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태원. 「만화산업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지』, 13(2), 2015, p.20
· 김숙, 「국내 웹툰 산업이 한류 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09호(통권86호), 2014-11-14
· 김은영 외, 「한류의 현주소와 확산 방안 -인터넷 검색량 및 동호회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5-08
· 박석환, 「한국 웹툰 생태계의 활성화 방안」, 『애니메이션연구 11(3)』, 2015-08
· 오수연, 「감성적 소통의 도구, 웹툰 마케팅」, 『한국마케팅연구원』, 2011-11
· 최보람 외, 「Scroll Tracking 실험을 통해 분석한 웹툰의 연출 기법」, 『디지털디자인학 연구』, 2012
· 한상정, 「웹툰 찬가(讚歌), 이대로좋은가?」, 『플랫폼, 2015년 5·6월호(통권51호)』, 2015-05
· 한창완, 「웹툰 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한국 콘텐츠 진흥원』, 2015-06
· 한창완, 「웹툰 플랫폼의 산업적 진화와 세계화 전략연구」,『애니메이션 연구』,Vol. 11. No. 3.(특별호), 2015-08,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만화 산업백서』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만화 산업백서』
· 한국콘텐츠진흥원, 『2014 해외콘텐츠시장 동향조사』
· 한국 콘텐츠진흥원 중국 사무소, 『중국 콘텐츠산업동향』, 2013년 10호
· 구들래·남은주, 「나라밖 검은 손…웹툰 멋대로 퍼간다」, 『한겨레』, 2016-03-02
· 권현진, 「2015 중국 만화산업의 현재」, 『criticM』, 2015-09-16
· 권현진, 「중국 만화시장의 현황과 2015년의 전망」, 『디지털만화규장각』, 2015-01-27
· 김나영, 「생활 속 다양한 소재로 대학생들과 공감하는 웹툰문화」, 『동대신문』, 2014-06-09
· 김대기, 「중국 외국기업 인터넷콘텐츠 규제…한류 타격 우려」, 『매일경제』, 2016-02-22
· 김명희, 「연휴 추천 `직장인 웹툰 5선`...울고 웃는 직장인 애환 다뤘다」, 『전자신문ETNEWS』, 2016-05-05
· 김윤산, 「성장하는 중국의 만화시장」, 『KOTRA & globalwindow』, 2014-05-15
· 김준완, 「한국웹툰 中 바이두애니 통해 본토 진출」, 『아시아투데이』, 2016-05-15
· 성연철, 「명탐정 코난·세일러문 중국서 퇴출 위기」, 『한겨레』, 2015-04-09
· 손정빈, 「주호민 작가 동명웹툰 원작, 영화 ‘신과 함께’」, 『한국일보』, 2016-05-11
· 신진아, 「[단독]네이버 웹툰, 중국판 유튜브 투도우 손잡았다」, 『NEWSIS』, 2015-12-04
· 신진아, 「한국 웹툰 중국서 통할까… "게임판권료가 85억? 2차 판권이 답"」, 『NEWSIS』
· 윤보람, 「다음 웹툰 중국에 첫 선…세계시장 진출 본격화」, 『연합뉴스』, 2015-04-14
· 이가은, 「레진코믹스, 중국 웹툰시장에 진출! 큐큐닷컴, 시나닷컴, U17에 연재 개시」, 『Platum』, 2014-10-17
· 이재훈, 「주호민 작가 "뮤지컬 '신과 함께' 기대 이상의 감동"」, 『NEWSIS』, 2015-07-02
· 이창균, 「글로벌 한류, 다음은 K툰이다」, 『중앙일보』, 2016-02-03
· 정안진, 「중국 웹툰 시장 현황」, 『KOTRA & globalwindow』, 2015-01-22
· 정일주, 「다음 웹툰 40편 중국 진출, 작품 면면이...」, 『아이티투데이』, 2015-04-14
· 홍지민, 「[한국만화 명작 100선] 본지-진흥원 ‘100선 기획’ 어떻게」, 『서울신문』, 2012-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