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섭식장애 레포트

"섭식장애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20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8.03.16 최종저작일 2017.12
20P 미리보기
섭식장애 레포트
  • 미리보기

    목차

    1. 진단기준
    2. 특징
    3. 원인
    4. 의학적 문제
    5. 치료 및 예후
    6. 느낀점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진단기준
    1)신경성 식욕부진증
    a.필요한 것에 비해 에너지 섭취(음식섭취)를 제한함으로써 나이, 성별, 발달수준, 신체건강에 비추어 심각한 저체중 상태가 초래된다. 심각한 저체중이란 최소한의 정상수준에 미달하거나 기대수치 이하의 체중미달을 의미한다.
    b.심각한 저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체증증가나 비만에 대한 강항 공포를 가지고 있거나 또는 체중증가를 방해하는 지속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c.체중과 체형을 왜곡하여 인식하고, 체중과 체형이 자기평가에 지나친 영향을 미치거나 또는 현재의 체중미달에 대한 심각성을 지속적으로 인식하지 못한다.
    •제한형: 지난 3개월 동안 폭식이나 먹은 음식을 배출하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지 않은 경우(예: 스스로 유도하는 구토나 하제, 이뇨제, 관장제의 오용이 없다). 이 유형은 체중감소가 주로 다이어트, 단식, 또는 과도한 운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폭식/하제 사용형: 지난 3개월 동안 폭식이나 먹은 음식을 배출하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한 경우
    2)신경성 폭식증
    a.반복적인 폭식행동이 있고, 폭식행동은 다음 2가지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1)일정한 시간 동안(예: 2시간 이내)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사한 상황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먹는 것에 비해 문명하게 더 많은 양의 음식을 먹음
    (2)폭식을 하는 동안 먹는 것에 대한 조절능력의 상실(예: 먹는 것을 멈출 수가 없거나 또는 무엇을 얼마나 많이 먹어야 할 것인지를 조절할 수 없는 느낌)
    b.체중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반복적이고 부적절한 보상행동을 나타낸다(예: 스스로 유도한 구토, 설사제, 이뇨제, 관장제, 기타 약물의 오용, 금식, 과도한 운동).
    c.폭식과 부적절한 보상행동 모두 평균적으로 최소한 1주일에 1회 이상 3개월 동안 발생한다.
    d.체형과 체중이 자기평가에 과도한 영향을 미친다.
    e.이러한 장해가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삽화 기간 중에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어야 한다.
    3)폭식증
    a.반복적인 폭식행동이 있고, 폭식행동은 다음 2가지 특징으로 나타난다.

    참고자료

    · Bodell, L. P. and L. E. Mayer (2011). "Percent body fat is a risk factor for relapse in anorexia nervosa: a replica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4(2): 118-123.
    · Brewerton, T. D. and C. Costin (2011). "Long-term outcome of residential treatment for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Eating Disorders 19(2): 132-144.
    · Bruch, H. (1962). "Perceptual and conceptual disturbances in anorexia nervosa." Psychosomatic medicine 24(2): 187-194.
    · Bruch, H. (1991). "The sleeping beauty: Escape from change." The course of life 4: 313-331.
    · Claudino, A. M. and C. M. Morgan (2013). "Unravelling binge eating disorder." A Collaborative Approach to Eating Disorders: 236.
    · Comer, R. J., et al. (2017). 이상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 Delinsky, S. (2011). "Body image and anorexia nervosa." Body image: A handbook of science, practice, and prevention: 279-287.
    · Evans, J. and G. Waller (2013). "The therapeutic alliance in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adults with eating disorders." A Collaborative Approach to Eating Disorders: 163.
    · Fairburn, C. G., et al. (2008). "Eating disorders: A transdiagnostic protocol."
    · Fichter, M. M., et al. (2008). "Long‐term course of binge eating disorder and bulimia nervosa: Relevance for nosology and diagnostic criteria."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1(7): 577-586.
    · Friederich, H.-C. and W. Herzog (2010). Cognitive-behavioral flexibility in anorexia nervosa. Behavioral neurobiology of eating disorders, Springer: 111-123.
    · Grucza, R. A., et al. (2007).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binge eating disorder in a community sample." Comprehensive psychiatry 48(2): 124-131.
    · Halmi, K. A. (2010). "Psychological comorbidity of eating disorders." The Oxford handbook of eating disorders: 292-303.
    · Hart, S., et al. (2011). "Nutrition and dietetic practice in eating disorder management." Journal of human nutrition and dietetics 24(2): 144-153.
    · Keel, P. K. and L. McCormick (2010).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planning for anorexia nervosa." The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A clinical handbook: 3-27.
    · Konstantellou, A., et al. (2012). "The family context: Cause, effect or resource." A Collaborative Approach to Eating Disorders: 5-18.
    · Rowe, S. L., et al. (2010). "Complex personality disorder in bulimia nervosa." Comprehensive psychiatry 51(6): 592-598.
    · Sanftner, J. L. and M. Tantillo (2011). "Body image and eating disorders: A compelling source of shame for women."
    · Steiger, H. and M. Israel (2010). "Treatment of psychiatric comorbidities." The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A clinical handbook: 447-457.
    · Steinhausen, H.-C. and S. Weber (2009). "The outcome of bulimia nervosa: findings from one-quarter century of research."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6(12): 1331-1341.
    · Stewart, T. M. and D. A. Williamson (2008). "Bulimia Nervosa." The Handbook of Assessment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HACT),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1: 463-497.
    · Stice, E. and K. Presnell (2010). "Dieting and the eating disorders." The Oxford handbook of eating disorders, 1st edn.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48-179.
    · Vögele, C., et al. (2017). "Mood, emotions and eating disorders." The Oxford Handbook of Eating Disorders, Second Edition.
    · Wilson, C. J. and F. P. Deane (2010). "Help-negat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role of depression, anxiety and hopelessnes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3): 291-305.
    · Zerbe, K. J. (2008). Integrated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Beyond the body betrayed, WW Norton & Co.
    · Zerbe, K. J. (2010). "Psychodynamic therapy for eating disorders." The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A clinical handbook: 339-358.
    · 권석만 (2013). 현대 이상심리학. 서울, 학지사.
    · 김정욱 (2000). "섭식장애: 날씬한 몸매를 위한 처절한 투쟁." 서울: 학지사.
    · 김청송 (2016). (사례중심의) 이상심리학. 수원, 싸이북스.
    · 윤순임, et al. (1997). 현대상담•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 中央適性.
    · 이상선 (1993). 여대생의 식사 행동과 심리적 요인들의 관계. 서울, 연세대학교. 국내석사학위논문.
    · 이임순 (1998). 섭식절제가 식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 고려대학교. 국내박사학위논문.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