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선교지 신학교육(제한지역 중심으로)

"선교지 신학교육(제한지역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1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8.07.09 최종저작일 2018.04
14P 미리보기
선교지 신학교육(제한지역 중심으로)
  • 미리보기

    목차

    1. 서론
    2. 선교사들이 선교지에서 운영하는 신학교

    3. 현지교회의 요구 (제한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4. 신학교 사역을 위한 제안 (제한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5. 나가는 말

    본문내용


    “ 제자를 삼기위하여 가고, 제자를 삼기위하여 세례를 주고, 제자를 삼기위하여 가르치고 지키게 하라.”(마28:18-19 원어의 의미에 맞게 재해석)

    필자는 공산주의와 불교로 가득한, 전통적의미의 선교사역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지는 라오스에서 1997년부터 2013년까지 16년간 학교사역(유치원. 초등학교 설립 및 운영), NGO사역, 교회개척 사역을 펼쳐오다 2013년 말 추방을 받아 사역지를 라오스와 태국의 국경지역인 태국 의 한 지역으로 옮겨 그곳에서 라오스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신학교를 2014년부터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고 졸업생들은 현재 100% 라오스에서 사역을 담당하고 있다. 라오스에서 추방되기 전 학교사역, NGO사역을 통한 Church Planting 사역을 담당하며, Church Planting 사역의 성패는 전적으로 현지사역자의 신실성과 헌신에 달려 있음을 느끼며 달려왔고 본의 아니게 라오스에서 추방된 후 이제는 라오스 목회자를 기르는 신학교를 라오스가 아닌 태국에서 운영하면서 신학사역이 제한지역 교회의 요구와 필요에 부합하는 사역자들을 배출해 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해 나누고자 한다. 아울러 현재 한국선교사들과 GMS 선교사들의 신학교사역 현황을 함께 분석하여 이런 사례들과 정보들이 현재 혹은 추후 신학교사역을 하고자 하는 선교사들에게 사역 방향을 재고해보는 것에 이글의 목적을 두고자 한다.

    2. 선교사들이 선교지에서 운영하는 신학교

    1) 선교사들의 신학교육 현황
    (1) 한국선교사와 GMS 선교사 현황 비교
    KWMA가 조사한 2017년 12월 기준 한국선교사 파송수는 28,584명이며 이 숫자 중 이중소속 2,296명을 제외하면 실제 파송선교사는 170개국 27,436명으로 집계하였는데 이는 2015년, 2016년 동일하게 27,205명에서 소폭(231명) 상승한 수치이다. 김찬곤목사는 2017.11월 개최된 제16차 한국선교지도자포럼에서 “GMS 자기평가와 전망”이란 제목으로 Global Mission Society(이하 GMS)의 선교현황에서는 선교사의 숫자와 사역건수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참고자료

