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인혜, 『여성운동 프레임과 주체의 변화』, 한울, 2011.
· 여성문화이론연구소, 『페미니즘의 개념들』, 동녘, 2015.
· 앨버트 O. 허시먼, 『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 웅진지식하우스, 2010.
· 강이수,「여성주의 연구를 돌아보다: 여성운동, 노동, 가족 연구를 중심으로」,『경제와 사회』, 제100권, 2013.
· 김수아(a),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페미니즘 연구』, 제15권 5호, 2015.
· 김수아(b), 「한국 온라인 공간과 여성 혐오 정서」, 『젠더리뷰』, 제38권, 2015.
· 박의경, 「근대정치사상과 인권 그리고 여성」,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30권 2호, 2009.
· 손경미, 「사이버페미니즘과 Net-Utopia」, 『한국사회학과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7.
· 신경아,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에 관한 여덟 가지 질문」, 『페미니즘 연구』, 제16권 1호, 2016.
· 이주희, 「유리천장 깨기?: 한국 기업의 관리직 여성인력정책」, 『한국인사·조직학회 발표논문집』, 제11권, 2001.
· 이재유, 「자본주의와 가부장제 사이의 관계에 대하여」,『통일인문학』, 제55호, 2013.
· 이해진, 「여성에서 인간으로, 주체를 향한 열망」, 『한국여성학』, 제30권 2호, 2014.
· 엄진,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미디어 젠더&문화』, 제31권 2호, 2016.
· 엄혜진,「신자유주의 시대 여성 자아 기회그이 이중성과 속물의 탄생」, 『한국 여성학』, 제32권 2호, 2016.
· 장영, 「유리천장 인식의 영향요인」, 『商業敎育硏究』, 제8권, 2004.
· 장문정, 「여성성, 그 타자성의 역사: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계보학」, 『大同哲學』, 제20호, 2003.
· 정명례, 박병현, 「한국 여성의 인권과 노동복지 증진 방안」, 『비판사회정책』, 제43호, 2014.
· 허윤, 「페미니즘 2.0」, 여성문학연구, 제35권, 2015.
· 힐러리 찰스워스, 「인권개념의 여성주의적 재구성」, 『제3회 김옥길 기념강좌: 새로운 지구질서와 여성주의 인권』, 제2003권, 2003.
· “깨지지 않는 유리천장, 그 원인과 해답은?”, <오마이뉴스>, 2016.05.16,<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209080>, (2016.12.13).
· - “여성해방과 젠더 평등을 위하여”, <카이스트신문>, 2016.02.16, <http://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3379>, (2016.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