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신부전환자의 간호관리
- 최초 등록일
- 2017.08.28
- 최종 저작일
- 2017.08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you******* (본인인증회원)
2회 판매

목차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만성신부전 환자의 간호관리
7. 참고자료
본문내용
<정의>
만성 신부전은 3개월 이상 신장이 손상되어 있거나 신장 기능 감소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만성 신부전은 신장의 손상 정도와 기능의 감소 정도에 따라 다음의 5단계로 나누어지며, 잘 관리하자 않으면 마지막 단계로까지 악화되어 결국 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대체 요법이 필요하다.
- 1단계 : 신장 기능 검사상 정상 혹은 소변검사상 이상이 관찰된다.
- 2단계 : 신장 기능이 정상의 69~89%로 약간의 기능 감소가 관찰된다. 1,2단계에서는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을 찾아 치료하고,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 3단계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30~59%로 감소된다. 신장 기능 감소에 따른 합병증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 치료해야 하며 신장 기능 저하의 진행 여부를 주기적으로 관찰해야 한다.
- 4단계 :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29%로 감소된다. 신장내과 의사의 진료를 받고 투석방법 및 이식에 대한 준비를 해야한다.
- 5단계 : 정상 신장에 비해 신장 기능이 15% 이하로 심하게 감소된다. 혈액투석, 복막투석이나 신장이식과 같은 신장 대체 요법을 시작한다.
<원인>
어린이의 경우에는 나이가 어릴수록 성인과 달리 선천성 질환의 빈도가 높아서, 5세 미만에서는 신형성 부전, 신이형성, 요로 폐쇄 같은 선천성 신장 기형이 주로 원인이 되며, 5세 이후에는 후천성 사구체 질환(사구체 신염, 용혈성 요독 증후군) 또는 유전성 신질환 (알포트 증후군, 낭포신) 등이 주된 원인이 된다.
신부전의 흔한 원인은 당뇨병, 만성 사구체 신염, 고혈압, 다발성 낭종 등이다. 그러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신장병이 만성 신부전으로 악화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당뇨병에 의한 신부전이 아주 많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증상>
산부전의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을 느끼지 못하지만 만성 신부전의 증상은 거의 모든 장기에서 표현되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참고 자료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97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성인간호학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