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과 포로에 관련 영상 소감문
- 최초 등록일
- 2016.08.21
- 최종 저작일
- 2009.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제 1부. 철조망 속의 지배자들
1. 한국 전쟁과 포로에 관련 역사적 사건과 연표
제 2 부. 철조망 속의 전쟁
제 3 부. 철조망의 안과 밖
2. 현대에서 한국 전쟁의 포로가 갖는 역사적 의미와 나의 생각
3. 한국 전쟁과 포로에 관련 연표
본문내용
1. 한국 전쟁과 포로에 관련 역사적 사건과 연표
Q. 포로들은 구성원과 규모, 실상은?
A. 북한의 승리로 이어지고 있던 한국전쟁에서 미군의 인천 상륙작전으로 미처 후퇴하지 못한 인민군들은 낙동강에서 포로가 되었다. 그들의 수는 처음에는 6만 2천명으로 점점 늘어가서 나중에는 13만 5천까지 늘어나 수용하기도 벅찼다. 미군은 이 기세를 몰아 북침을 하게 되는데, 이때 중공군의 참여로 유엔군 포로와 군국의 포로가 발생하여 인민군 포로들과 뒤섞인다.
하지만, 미군은 이들이 적군의 일력으로 이용되는 것을 우려하여 부산으로 끌고 온다. 너무 많은 포로로 그들에게 지급되는 지급품과 식량은 얼마 되지 않아 포로들은 불만이 쌓여갔고, 추위와 질병으로 하루에도 20명~50명 정도 죽어갔다. 살아 있는 포로들이 죽은 사람의 옷을 벗겨 숨겨 놓거나 슬픈 감정 없이 시신을 묻는 등 죽음에 무감각해지고 있었다.
Q. 철조망 속에서 지배자들이 생길 수 있었는가?
A. 정전협정에서 포로문제 논의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