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뇌경색 case
- 최초 등록일
- 2016.09.21
- 최종 저작일
- 2015.09
- 17페이지/
MS 워드
- 가격 1,000원

판매자leh****
5회 판매

소개글
교수님께 A+ 받은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필요성 목적
II. 문헌고찰
III. 연구기간 및 방법
IV.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적용
V. 결론
참고문헌
소감문
본문내용
1.서론
연구의필요성/목적
뇌졸중의 경우 최근 식습관의 변화 등으로 환자 발생 양상이 변하고 있고, 사망수도 늘어나고 있다.
예전에 비해 뇌경색 환자가 뇌출혈 환자를 넘어서 훨씬 많아지고 있는데 증가한 이유는 식생활의 서구화로 기름진 음식의 섭취는 늘어났지만 운동량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이다.
뇌경색의 위험성을 알고 발병률과 사망률의 감소와 적절한 간호수행을 위해 노력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번 사례연구를 통해 뇌경색에 대하여 원인, 증상, 치료방법 등을 알아보고 환자에게 어떤 중재를 실시해야 하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2.문헌고찰
▶뇌경색 ; Cerebral infarction
1)정의
뇌의 혈관이 막혀 뇌의 혈액 순환이 정상의 10-20% 이하가 되면 혈액이 운반해오는 산소나 포도당이 부족해져 뇌는 산소부족, 영양부족이 되어 뇌에 장애가 일어나고 뇌조직이 괴사되는데 이것을 뇌경색이라고 부른다. 이때 혈관이 막히는 원인이 혈전과 색전으로 반신마비, 운동실조, 언어장애 등을 수반하여 발병부위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이다.
뇌의 영양혈관이 완전히 폐색되거나 강한 협착을 일으켜 혈류가 현저하게 감소되면 그 부분의 뇌조직이 괴사하여 마침내 융해된다.
이 영양혈관은 좌, 우의 내경동맥과 추골동맥으로서 두개 안으로 들어가서 각각 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 및 뇌저와 후대뇌동맥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동맥은 뇌저부에서 좌우 및 전후로 연결되어 대 뇌동맥륜을 만든다.
그러므로 어떤 원인이 있어 한쪽 방향의 혈액의 흐름이 두절되더라도 다른 데 서 보상이 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혈관이 갑자기 막히거나 부혈행로에 의한 보상이 불충분 할 때에는 뇌조직은 치유 불가능한 변화를 일으킨다.
뇌는 혈류 두절, 산소부족, 포도당 부족 등에 대하여 지극히 저항력이 약해서 몇 분 동안의 단혈로도 조직이 사멸된다. 뇌조직은 한번 망가지게 되면 돌이킬 수 없는 변화를 겪기 때문에 영구적인 후유증을 남긴다.
참고 자료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172-352
김금순 외2명(2012). 성인간호학2. 파주. 수문사. 1266-1286
김조자 외3명(2002). 성인간호학 하. 서울. 현문사. 1356-1381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earch.snuh.org/search/search.jsp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nuns.snuh.org/2013/sub03/page11c.jsp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이미지 https://www.googl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