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기창(2000), “공무원 교육훈련과 인사관리의 연결강화방안.” 「한국행정연구」 제9권(3): 158-192.
· 강성철 외(2008), 「새인사행정론」, 서울: 대영문화사.
· 강성철 외(2001), 「새인사행정론」, 서울: 대영문화사: 273
· 권경득(2009), “공무원과 국가발전 : 교육훈련”, 「정책 & 지식 포럼) 발표 논문, 서울대 행정대학원정책지식센터: 8
· 김성렬(2000), 「영국의 공무원 교육훈련체계」, 서울: 중앙인사위원회: 11-12
· 김태유 외(2010), 「정부의 유전자를 변화시켜라」, 삼성경제연구소
· 김판석(2007), “공무원 교육훈련의 전환: 혁신과정과 주요 변화 및 향후 과제”,「한국인사행정학회보」, 6(1): 1-35.
· 김성익(1993), 「전두환육성증언, 1986.1.20-1988.2.24: 5공청와대통치기록담당자가 공개하는 격동기 대통령의 생생한 현장 실토」. 서울: 조선일보사: 268-306,
· 김욱경(1996), “박정희 권위주의정권의 노동정책”, 「행정문제연구」 제3권(1): 155-194
· 김중양(2004),「한국인사행정론」, 서울: 법문사: 236
· 김중양(1994),「한국인사행정론」, 서울: 법문사: 220-221
· 김재권 / 하종호 외(2004), 「심리철학」, 철학과 현실사
· 김충남(2006), 「대통령과 국가경영: 이승만에서 김대중까지」,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91, 94, 207, 215, 216-217
· 박동서(1987), 「인사행정론」, 서울: 법문사: 212-213, 226-227
· 박성하(1958), 「우남노선」, 서울: 동아출판사.
· 박천오 외(2012), 「현대인사행정론」, 서울: 법문사: 227-264
· 박천오 외(2004), 「인사행정의 이해」, 서울: 법문사: 230
· 변혁주(2001), 「공무원교육훈련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대학원: 17-32
· 손영상(2012), 「공무원 교육훈련제도의 현황 및 발전방향」, 국내위탁교육결과보고서: 27-35
· 송호수(1986), 「개천경(천부경, 삼일신고, 참전계경)」, 가나출판사
· 신창호(2008), “한국의 인재양성 흐름과 교육적 맥락”, 「교육사상연구」 제22권(3): 99-100
· 안병영(1994), 「정치인과 한국의 정책결정구조」, 한국행정학회: 294
· 안병만(2008), 「한국정부론」, 다산출판사: 166
· 양재진(2008), “복지정책,” 한국행정연구원 편, 「한국 행정 60년」: 461-487.
· 양승함(2006), 제1장 노무현정부의 국정철학과 국가관리 원칙, 「노무현 정부의 국가관리 중간평가와 전망」, 서울: 연세대학교국가관리연구원: 51
· 오열근(2012), 「21세기 리더의 길(노자의 선비론)」, 한국행정사학회지(제30호)
· 유민봉 외(2003), 「한국인사행정론」, 서울: 박영사: 270 ,
· 유민봉 외(1999), 「인사행정론」, 서울: 문영사
· 유재원(1994), 「관리직공무원의 교육훈련 수요측정」, 한국행정연구원
· 이경숙(2006), 「도덕경」, 서울: 도서출판 명상
· 이수봉(2009), 「공무원교육훈련발전방안」, 행정자치부: 17-58
· 유영준(1980), 「한국역대정권의 국가목표 설정과 그 정치적 과제」, 한국정치학회보제14호: 47~65
· 이종수(2008), 「우리나라 역대 행정부의 정책체제의 특징에 관한 고찰」, 한국행정사학지 제23호 : 82, 85-86.
