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캠퍼스북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아동청소년 복지론]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부담이 부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카롱카롱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18.04.09
최종 저작일
2018.04
24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3,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본문내용

Ⅰ. 서 론

최근 장애인 복지의 주요 과제는 중증장애인의 자립생활으로,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과 부모의 양육부담을 완화시켜주기 위한 지역사회차원에서의 다양한 방법론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2014년 4월,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발달장애인법)이 제정되었으며, 이는 발달장애인에 대한 복지서비스의 핵심적인 부분들을 정책화하는 출발점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발달장애인법 제정이후 세부계획 수립 및 관련 예산조차 편성하지 않아 발달장애인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가 부재한 상태로 실효성 있는 정책이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발달장애인법의 제정으로 발달장애인 가족들은 삶의 질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였지만, 정부의 소극적이고 미온적인 태도에 오히려 박탈감, 상실감만 커졌을 뿐이다. 발달장애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검사비용의 지원, 의료비지원, 의사소통지원, 취업지원, 거주시설의 제공, 활동지원, 문화·예술 스포츠 등을 포함한 복지지원, 가족지원, 정보접근에 대한 지원, 형사·사법절차에 대한 지원 등 다방면에 이르는 정책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정책의 부재는 고스란히 발달장애인 가족의 부담으로 이어진다.
발달장애는 당사자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므로 장애인을 부양하면서 발생하는 갈등은 가정생활 및 사회생활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치료 및 교육 등 특별한 케어에 대한 장기적인 부담감, 사회적 편견, 부족한 사회 안전망 등으로 부양가족의 경제적, 정신적, 사회적 자원을 고갈시키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발달장애인은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로 분류되며, 인지능력의 미약으로 인하여 자신의 요구를 알고 그에 적절한 지원을 요구하는 데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김혜경, 2003). 이들은 다른 장애 유형에 비해서도 자립이 어려운 유형으로 지속적이고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경우가 많으며 성인이 되어서도 가족들의 지원과 유대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인다(Lloyd, Wehmeyer, & Davis, 2004). 한편, 발달장애아동을 양육하면서 부모가 겪는 정서적 어려움과 스트레스는 신체적‧정서적‧기능적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한다

참고 자료

강이주 ‧ 이영애(2010).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형태와 동거유형이 건강수준 및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9(6), 1031-1044.
김기룡 ․ 김삼섭(2012).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장애수용태도 유형별 가정환경,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핵심역량 특성. 정서 ․ 행동장애연구. 28(2). 279-304
김나영(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나영 ‧ 윤호열(2000). 정신지체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결합력.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8(7), 53-65.
김대명(2014). 생활사건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 직장여성과 전업주부의 비교. 한국교육문제연구, 32(2), 113-131.
김명 ‧ 고승덕 ‧ 김영복 ‧ 김혜경 (2014). 보건교육·건강증진 이론. 서울: 계축문화사.
김미숙 ‧ 박민정(2000). 종교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연구. 한국노년학. 20(2), 29-47.
김미옥 ․ 박현정 ․ 이은실(2016).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부담과 장애자녀에 대한 긍정성 인식의 관계: 사회참여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7(2), 309-330.
김석일(2004).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선옥 ‧ 김성훈(2014).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들간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의 차이-국공립 통합 보육시설 어머니를 대상으로-.장애아동인권연구, 5(1). 17-29.
김수정(2006). 노인의 종교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사회적 지지 및 실존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3(단일호), 29-50.
김수현(2013). 노인의 자원봉사 참여가 신체적 건강, 우울, 사회적 지지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3, 53-66.
김신열(2004). 종교 활동 참여가 미주 한인 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5, 147-168.
김예리 ‧ 박지연. (2010). 장애아동 부모들의 품앗이 부모자조활동이 양육스트레스와 가족역량강화 및 가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4, 445-465.
김용득 ․ 유동철(2001). 한국 장애인복지의 이해. 서울: 인간과 복지.
김윤희 ‧ 김진숙. (2014).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장애수용 과정. 상담학연구, 15(5), 1911-1935.
김인옥 ․ 이원령(2011). 장애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 27(1). 101-120
김정아(2003). 장애아동의 발달 연령에 따른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지연(2011). 장애아동부모의 가족여가활동과 양육스트레스.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진영 ‧ 송예리아(2012). 여가활동의 질과 건강의 관계. 보건과 사회과학, 32, 115-144.
