 수출품 현황 및 무역전략
1) 우리나라 수출품의 고부가가치화 현황과 과제
2) 미국의 무역구조를 통해 본 우리의 對美 무역전략과 시사점
본문내용
(시장점유율) 2000년 이후 중국 등 신흥국들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상승하는 반면 주요 제조업 선진국인 미국, 독일, 일본의 경우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
○ 한국은 수출시장 점유율이 정체된 반면 중국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중국이 우리 주력 산업 대부분에서 빠른 속도로 추격해 옴. 이는 최근 한국 수출 둔화의 주요인으로 작용
○ 2015년 기준 한국과 중국 간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을 비교해 본 결과, 수송기계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에서 중국이 한국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남
이제 우리 무역은 세계 경제의 장기 저성장 및 무역구조 변화 속에서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인 면에서도 저부가가치에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노동집약적 제품에서 자본·기술집약적 제품으로 성장 목표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할 시점에 도달
○ 수출 고도화 지수를 활용하여 제조업 선진국인 독일, 일본, 미국과 신흥 제조업 강국인 중국, 그리고 한국의 수출상품 고도화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 시사점을 제시코자 함
□ 우리 수출품의 상대적 고기술·고부가가치화 수준 평가를 위해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제조업 강국 및 신흥 제조업 강국인 중국과의 주요 품목별 수출 고도화 지수 비교 분석 실시
○ PRODY Index(특정 수출 품목의 고도화 정도)는 소득이 높은 국가에서 많이 수출하는 품목일수록 높게 나타나며, EXPY Index(개별 국가의 수출 고도화 정도)는 PRODY Index가 큰 품목을 많이 수출하는 국가일수록 높게 나타남
○ 다른 나라와의 상대적인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2010년 전 세계 수출 고도화 지수(EXPY Index)를 기준으로 지수화
1) 주요 경쟁국과의 수출 고도화 지수 비교
(전체) 한국의 수출 고도화 지수는 전반적으로 경쟁국에 비해 낮은 수준이나, 정체 내지 하락세를 보인 주요 선진국(미국·독일·일본)과는 달리 완만한 상승세 시현
○ 2015년 한국 수출 고도화 지수는 231.7로 2010년(218.0)대비 상승
- 독일(’15년 기준 285.0), 일본(277.5), 미국(272.8)보다는 낮지만 중국(219.8) 보다는 높음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