· 임도빈(2008), 「역대 대통령 국정철학의 변화:한국행정 60년의 회고와 과제」, 서울대학교 행정논총 제46권(1): 211-251
· 안병준1989,「한국정부론」, 서울: 다산출판사
· 정윤재(2003), 「정치 리더십과 한국 민주주의」, 서울: 나남출판: 317, 339- 340
· 정정길(1994), 「대통령의 경제리더십: 박정희・전두환・노태우 정부의 경제정책관리」,서울: 한국경제신문사: 250-254
· 정정길(2006), 「행정학의 새로운 이해」, 대명출판사
· 진덕규(1994), “노태우 정부의 권력구조와 정치체제”. 「전환기의 한국 민주주의」, 서울: 법문사: 66-70
· 진재구(1999), “지식정보화시대 공무원교육훈련의 새 모델과 전략”, 「중앙공무원교육원 50년사」, 중앙공무원교육원
· 진종순(2006), “미국과 우리나라의 고위공무원 교육훈련프로그램”,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7권제1호, 서울행정학회: 81~108
· 최유성 외(2000), 「공무원 교육훈련제도 발전방안」, 한국행정연구원; 기획예산처 연구용역보고서: 1, 6, 6-13, 17-39
· 최종고(2009), “법철학”, 박영사
· 최창용ㆍ최창수(2013), “공무원 능력개발을 위한 교육훈련 제도”, 「2012 경제발전경험모듈화사업」, 정부간행물번호 11-7003625-000030-01(기획재정부): 21-38, 80-81
· 최용환 외(2007), 「지방공무원 교육훈련 혁신체계에 관한 연구」, 충북개발연구원: 13-17
· 최월화(2002), 「한국공무원 교육훈련 체제의 특성과 발전방향-좋은 국정관리를 위한 유전인자 전환전략의 관점으로」.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5-7
· 최종태(2000), 『현대인사관리론』, 서울: 박영사: 378-381
· 최해림(2012), 「일본의 국가공무원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현황과 시사점」, 행정안전부 사무관: 20
· 하용출 외(2008), “외교・통상정책”,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 60년』: 52~53
· 하태권 외(1999), “공무원 교육훈련 경쟁력 제고방안”. 한국행정연구원․미래인력연구센터 국제학술심포지엄, 『한국행정60년 1948-1968』. 서울: 법문사: 129-150.
· 함성득(2000), “한국 대통령의 업적평가: 취임사에서 나타난 정책지표와 그 성취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제34권(4): 93-118.
· 홍길표(2006), “공무원 교육훈련 혁신과제와 경쟁력 강화방안”, 『서울행정학회』, 한국행정연구원 동계학술대회: 188-195
· 홍길표(2005), “공무원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훈련제도 개선방안”, 김중양(편), 「참여정부인사개혁의 현황과 과제」. 서울: 나남출판
· 홍길표 외(2004), 「공무원교육훈련 혁신로드맵」.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 황선범(1994), 「진(眞)과 사(邪)」, 인천: 동일문화사
· 황윤원(2002), “21세기 공무원교육훈련 경쟁력 제고방안”, 『교육훈련정보』 44권: 26-58
· 중공교 교육훈련팀(저자 미상), (2006년), 「공무원교육훈련제도의 문제점과 대책」, happy캠퍼스 자료
· 저자미상(연도미상), 「한국정부와 정책의 변천사」, happy캠퍼스 자료
· 중앙공무원교육원(2009), 『인재강국의 길, 60년의 발자취와 새지평: 공무원 교육훈련 60년사 1949-2008』, 과천 : 중앙공무원교육원
· 중앙공무원교육원(1999), 『중앙공무원교육원 50년사』, 대종인쇄사
· 중앙공무원교육원『중앙공무원교육원 연보 (1991-2001)』
· 중앙공무원교육원『중앙공무원교육원 연보 (2012)』
· 중앙공무원교육원(2012), 『중앙공무원교육원 종합발전방안수립연구보고서』, 삼성SDS
· Abramson, M. A., Clyburn, S. A., & Mercier, E. M.(1999), Results of the Government Leadership Survey: A Study of Federal Executive. The Pricewater-House Coopers.
· Cooper, Terry L.(1998), The Responsible Administrator: An Approach to Ethics for the Administrative Role, SanFranciscio: Jossey-Bass
· Erich Fromm(1976), To Have or to Be?, New York and London
· Faerman, Sue. R.(1998), Training and Development, in Jay M. Shafritz(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Policy and Administration: 2276
· Flippo, E.B.(1976), Principles of personnel Management, Boston: McGraw Hill: 21
· Gilley,J.W & Gilley,A.M.(2003), Strategically integrated HRD: A sis approach in creating results-driven Programs(3rd ed.), New York: Basic Books
· S. Mulhall & A. Swift/김해성 외(2001), Liberals and Communitarians :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한울
· Nigro, Felix A. and Nigro Lioyd G.(1981), The New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2nd ed.), 111: F. E. Peacock Publisher: 356-357
· R. Nozick / 강성학(1991), Anarchy, State, and Utopia : 자유주의와 정의론 – 아나키,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 대광문화사
· Schumacher E. F.(1973), Small is Beautiful : Economics as if People Mattered. New York : Harper & Row, Torchbooks
· Schumpeter Joseph A.(1962), Capitalism, Socialism and Democracy. New York : Harper & Row, Torchbooks
· Shim, D.S.(2001), Recent Human Resources Developments in OECD Member Countries, Public Personnel Management, 30(3): 323-347.
· 중앙공무원교육원 홈페이지 게재자료, http://www.coti.go.kr
·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
· 각 행정학 관련 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