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case, 심혈관센터, 협심증
- 최초 등록일
- 2017.09.19
- 최종 저작일
- 2016.12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Ⅱ. angina pectoris
1. 정의
2. 종류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예방
Ⅲ. case 대상자
1. 대상자 information
2. 진단검사
3. medication
4. 간호진단
Ⅳ. 느낀점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
∎문헌고찰
협심증 angina pectoris의 정의
심장에 발생하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 뇌에 발생하는 뇌경색, 뇌출혈 등은 모두 혈관의 동맥경화와 원활한 혈관의 혈압 및 혈류 조절기능이 떨어져서 발생한다.
심장은 온 몸에 혈액을 순환시키는 펌프역할을 하는 장기이다. 이러한 심장의 운동에 의해 혈액이 전신을 순환하면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실어 오는 것이다. 한편, 심장 주위에는 관상동맥이라고 하는 특수한 혈관이 둘러싸고 있다. 관상동맥은 머리에 쓰는 왕관(王冠)처럼 심장 주위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협심증이란 관상동맥의 폐쇄나 협착에 의해 심장근육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생기는 흉부의 통증을 말한다. 협심증이라는 이름은 마치 가슴이 좁아진 듯 조이고 뻐근한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협심증의 증상은 마치 소화불량처럼 느껴질 수도 있으며 통증이 어깨나 팔, 등, 목, 턱에서 느껴질 수도 있다.
협심증은 가장 흔한 심장질환인 관상동맥질환의 주요 증상이기도하다. 관상동맥질환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플라크(plaque)라고 불리는 끈적끈적한 물질이 침착되어 심장으로의 혈액 공급이 감소되면서 생긴다.
한편, 모든 흉부의 통증이나 불편한 느낌이 협심증은 아니다. 그러나 만일 여러분에게 이러한 흉부의 통증이 있을 경우 반드시 의사에게 진찰을 받아야 한다.
1. 협심증이란 무엇인가?
협심증이란 관상동맥 질환에 의한 흉부의 통증이나 불편감을 일컫는 의학적 용어이며 심장근육의 허혈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이다.
심근 허혈이란 심장의 근육이 필요로 하는 만큼의 혈액과 산소 공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러한 심근 허혈은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맥이 막히거나 좁아졌을 때 생기는데, 결과적으로 불충분한 혈액 공급이 허혈을 초래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국가건강정보포탈 - 주제별 검색- 성인건강정보- 협심증
http://health.mw.go.kr/HealthInfoArea/HealthInfo/List.do?idx=&page=1&sortType=date&category=1&searchField=title&searchWord=%ED%98%91%EC%8B%AC%EC%A6%9D
삼성서울병원-건강의학센터-금연클리닉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SM&MENU_ID=003011021040
최신 임상간호매뉴얼 , 현문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