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현재 한국의 제과업체의 실적이 부진한 상황이다. 한국의 제과 시장 규모는 작은 편이지만 롯데, 해태, 오리온 등의 제과업체 경쟁이 치열하며 최근 저출산 문제로 인하여 과자 소비량이 높은 아이들이 줄어들어 제과업계에 위협이 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에 웰빙 열풍이 일어남에 따라 건강과 관련하여 과자의 고열량, 고나트륨 등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과자 외의 다른 간식거리가 많이 생기면서 1인당 과자 소비량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제과업계는 판매량 감소를 가격상승으로 메워 과자 가격이 크게 올라가 소비자들의 외면을 샀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하자 한국 제과업체들은 살아남기가 어려워졌다.
이에 롯데제과는 해외에 눈을 돌렸다. 중국시장은 이미 오리온이 장악하고 있어 롯데제과는 인도시장을 내다보기 시작하였다. 인도는 세계인구의 18%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을 바짝 뒤쫓고 있는 거대한 내수시장이다(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3,01). 또한, 향후 생산 및 소비 능력이 왕성한 청년층의 인구도 많아 시장 잠재력과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국가이다. 롯데제과의 입장에선 인도시장은 놓치고 싶지 않은 매력적인 블루오션임이 틀림없다.
그러나 인도시장은 결코 만만한 곳이 아니다. 열악한 인프라 시설이나 정치, 경제적인 제재가 빈번하며, 특히 인도 인구의 대다수가 소고기를 먹지 않는 힌두교와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무슬림이기 때문에 식품업체들이 진출하는 데에 있어 애로사항이 많은 국가이다. 세계적인 기업인 맥도날드 또한 처음부터 인도시장에서 성공할 순 없었다. 1996년 뉴델리 지역에 첫 매장을 열기까지 8년이라는 기간이 걸렸으며, 고기 대신 당근, 감자, 완두콩으로 만든 패티, 치킨을 이용한 패티나 인도식 치즈를 넣은 햄버거, 인도 향신료를 넣은 햄버거와 같은 현지화 메뉴를 개발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유통구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납품업체를 육성하고 설비 단순화로 비용을 절감하며, 인도의 경제여건에 맞추어 제품 가격을 낮추는 등 현지화를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2015,10,01.
· 뉴데일리 경제, 2016,02,15, “제과업계, 해외시장-제품차별화에 승부 건다"
· 뉴시스, 2015,08,26, “롯데제과, 인도 초코파이 공장 가동…아시아 넘버 1 도약”
· 롯데사보, 2015,12,22, “인도 수재민 초코파이 긴급지원”
· 브릭스인사이드, 2015.03, “인도 경제 동향 및 이슈”
· 신영증권 Company Report, 2015,07,13.
· 연합뉴스, 2016,03,24, “한일 롯데제과, 5대 메가 브랜드로 해외 공동진출”
· 연합인포맥스, 2016,05,20, “롯데제과 해외사업 부진…중국 이어 인도마저”
· 조선일보, 2015,12,24, “인도 초코파이 시장 90% 장악… 롯데제과, 해외 누적 매출 5兆”
· 중앙일보, 2015,07,03, 印센서스 "농촌서 살고 있는 인구 70% 극도 빈곤“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3,01, 인도 시장 진출 10계명.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 2011,08,23, 인도 소매 유통시장 진출, 이것만은 알고하자.
· 헤럴드경제, 2016.03.21, “롯데제과 실크로드 점령하다”.
· aT 방콕사무소, 2015,10, 인도 내 한국 스낵류 현황 및 경쟁상품 .
· Forbes India, 2015, Best Countries for Business.
· Global Insight, 2011, world overview.
· KOTRA, 2016,03, 2016년 인도를 이해하는 25가지 키워드.
· KOTRA, 뉴델리, 2014,03,13, 젊은 인도인 소비 지도를 바꾼다.
· KOTRA, 첸나이, 2014,03,03 인도, 초콜릿의 달콤함에 빠지다.
· KOTRA, 방갈로르, 2015,04,24, 어른들도 푹 빠진 인도 초콜릿 시장.
· Lotte India 검색일: 2016,05,25.
· Mcdonalds India 검색일: 2016,05,25.
· NSP 통신, 2013,05,15, ‘돼지고기 금기’ 인도마저 공략한 맥도날드의 현지화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