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길봉,「우리나라 복지정책의 전략과 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9권 제1호, 2009
· 고경환,「복지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재정정책 - 스웨덴, 프랑스, 영국을 중심으로 -」, 기본연구보고서, 2012
· 곽효문,「영국과 스웨덴의 복지국가이념 비교」, 사회복지정책 12, 2001
· 권문석,「기본소득, 선별적․시혜적 복지를 넘어 사회경제 대안으로 : simple and powerful, 지금당장 가능한 사회경제적 조치」, 복지동향 통권 제137호, 2010
· 김명희,「미국과 한국 근로연계복지정책의 형성과 변화 :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2008
· 김성이,「인구변천 과정에서 본 한국과 스웨덴의 복지 상태 비교」, 한국인구학 18,2, 1995
· 김성천,「·한국 가족복지정책의 재조명 : 문제점과 개혁방향의 모색」, 한국가족복지학 5, 2000
· 김영순,「스웨덴의 `국가주의적' 복지모델의 위기 : 한국에 대한 시사점」, 한국과 국제정치 18, 1993
· 김옥순,「디아코니아 관점에서 본 보편적 복지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신학과 실천 제34호, 2013
· 김용하,「한국경제의 선진화와 복지정책」, 제도와 경제 Vol.4 no.1, 2010
· 김인춘,「스웨덴의 복지체제와 재정 : 복지재정과 국민부담의 조화」, 유럽연구 제29권 3호, 2011
· 김진석,「‘보편적 복지’만 정답인가? : 약이지만 동시에 독인 복지」,황해문화 통권70호, 2011
· 김진욱,「한국 사회보장제도의 확장과 한계 : 그 성과와 사각지대의 재조명」, 한국사회정책 제17집 제1호, 2010
· 김태성,「복지국가의 한계 ( ? ) : 스웨덴으로부터의 교훈」, 사회복지연구 13권, 1999
· 도미향 외 2명,「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가족복지정책」,한국가족복지학 제15권 1호, 2010
· 도미향,「저출산시대 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과제 : 부모의 자녀양육기능 강화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1권 1호, 2006
· 박길환 외 1명,「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 이타적 시민복지 인식의 중요성」, 한국행정논집 제26권 제1호, 2014
· 박숙경,「복지국가로 가는 길: 사회복지서비스 신청제도를 아시나요?」, 도시와 빈곤 92권, 2011
· 박용수,「세계화와 복지국가 : 스웨덴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5권 제2호, 2005
· 서병수,「한국의 사회복지 정책과 복지체제 성격의 변화」, 사회법연구 제16․17호, 2011
· 성영혜 외 1명,「연구논문 : 가족복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가족복지학 2권 1호, 1997
· 손혜경,「스웨덴의 기초지자체 복지서비스 재정의 미래」, 국제노동브리프 vol.11 no.7, 2013
· 양심영,「가족복지서비스의 통합적 실천에 관한 연구」,한국가족복지학 6권, 2000
· 유근춘,「보편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의 조화적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기본동향보고서, 2011
· 윤기찬,「사회복지서비스 능률성에 관한 비교·평가」, 한국행정논집 제17권 제1호, 2005
· 이상희 외 1명,「우리나라의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제도의 고찰과 발전방안에 대한 연구」, 아시아아동복지연구 4권 2호, 2006
· 이영분 외 1명,「가족 변화에 따른 가족복지서비스의 대응」,한국가족복지학 3, 1999
· 이찬진,「18대 대선후보들의 복지공약 유감」, 월간 복지동향 제 170호, 2012
· 이현주 외 4명,『공공부조정책 내용과 집행의 상호조응성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 임선영,「가족환경의 변화와 가족복지서비스 활성화 방안 고찰」,국제신학 제9권, 2007
· 정인영,「공공부조제도 국가 간 비교 연구 : 한국과 OECD 8개국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 31집, 2007
· 정창률,「한국의 사회복지정책을 다시 생각한다 : 복지국가에 대한 신화와 진실, 그리고 나아갈 방향」, 평화학연구 제13권 제1호, 2012
· 조영훈,「복지국가의 몰락? : 스웨덴 사례 분석을 통한 세계화론의 복지국가 쇠퇴론 검토」, 한국사회학 34,4, 2000
· 주은선,「변화하는 스웨덴 모델과 박근혜 정부의 복지정책 방향」, 스칸디나비아연구 제15호, 2014
· 주은선,「외환위기 이후 사회복지정책의 전개 : 복지-노동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상황과복지 제28호, 2009
· 주은선,「한국 보수언론의 복지담론 전략과 기술」, 한국사회복지학 제65권 제2호, 2013
· 채수훈,「동(動) 테마 특집 : 테마 넷 ; 보편적 복지를 통해 모두가 행복한 나라, 스웨덴」, 지방행정 62권 715호, 2013
· 최연실,「한국가족복지정책의 현황과 평가」, 사회과학연구 제19권 제0호, 2004
· 허용훈,「박근혜 정부의 복지국가의 비전과 정책과제」, 동북아문화연구 제36집, 2013
· 홍기빈,「보편적 복지의 가치와 이념」, 플랫폼 통권 제35호, 2012
· 홍경준,「한국 노동복지론에 대한 세 가지의 접근 : 성과와 쟁점」, 상황과복지 제2호, 1997
· 홍봉수,「교정복지 관점에서의 스웨덴 사회복지에 관한 연구」, 교정복지연구 제13호, 2008
· Peter H, Lindert 외 2명, “극단형 복지국가 스웨덴이 주는 교훈”, 국제사회보장동향 창간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