김혜경(2003). 자기결정훈련프로그램이 정신지체고등학생의 자기규칙과 심리적역량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4(2), 87-108.
김홍록 ‧ 이광욱(2008). 여성노인의 여가활동참가와 신체적 건강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4(1), 671-680.
남연희(2001). 정신지체아동 어머니의 양육부담 경감을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문진하(2009). 뇌성마비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우울 및 양생과의 관계. 동서간호학연구지, 15(2), 127-134.
박경(2009).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17(4), 369-378.
박병선(2012). 자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호적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보건사회연구, 32(3), 485-521.
박지연 ‧ 김영란 ‧ 김남희(2010). 문제행동이 장애아 가족의 삶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의 대처방식에 관한 질적 연구. 정서· 행동장애연구, 26(3), 17-43.
백은령 ․ 김기룡 ․ 유영준 ․ 이명희 ․ 최복천(2010). 장애인가족지원. 경기:양서원
서미혜 ‧ 오가실. (1993).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3(3), 467-486.
서민정 ‧ 장은진 ‧ 정철호 ‧ 최상용. (2003).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우울감,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69-81.
설민신 ‧ 한신희 ‧ 황승숙 ‧ 김은주 ‧ 김영돈. (2000). 노인건강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서울: 학문사.
신종순 ‧ 김민희. (2006). 노인의 댄스스포츠 참여가 정서적 건강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3), 151-158.
양연숙(2007).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비교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6(1). 17-26
오가실(1997). 사회적 지지모임이 발달지연아 어머니의 부담과 안녕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7(2), 389-400.
유영준 ․ 백은령(2013). 가족중심실천이 장애아 가족의 양육부담에 미치는 영향. 한국장애인복지학, 22(22), 207-224.
윤민석(2013). 서울시 성인 발달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실태와 정책 추진방안. 정책리포트, 154, 1-17.
윤지은 ‧ 전혜정(2009).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29, 743-759.
이경학(2016).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부담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평택대학교
이경호 ‧ 강정화. (2008). 장애아동부모의 여가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47(3), 119-135.
이금진(2008).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망 지원정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1), 43-61
이선이(1995). 가정주부와 취업주부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9(2), 69-79.
이숙자 ‧ 오수성(2006).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한국상담학회. 7(1), 27-45
이정아(2016).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평가,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이한우(2002). 발달장애아동 가족지원 특성과 양육스트레스 연구. 정서학습장애연구. 18(3). 327-349
전혜정. (2004). 노년기 종교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5(단일호), 169-186.
정재권 ․ 최경숙(2001).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양육문제에 대한 대처행동 특성.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2(3). 41-64
정종화 ․ 김용성(2014). 자폐성장애인의 지역사회 케어서비스 연구-장애 어머니의 양육경험을 중심으로-. 재활복지, 18(1). 215-239
정준구(2009). 장애자녀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가족여가 및 가족기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강남대학교.
최정실 ․ 이민희(2005). 장애유형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3(3). 43-50
하수민 ‧ 윤종희(2002).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 191-200.
한수정(2010). 장애아동부모의 자조집단 활동과 부모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한국장애인개발원(2013). 2013 전국 성인 발달장애인 복지서비스 실태조사
Adamson, J., Lawlor, D. A., & Ebrahim, S. (2004). Chronic diseases, locomotor activity limita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women: cross sectional survey of British Women’s Heart and Health Study. Age and ageing, 33(3), 293-298.
Allik, H., Larsson, J. O., & Smedje, H.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school-age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or high-functioning autism.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4(1), 1.
Brodaty, H., & Green, A. (2002). Defining the role of the caregiver in Alzheimer’s disease treatment. Drugs & aging, 19(12), 891-898.
Burr, J. A., Tavares, J., & Mutchler, J. E. (2011). Volunteering and hypertension risk in later life.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3(1), 24-51.
Cantwell, J., Muldoon, O. T., & Gallagher, S. (2014). Social support and mastery influence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poor physical health in parents car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5(9), 2215-2223.
Cox, T., Leka, S., Ivanov, I., & Kortum, E. (2004). Work, employment and mental health in Europe. Work & Stress, 18(2), 179-185.
Cohen S, Herbert TB (1996) Health psychology: Psych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diseas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psychoneuroimmunolog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7(4): 113–142.
