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식민지 정책 변화 (무단통치-문화정치-민족말살 정치)
- 최초 등록일
- 2016.10.02
- 최종 저작일
- 2013.05
- 18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000원

판매자Kof97 (본인인증회원)
3회 판매
목차
1. 1910년대 식민지 무단통치와 3.1민족해방운동
(1) 총독부 체제의 성립과 무단통치
(2) 1910년대 식민지 수탈정책
(3) 1910년대 항일 독립운동
(4) 3.1 민족해방운동
(5) 3․1 운동의 실패와 1920년대 민족해방운동 노선의 분화
2. 일제의 ‘기만적’ 문화정치와 경제수탈의 강화
(1) 문화정치의 실상
(2) 식민지 경제 수탈의 강화
3. 일제의 민족 말살정책
(1) 배경
(2) 내용
본문내용
1910년대 식민지 무단통치와 3.1민족해방운동
총독부 체제의 성립과 무단통치
무단통치
독립운동의 폭력적 진압과 미숙한 일본자본주의의 자본
축적을 위한 기반을 강제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편
→ 원시적 축적 이후 자본의 논리에 의한 수탈로 변모 (1920년대 문화정치)
<중 략>
1910년대 식민지 수탈정책
1) 토지수탈정책
식량수탈, 노동력 확보, 식민지 통치의 물적, 인적 토대 구축
→ 토지조사사업(1910.3-1918.10)
① 목적 : 식민지 통치를 위한 인적, 물적 토대 구축
ㄱ.토지를 대량적으로 약탈→ 농업국가였던 조선경제의 기본명맥을 장악
ㄴ.지주의 토지소유권 법적보호 → 식민지 통치의 사회적 지반으로 삼음
ㄷ. 지세대상을 높임 → 일제의 재정수입원 증가
ㄹ. 소작농민의 봉건적 착취 공고
ㅁ. 식량수탈을 통한 식민본국의 저미가, 저임금 문제 해결
② 결과 : ㄱ.일본인 토지소유 급증
ㄴ. 봉건제 지주제의 온건, 강화
ㄷ.조선총독부의 지주보호 정책 실시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