    · David J. Cho Ed, New Forces in Missions. The Official Report of the Asia Missions Association, Seoul: East-West Center, 1976. G. Edward Roffe, Laos, The Church in Asia, ed. Donald E. Hoke, Chicago: Moody Press, 1975. Hugh Taylor, Siam and Laos, New York: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1912. Michael Nai Chiu Poon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ological Education In South East Asia, Handbook of Theological Education In World Christianity", UK: Regnum Books International, 2010. Ro Bong Rin Ed, Christian Suffering in Asia, Taiwan: Evangelical Fellowship of Asia, 1989.
    · Sengdao Sompunut, "History of Lao Evangelical Church", Vientiane: LEC, 2017.
    · Silvain Dupertuis & David I. Andrianoff, The Gospel in the Land of a Million Elephants, Chiangmai: ActsCo Printing, 2013. 논문 & Articles 김찬곤,“GMS 자기평가와 전망”, <한국선교의 변곡점, 제16회 한국선교지도자포럼>, 서울: KWMA, 2017.
    · 김활영,“선교지에서의 신학교육”, <아시아신학교육저널 창간호>, 서울: 아시아신학교육협의회, 2008. ,“한국선교에서 신학교육 사역에 대한 소고”, < 2014 제6차 세계선교전략회의(NCOWE Ⅵ)>, 서울: KWMA, 2014. 장완익,“한인선교사의 신학교육 역사, 현황과 문제점 및 대안”, <아태아대학원 저널 제4호>, 서울: 아태아대학원, 2018. ,“선교지 신학교의 효과적인 운영과 협력 체제구축을 위한 지역학교연합”, <아태아대학원 저널 제3호>, 서울: 아태아대학원, 2016.
    · 2017년 12월 기준 한국 선교사 파송 현황, www.kwma.org.
    · Ford, Norm, "History of the CMA Work in Thailand", C&MA Thailand, 2001. www.thaimissions.info/gsdl/collect/thaimiss/index/assoc/HASH012e.dir/doc.pdf.
    · G.E. Roff, "CMA report, The call of indo-china 1949-1950", CMA, 1951. www.cmalliance.org/resources/archives/indo-china
    · Lao Statistics Bureau, “Population 2015 of Lao PDR", www.lsb.gov.la/en. Open Doors, “The World Watch List 2018, www.opendoorsusa.org/christian-persecution.
    · Stephen Bailey & David Andrianoff, “Laos, The Ecumenical Review", WCC, 2012. www.onlinelibrary.wiley.com/doi/abs
    · 2017년 12월 기준 한국 선교사 파송 현황 (www.kwma.org)
    · 김찬곤, “GMS 자기평가와 전망”, <한국선교의 변곡점, 제16회 한국선교지도자포럼>, 서울: KWMA, 2017, pp. 105-111.
    · 사역에 대한 소고”, < 2014 제6차 세계선교전략회의(NCOWE Ⅵ)>, 서울: KWMA, 2014, pp. 7-15.
    · 장완익 “한인선교사의 신학교육 역사, 현황과 문제점 및 대안”, <아태아대학원 저널 제4호>, 서울: 아태아대학원, 2018, pp. 41-43.
    · 김활영 “한국선교에서 신학교육 사역에 대한 소고”, p. 16.
    · ATEA 출범 초기에는 Association of Theological Education in Asia 이였으나 2014년 ATEA총회에서 명칭 변경. 9) 장완익 “선교지 신학교의 효과적인 운영과 협력 체제구축을 위한 지역학교연합”, <아태아대학원 저널 제3호>, 서울: 아태아대학원, 2016, pp. 97-105.
    · Lao Statistics Bureau, “Population 2015 of Lao PDR", www.lsb.gov.la/en/, 2018.4.14. 11) G. Edward Roffe, Laos, The Church in Asia, ed. Donald E. Hoke, Chicago: Moody Press, 1975, p. 408.
    · Open Doors, “The World Watch List 2018, www.opendoorsusa.org/christian-persecution/world-watch-list/
    · Hugh Taylor, Siam and Laos, New York: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1912), p. 10.
    · Silvain Dupertuis & David I. Andrianoff, The Gospel in the Land of a Million Elephants, Chiangmai: ActsCo Printing, 2013, pp. 15-23
    · G. Edward Roffe, op. cit, p. 408.
    · Sengdao Sompunut, History of Lao Evangelical Church, Vientiane: LEC, 2017, p.40.
    · Ro Bong Rin Ed, Christian Suffering in Asia, Taiwan: Evangelical Fellowship of Asia, 1989, pp. 183-184.
    · Silvain Dupertuis & David I. Andrianoff, op. cit, pp. 91-92.
    · Stephen Bailey & David Andrianoff, “Laos, The Ecumenical Review", WCC, 2012, pp.125-130, www.onlinelibrary.wiley.com/doi/abs
    · G.E. Roff, "CMA report, The call of indo-china 1949-1950", CMA, 1951, p. 3. 21) Sengdao Sompunut, op. cit, p. 36.
    · 김활영 “한국선교에서 신학교육 사역에 대한 소고”, p. 10.
    · Sengdao Sompunut, op. cit, p. 40.
    · Ford, Norm, "History of the CMA Work in Thailand", C&MA Thailand, 2001, pp. 1-12. www.thaimissions.info/gsdl/collect/thaimiss/index/assoc/HASH012e.dir/doc.pdf
    · 장완익, "선교지 신학교의 효과적인 운영과 협력 체제구축을 위한 지역학교연합”, p. 100.
    · Michael Nai Chiu Poon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ological Education In South East Asia, Handbook of Theological Education In World Christianity, UK: Regnum Books International, 2010, pp. 375-403.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