Daniel, Kim, Subramanian, S.V., Kawachi, I. (2008). Social capital and physical health–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Springer. New Yor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LLC. 139-190.
Emerson, E. (2003). Mothe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 mental health status, and the self‐assessed social and psychological impact of the child's difficul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7(4‐5), 385-399.
Emmons, K. M. (2000). Health behaviors in a social context. Social epidemiology, 242-266.
Gallagher, S., & Hannigan, A. (2014). Depression and chronic health conditions in parent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growing up in Ireland cohort stud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35(2), 448-454.
Gallagher, S., & Whiteley, J. (2013).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physical health in parents caring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moderated by children’s challenging behaviour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8(9), 1220-1231.
Hedov, G., Annerén, G., & Wikblad, K. (2000). Self-perceived health in Swedish parents of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Quality of life research, 9(4), 415-422.
Ho, A., Collins, S. R., Davis, K., & Doty, M. M. (2005). A look at working-age caregivers’ roles, health concerns, and need for support. Issue Brief (Commonwealth Fund), 854, 1-12.
Kawachi, I., Subramanian, S. V., & Kim, D. (2008). Social capital and health. In Social capital and health (pp. 1-26). Springer New York.
Koenig, H. G., Hays, J. C., Larson, D. B., George, L. K., Cohen, H. J., McCullough, M. E., ... & Blazer, D. G. (1999). Does religious attendance prolong survival? A six-year follow-up study of 3,968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4(7), M370-M376.
Leonard, B. J., Johnson, A. L., & Brust, J. D. (1993).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comparison of those managing" OK" and those needing more help. Children's Health Care, 22(2), 93-105.
Llewellyn, G., Dunn, P., Fante, M., Turnbull, L., & Grace, R. (1999). Family factors influencing out‐of‐home placement decision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3(3), 219-233.
Lloyd, R. J., Wehmeyer, M., & Davis, S. (2004). Family support. IN D. E. Broli & R. J.Loyd, (Eds.), Career development and trasition services (4th ed., pp.94-116).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Prentice Hall.
Lutgendorf, S. K., Russell, D., Ullrich, P., Harris, T. B., & Wallace, R. (2004). Religious participation, interleukin-6, and mortality in older adults. Health Psychology, 23(5), 465.
Miodrag, N., & Hodapp, R. M. (2010). Chronic stress and health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urrent opinion in psychiatry, 23(5), 407-411.
Montgomery, R. J., Gonyea, J. G., & Hooyman, N. R. (1985). Caregiving and the experience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urden. Family relations, 19-26.
Mugno, D., Ruta, L., D'Arrigo, V. G., & Mazzone, L. (2007). Impairment of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5(1), 22.
Olsson, M. B., & Hwang, C. P. (2008).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a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parental well‐being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52(12), 1102-1113.
Pinquart M, Sorensen S (2003) Differences between caregivers and noncaregivers in psychologic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A meta-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18(2): 250–267.
Ramachandruni S, Handberg E, Sheps DS (2004) Acute and chronic psychological stress in coronary disease. Current Opinion in Cardiology 19(5): 494–499.
Sanderson, C. A. (2004), Health psychology, John Wiley & Son, Hoboken, NJ
Schieve, L. A., Blumberg, S. J., Rice, C., Visser, S. N., & Boyle, C.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autism and parenting stress. Pediatrics, 119(Supplement 1), S114-S121.
Scholl, K. G., McAvoy, L. H., Rynders, J. E., & Smith, J. G. (2003). The influence of an inclusive outdoor recreation experience on families that have a child with a disability. Therapeutic Recreation Journal, 37(1), 38-57.
Schulz, R., & Beach, S. R. (1999). Caregiving as a risk factor for mortality: the Caregiver Health Effects Study. Jama, 282(23), 2215-2219.
Schulz, R., & Martire, L. M. (2004). Family caregiving of persons with dementia: prevalence, health effects, and support strategi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2(3), 240-249.
Serrano-Aguilar, P. G., Lopez-Bastida, J., & Yanes-Lopez, V. (2006). Impac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burden of informal caregivers of individuals with Alzheimer’s disease. Neuroepidemiology, 27(3), 136-142.
Thoits, P. A., & Hewitt, L. N. (2001). Volunteer work and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15-131.
Ware Jr, J. E.,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473-483.
카롱카롱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아동청소년 복지론]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양육부담이 부모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