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자기, 공격성, 그리고 사랑

"자기, 공격성, 그리고 사랑"에 대한 내용입니다.
3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04.23 최종저작일 2017.04
30P 미리보기
자기, 공격성, 그리고 사랑
  • 미리보기

    목차

    Ⅰ. 자기
    1. 심리학의 ‘자기’ 개념
    2. ‘자기’의 발달
    3. ‘자기’에 관한 지식의 출처
    4. ‘자기’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

    Ⅱ. 공격성
    1. 공격성의 개념
    2. 공격성의 설명
    3. 성격특질로서의 공격성
    4. 반사회적 행동의 두 유형
    5. 공격행동과 비공격 행동을 매개하는 정서: 분노 대 슬픔
    6. 공격성과 관련된 주요 논제들

    Ⅲ. 사랑
    1. 성
    2. 애착
    3. 사랑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심리학과 ‘자기’개념의 중요성
    (1) 심리학에서 ‘자기’의 중요성(Pervin, 1996)
    ① ‘자기’는 사람들의 경험세계의 주된 부분
    ② ‘자기’는 세상을 해석하는 양식을 반영
    ③ ‘자기’는 다양한 기능들에 통일성을 부여
    2) ‘자기’개념의 역사
    James(1890)는 ‘자기’를 의식적이며 정서적인 체험의 대상으로 간주
    Mead(1934)는 ‘자기’의 반성적이며 사회적인 측면에 초점
    Jung과 Allport는 인본주의적 ‘자기’개념을 소개하여 Rogers와 Maslow등에게 영향
    Rogers와 Maslow등이 이끈 인본주의 심리학이 등장한 1950-60년대에 ‘자기’개념이 급부상
    - ‘자기’의 수용과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
    인지심리학에서는 ‘자기’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
    3) ‘자기’개념의 선구들
    (1) James의 정서적으로 체험되는 ‘자기’의 개념
    William James의 ‘자기’정의
    - 자신의 것으로 부를 수 있는 모든 것의 총합”
    - 물질적 자기(material self), 사회적 자기(social self),
    정신적 자기(spiritual self), 순수 자아(pure ego)
    (2) G. H. Mead의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자기’의 개념
    Cooley, Baldwin, G. H. Mead 등 상징적 상호작용주의(symbolic interactionism)학파에서
    ‘자기’ 개념 발전에 큰 공헌
    - Cooley(1902) : 거울 속의 자기(looking-glass self)
    - G. H. Mead(1934) : ‘자기’의 반성적인(reflexive) 측면과 사회적 기원에 주목
    (3) Jung과 Allport의 성숙한 ‘자기’의 개념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Jung과 특질이론을 제안한 Allport의 공통점: 성격의 해부보다 인성의 의미를 추구했다
    Jung : ‘자기’는 원형 중의 하나이되, 대단히 중요한 원형 ‘자기’의 발달은 인간의 삶의 궁극적 목표

