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3. 이론적 자원 - 헤게모니 이론
Ⅱ. 할리우드와 슈퍼히어로
1. 할리우드
(1) 할리우드영화의 기능
(2) 할리우드의 성장배경
(3) 미국영화산업의 세계화 전략
2. 코믹 북 발달 ․ 전개 및 코믹 북 히어로의 영화화
(1) 슈퍼히어로 코믹 북의 발달과 전개
(2) 코믹 북 히어로의 영화화
① 스타워즈(SF 블록버스터)의 등장과 히어로 리얼리티
② 스크린 히어로의 부활
Ⅲ. 슈퍼히어로와 이데올로기
1. 미국 중심적 가치관을 자연화 하는 이데올로기
2. 남성중심주의와 여성의 주변화
3. 보수주의를 표방하는 <슈퍼맨>
4. 자본주의의 찬양과 <배트맨>
Ⅳ. 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미국에서 슈퍼히어로 등의 영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들 영화는 대부분 블록버스터 대작 영화로 제작되었으며, 상당수가 뛰어난 흥행성적을 거두었다. 북미지역 영화 흥행성적을 집계하여 발표하는 ‘박스오피스 모조(Box Office Mojo)’에 의하면, 역대 최고 인기작 11편 중 3편이 ‘~맨“ 이 등장하는 슈퍼히어로 영화이며, 2000년대 들어서 연도별 흥행 영화에서 4편의 영화가 슈퍼히어로 영화라는 점에서, 이 장르가 소비시장에서 가지는 위상과 대중문화계에 미치는 영향을 어렵지 않게 가늠해 볼 수 있다. 이런 인기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영화계 밖에서도, 슈퍼히어로는 대중문화의 산업화된 다매체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문화적 이슈를 만들며 하나의 문화현상이자 시대적 아이콘으로 기능하고 있다. 미국의 유력 일간지 ‘월 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 인터넷판은 오마바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기 전, 선거전에 나선 공화당과 민주당 양 당 후보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과 수용을 묻는 질문에 배트맨 등 슈퍼히어로에 대한 애정을 공통으로 표명했다고 보도하며, 매케인 후보는 배트맨이 “때로 도저히 이길 수 없을 것 같은 적을 제압하기 때문에” 좋아하고, 오바마 후보는 배트맨과 스파이더맨이 내면적 갈등(inner turmoil)을 가진 점을 언급했다고 소개했다(David, 2008). 이는 슈퍼히어로 장르 작품들이 일반적으로 가진, 개인적-인간적인 면과 공적-영웅적인 면의 충돌양상을 이용해 두 후보의 개인적 기호를 이들의 가치관에 투사한 보도 태도라고 볼 수 있으며, 그만큼 슈퍼히어로 장르의 성격에 대한 일반인의 보편적 관심을 방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뉴욕 타임즈(The New York Times)는 2008년 5월부터 9월까지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New York Metropolitan Museum of Art)에서 “슈퍼히어로 : 패션과 환타지(Super heros: Fashion and Fantasy)"라는 타이틀의 전시회를 개최했다고 보도했다(Horyn, 2008).
참고 자료
마크 웨이드 외(2008), 『슈퍼히어로 미국을 말하다』, 잠
김종희(2012), 『슈퍼히어로 캐릭터 성향 변화에 관한 연구 - 슈퍼맨과 배트맨을 중심으로』
강내영(2000), 『90년대 후반 할리우드재난영화의 문화제국주의에 대한연구 : 아마겟돈을 중심으로』
김기홍(2008), 『만화원작 할리우드 슈퍼히어로 영화의 장르 혼종성 연구 -2000년 이후 제작 된 작품을 중심으로』
주은우(2005), 『미국 무성영화와 국가 정체성의 형성-미국영상대중문화와 정체성 정치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제와 사회, 봄호, 통권 제 65호
Sabin Roger(2000), 『Comix & Graphic Novels Phaidon』
한창완(2013), 『슈퍼히어로』,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김승아(2014), 『슈퍼히어로 영화 캐릭터의 스타일링에 나타난 신화적 의미 분석』
조영주(2005), 『할리우드 슈퍼히어로물의 이데올로기 분석 : <배트맨비긴즈를중심으로>』, 영상예술연구, 영상예술학회, Vol.7 No.- [2005]
이용관·김지석(1992), 『할리우드: 할리우드영화의 산업과 이데올로기』, 제3문학사
김승수(1998), 『세계화 자본주의 시대의 매체산업과 매체식민론』, 한국사회언론, 10호
송낙원(2006), 『현대 미국영화산업의 패러다임에 대한 연구』
이수영(1999), 『할리우드 영화산업의 성장과정과 산업적 특성』
박스오피스 모조 www.boxofficemojo.com
Naver영화매거진 - 스페셜리포트
Naver사전 - 할리우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