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희 (2010). 유치원에서 매일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강정하 (2008). “과학적 창의성과 예술적 창의성: 지식의 성장으로서의 창의성에 대한 사례연구 및 과학적 창의성의 타당화”.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교육부 (1995).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집 1. 총론. 서울: 국정교과서 주식회사.
· 교육부 (2000).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 교육과학기술부 (2008).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해설.
·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10년 12월 17일 청와대에서의 ‘2011년 업무 계획’보고에서 의 창의적인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초 중등 STEAM 교육 강화 발표.
· 권순범, 남동수, 이태욱 (2011). STEAM기반 교육용 로봇 활용 초등학생 대상 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 컴퓨터 정보 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 집. 19(2), 221-224.
· 권영례, 박영충 (1997). 수학·과학 통합 활동이 창의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연구, 2(1), 121-16.
· 권지연 (2001). 유아 과학 교육의 문학적 접근 방법에 관한 연구. 건국 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김경미, 김현주, 송현숙 (2002).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 김균형 (2002). 연극의 교육적 사용방법에 대한 연구. 연극 교육연구, 7, 5-44.
· 김면성, 장현오 (2008). 동화를 활용한 교육연극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47(1), 1-25.
· 김미경 (1997). 발견중심 유아과학교육. 서울: 교육아카데미.
· 김미숙 (2005). 그림책을 활용한 과학 통합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과정기술 및
·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민정, 김민진 (2009). 반복적 그림책 읽기 방식이 유아의 읽기 태도와 이야기
· 이해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3(4), 27-50.
· 김선아 (2012). 동화를 활용한 유아과학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신곤 (2009). 구성주의 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 보육학, 57, 53-73.
· 김은미 (1996). 동화 만들기 활동경험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정미 (2003). 과학관련 동화를 통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정은 (2001).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 수행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정주 (2007). 문학을 통한 통합적 접근법에 의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 보육학, 50, 229-252.
· 김정주 (2008). 동화를 통한 통합적 교수학습 방법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 표현력 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 17(2), 125-136.
· 김진수 (2008). 기술 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9.
· 김효정 (2005). 통합적 동극 활동이 유아의 언어 이해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나지연 (2005). 과학 연극 수업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춘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문미옥, 신현옥, 김영숙, 류칠선 (2000).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교문사.
· 민병욱 (2000). 교육연극의 기본원리, 민병욱 · 심상교(편), 교육연극의 이론과 실제 (PP49-76). 서울:연극과 인간.
· 박두란 (1999). 과학 동화가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상희 (1990). 이야기 내용에 대한 질문 방식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박선홍 (2007).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기초한 물에 관한 과학 활동에서 나타나는
· 유아의 개념이해와 태도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예원 (2008). STS 과학 프로그램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 개발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은선 (2010). 과학연극을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과
·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박현선 (1996). 그림을 통한 문제해결 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 표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배소정 (2002). 문학적 접근에 의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보건 복지부 (2007). 표준교육과정.
· 서은정 (1993). 유치원 아동의 이야기 꾸미기와 독서환경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서주연 (1997). 유아과학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통한 그림책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송배란 (2002). 통합적 접근에 의한 물리적 지식 활동 경험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서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송정범, 이태욱 (2010).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학업성취,교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보교육학회, 15(1), 11-22.
· 송순임 (2002).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창의력과 언어표현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은수, 안경숙, 유윤영 (1999). 통합적 접근에 의한 영유아 과학교육. 서울: 다음세대.
· 신재정 (2000). 역할놀이 학습이 아동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경숙 (2003). 유아 과학 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덕성여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양병란 (2007). 그림책을 통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여상인, 최영신, 임희준 (2008). 과학 연극이 초등학생의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 과학교육, 27(4). 328-340.
· 오채선 (2007). 유아교육기관 극놀이의 현장적용 한계와 가능성. 교육인류학연구, 10(2), 65-99.