    참고자료

    · 민경환 (2002). 성격심리학, 서울: 법문사.
    · Ainsworth, M. D. S. (1979). Attachment as related to mother-infant interaction.In J. S. Rosenblatt, R. A. Hinde, C. Beer, & M. Busnel(Eds.), Advances in the study of behavior(Vol. 9). New York: Academic Press.
    · Bandura, A. (1973). Aggression: A social learning analysi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Bandura, A. (1977). Social learning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 Bandura, A., & Cervone, D. (1983). Self-evaluative and self-efficacy mechanisms governing the motivational effect of goal syste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 1017-1028.
    · Bartholomew, K., & Horowitz, L. M. (1991). Attachment styles among young adults: A test of a four-category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226-244.
    · Berkowitz, L. (1974). Some determinants of impulsive aggression: Role of mediated associations with reinforcements for aggression. Psychological Review, 81, 165-176.
    · Berkowits, L. (1998). Aggressive personalities. In D. F. Barone, M. Hersen, & V. B. Van Hasselt(Eds.), Advanced personality. New York: Plenum.
    · Bowlby, J. (1969). Attachment and loss: Vol. 1. Attachment. New York: Basic Books.
    · Buss, A. H. (1961). The psychology of aggression. New York: Wiley.
    · Buss, D. M., & Schmitt, D. P. (1993). Sexual strategies theory: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human mating. Psychological Review, 100(2), 204-232.
    · Cairns, R. B. (1979). Social development. San Francisco: Freeman.
    · Carver, C. S., Scheier, M. F., & Weintraub, J. K.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267-283.
    · Cooley, C. H. (1902). Human nature and the social order. New York: Scribner’s.
    · Damon, W., & Hart, D. (1988). Self-understanding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odge, K. A. (1982).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variables in the development of aggression and altruism and aggression: Social and sociobiological origins (pp. 280-302).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ollard, J., Doob, L., Miller, N. E., Mowrer, O. H., & Sears, R. R. (1939). Frustration and aggression.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 Epstein, S. (1990). Cognitive-experiential self theory. In L. A. Pervin(Ed.). Handbook of personality: Theory and research(pp. 165-192). New York: Guilford.
    · Eron, L. D. (1987). The development of aggressive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a developing behaviorism. American Psychologist, 42, 197-211.
    · Farrington, D. P. (1989). Early predictors of adolescent aggression and adult violence. Violence and Victims, 4, 79-100.
    · Feshbach, S. (1970). Agression. In P. H. Mussen(Ed.), Carmichael’s manual of child psychology. New York: Wiley.
    · Freud, S. (1933). New introductory lectures on psychoanalysis(W. J. H. Sproutt, Trans.), New York: Norton.
    · Hampson, S. E. (1988). The construction of personality(2nd ed.). London:Toutledge.
    · Hazan, C., & Shaver, P. R.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511-524.
    · Hazan, C., & Shaver, P. R. (1994). Attachment as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research on close relationships. Psychological Inquiry, 5, 1-22.
    · Higgins, E. T.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 319-340.
    ·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vols. 1 and 2). New York: Holt.
    · Kagan, J. (1984). The nature of the child. New York: Basic Books.
    · Kagan, J. (1989). Unstable ideas: Temperament, cognition, and self.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wis, M. (1990). Self-knowledge and social development in early life. In L. A. Pervin(Ed.), Handbook of personality(pp. 277-300). New York: Guilford Press.
    · Lorenz, K. Z. (1966). On aggression. New York: Harcourt.
    · Maccoby, E. E., & Jacklin, C. N. (1974). The psychology of sex differences.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 Markus, H. (1977). Self-schemata and processing information about the self.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5, 63-78.
    ·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ischel, W. (1993). Introduction to Personality. Orlando, FL: Harcourt Brace Jovanovich College Publishers.
    · Olweus, D. (1979). Stability of aggressive reaction patterns in males: A review. Psychological Review, 86, 852-875.
    · Patterson, G. R. (1976). The aggressive child: Victim and architect of a coercive system. In L. A. Hamerlynck, L. C., Handy, & E. J. Mash(Eds.), Behavior modification and families, vol. 1,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Brunner/Mazel.
    · Pervin, L. A. (1996). The science of personality. New York: Wiley.
    · Piaget, J. (1973). The affective unconscious and the cognitive unconscious. Journal of the American Psychoanalytic Association, 21, 249-261.
    · Rule, B. G., & Nasdale, A. R. (1976). Emotional arousal and aggressive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83, 851-863.
    · Shweder, R. A. (1982). Beyond self-constructed knowledge: The study of culture and morality. Merrill-Palmer Quarterly, 28, 41-69.
    · Snyder, M. (1974). Self-monitoring of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0, 526-537.
    · Trivers, R. (1972). Parental investment and sexual selection. In B. Campbell(Ed.), Sexual selection and the descent of man (pp. 136-179). Chicago : Aldine-Atherton.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