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칭찬’에 대한 유교와 교육학적 의미

"‘칭찬’에 대한 유교와 교육학적 의미 "에 대한 내용입니다.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06.23 최종저작일 2016.06
9P 미리보기
‘칭찬’에 대한 유교와 교육학적 의미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Ⅱ. 동양고전에서 등장하는 칭찬관
    Ⅲ. 현대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칭찬관
    Ⅳ. 공자의 칭찬관에 대한 현대 교육학적 분석
    Ⅴ. 공자의 칭찬요소는 ‘실천’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요
    우리나라 초, 중학교 학생들은 ‘칭찬’을 들을 때 가장 행복하다고 조사된 바 있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이 있듯이 매일 칭찬과 함께 자라나는 학생들에게서는 행복감과 아울러 성취욕 또한 높다고 한다. 그러나 서구에 비하면 동양문화권에 속하는 우리나라는 아직 칭찬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다. 유교사상의 패러다임이 갖는 틀 속에서 의식개혁을 이루기엔 다소 거리감이 있다는 의미다. 유교사회는 대체로 공자의 논점에서 이루어져 있다. 즉, 공자의 칭찬에 대한 관념이 실제 어떠했는지를 살펴 볼 필요가 있다. 공자의 칭찬에 대한 관점은 칭찬하는 자와 칭찬받는 자로 구분되어지는데 칭찬하는 사람의 자세에는 ‘진실하게 칭찬한다’, ‘능력보다 품성을 칭찬한다’, ‘차별 없이 칭찬한다’가 포함된다. “이런 공자의 견해는 교육학적 연구를 통해 입증되어지고 있다. 칭찬을 받는 자로서의 입장에서는 ‘칭찬의 의도를 파악한다’, ‘인정받고 싶으면 노력한다’, ‘말보다 실천한다’가 해당된다.” 유교에서의 이러한 가르침은 칭찬하는 자와 칭찬받는 자의 자세를 함께 강조하고 있으나 교육학자들은 칭찬을 하는 입장에서만 관점을 다루고 있을 뿐, 칭찬을 받는 자의 자세에 대하여는 여전히 소홀한 편이다. 공자의 이러한 양쪽 입장에 대한 가르침은 현시대를 살아가는 교육학자들에게 새로운 연구적 논제를 제공한다.

    Ⅰ. 서론
    한국문화에는 칭찬에 인색한 면이 있다. 병영집단과 같은 상명하복 식의 특수집단들은 논외하고라도 직장이나 가정에서조차 칭찬은커녕, 혼냄과 질책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할만하다. 학교도 물론 여기에 포함된다. 학생들은 선생님에 대한 인상을 친근히 여기기보다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개체로 판단하는 경향이 강하다. 교육평가전공자인 성태재 교수는, “우리나라 초중학생들의 수학·과학 성적이 세계 최고인 반면 자신감이나 흥미도가 매우 낮은 것과 관련하여 자신감에 대한 연구를 보면 일반적으로 자신감과 자존감이 높은 학생들이 성취도도 높게 나타난다.

    참고자료

    · 김경식(2013).『논어』에서 본 공자의 교육이야기. 파주: 한국학술정보(주).
    · 김정섭, 안경식, 윤채영, "칭찬에 대한 간학문적 연구: 공자의 사상과 교육심리학 연구 의 비교", 敎育思想硏究, Vol.29 No.3, 2015.
    · 명인규, “교사의 칭찬이 학생의 행복감에 주는 영향”, 2011-춘계학술대회, 대한서울 인성교육학회, 2011.
    · 박성규 역주(2011). 논어집주: 주자와 제자들의 토론. 서울: 소나무.
    · 변형우(2009).『논어』(論語)중의 기부칭기력(驥不稱其力), 칭기덕야(稱其德也) 재해석 (再解釋). 중국언어연구, 제 28집, 255-266.
    · 成百曉 譯註(2005). 論語集註.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 楊佰峻 譯註(李章佑, 朴鍾淵 한역)(1997). 論語譯注. 대구: 중문출판사.
    · 이지한(2003). 苟子 - 사악한 인간성을 바로잡는 길-. 서울: 자유문고.
    · 정종(1980). 孔子의 敎育思想: 孔子思想의 敎育學的 展開. 서울: 集文堂.
    · Brophy, J. (1981). Teacher praise: A functional analy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1, 5-32.
    · Brown, J. D., & Kobayashi, C. (2002). Self-enhancement in Japan and America. Asi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5, 145–167.
    · Burnett, P. C. (2001). Elementary students’ preferences for teacher praise.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Vol.36. No 1, 16-23.
    · Burnett, P. C. (2002). Teacher praise and feedback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Educational Psychology Vol.22 5–16.
    · Feldman, R., & Donohoe, L. (1978). Nonverbal communication of affect in interracialdyad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0, 979–987.
    · Henderlong, J., & Lepper, M. R. (2002). The effects of praise on children’s intrinsic motivation: A review and syn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128, 774–795.
    · Kohn, A. (1993). Punished by rewards: The trouble with gold stars, incentive plans, A’s, praise, and other bribes. New York: Houghton Mifflin Company.
    · Lo, W. E. (2013). Happy family kitchen : Evaluating a gratitude intervention to promote family communi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of The University of Hong Kong.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21211_0011679161&cID=10201&pID=1020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