· 옥영희 (2008). 표현활동과 탐구활동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질적 연구: 인지 중심유아 미술활동의 현상학적 접근. 조형교육 , 32, 275-305.
· 유준희 (1993). 과학역할놀이와 공연. 관악사.
· 윤정희, 나귀옥 (2006). 유아과학교육의 문학적 접근을 위한 과학그림책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3), 137-1.
· 윤혜경 (2007). 과학 연극 활동이 과학 실험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 초등 과학교육,26(3), 260-266.
· 이경우, 이정환 (1989).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 이경우, 장영희, 이차숙, 노영희, 현은자 (1997). 유아에게 절절한 그림책-유아도서 추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양서원.
· 이경민 (2004). 유아과학교육. 정민사.
· 이경우, 이정환 (1989). 유아를 위한 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 이경화, 이성숙, 김경화 (2010). 유아 언어 교육. 고양: 공동체.
· 이기숙, 조경자, 채종옥, 김소양 (1992). 유아교육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2, 91-112.
· 이대균, 임자영 (2007).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표현력, 그림 표현력,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 유아교육연구, 12(6), 99-122.
· 이순덕 (2004). 동화를 활용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은진 (1999). 그림책에 기초한 통합적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일련 (1998). 극화활동이 4, 5세 유아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지연 (1999). 협동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영향.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현옥, 박정선 (2009). 영유아 교수방법론. 고양: 공동체.
· 임부연, 손은경, 오정희 (2010). 예술통합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이
· 유아의 창의성이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 보육학, 65, 37-57.
· 정남미 (1996). 사회적 역할놀이가 유아의 말하기, 듣기, 쓰기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정동환, 정원주 (2004). 유아의 어휘력을 높이기 위한 통합적인 언어프로그램-연극놀이 중심으로. 한말 연구 학회, 15, 267-284.
· 정옥주 (1997). 동화를 통한 탐구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유진 (2009).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선서학위 논문.
· 조민아 (2007). 과학연극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조형숙 (1999). 예비교사를 위한 탐구중심 과학교육 수업의 효과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19(2), 227-245.
· 조형숙, 김선월, 김지혜, 김민정, 김남연 (2010). 삶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찾아가는 유아과학교육. 서울: 학지사.
· 지성애, 김낙흥, 심현정, 이상미, 심재연 (2009). 미술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 과학적 탐구능력, 과학적 태도, 공간능력 및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3(5), 307-330.
· 지성애, 박찬옥, 홍혜경, 김희정, 박유영, 문신혜 (2008) 동화에 기초한 과학극화
· 놀이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과학적 태도 및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2(6), 127-152.
· 차금선 (2003). 동화를 활용한 극화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언어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채미영 (2003). 유아용 이야기 꾸미기 활동평가 준거 개발. 한국 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최계숙, 김영중 (2005). 동화를 통한 극화놀이가 유아의 어휘력과 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제주관광대학 논문집, 11, 53-73.
· 최순혜 (2005). 동화의 후속이야기 짓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표현력 및 언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은경 (2001). 문학을 통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흥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최인숙 (2001). 과학 주제 중심 통합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6(3), 1-26.
·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정책네트워크 연구실). 2011년 5월 19일자 PISA 과학 분야 관련통계.
· 한국유아교육학회 (1996). 유아교육사전: 용어편. 서울: 한국어사전 연구사.
· 한유미 (2010). 유아과학교육. 서울: 창지사.
· 황의명, 조형숙 (2005). 탐구 능력 증진을 위한 유아과학교육. 서울: 정민사.
· 황은숙 (2009). STS 프로그램에 기초한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 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정숙 (2009). 과학연극 수업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황정현 (2009). 창의력 사고력 계발을 위한 교육연극 이론과 실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 홍정화 (2005). 유아를 위한 STS 접근 방법의 적용 탐색.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 Akerson, V. L. & Flanagan, J. (2000). Preparing preservice teachers to us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science and language arts instruc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4), 345-3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