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고용노동부 조직분석

"고용노동부 조직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4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6.05.20 최종저작일 2016.05
45P 미리보기
고용노동부 조직분석
  • 미리보기

    목차

    I. 서론

    II. 관리적 관점
    1. 고용노동부
    1)고용노동부 소개
    2)비전과 목표
    3)조직 및 산하기관의 역할
    2. 조직문화
    1)리더십
    2)업무관리
    3)인사관리
    3. 조직통제
    1)공직복무관리 및 청렴도 향상 대책
    2)시민의 감시 및 통제

    III. 정치적 관점
    1. 생애설계서비스 (장년나침반 생애설계프로그램)
    1)시행목적
    2)대상
    3)시행방식
    4)진행현황
    5)이해관계 및 목표대치 평가
    2. 청년취업 인턴제
    1)시행목적
    2)대상
    3)시행방식
    4)진행현황
    5)이해관계 및 목표대치 평가
    3. 시간선택제 일자리
    1)시행목적
    2)대상
    3)시행방식
    4)진행현황
    5)이해관계 및 목표대치 평가

    IV. 결론
    1. 최종결론

    본문내용

    서론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 전체 실업률은 4.6%, 청년실업률은 11.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고용전망보고서에 보고된 OECD회원국의 평균 실업률인 6.6%,에 비해 아직은 낮은 수준인 편이다.
    또한 고용의 다른 지표로서 고용률을 살펴보면 근로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15세~65세의 비율은 65.8%로 OECD 평균 고용률인 66%에 근접한 수치이다.
    그러나 실업과 고용에 문제에 있어서 국민이 체감하는 바는 그렇지 않다.
    고려대 노동대학원의 발표에 따르면 2015년 우리나라의 근속연수 1년 미만의 고용비율은 35.5%로 OECD 평균 비율인 16.5%에 비해 매우 높다.
    또한 기간제·시간제·파견제 등 비정규직 비율은 전체고용의 약 44.6%로 전체고용의 약 절반 수준이다.
    평균 퇴직연령은 매년 낮아지고 있으며 이는 조기퇴직의 불안을 심어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는 양적인 측면에서는 고용이 잘 진행되어지고 있는 것 같지만 질적인 측면에서 일하기 좋은 일터를 잘 구성하고 있지는 못한 것이다.

    특히, 고용 문제 있어서는 사회에 중장년, 여성, 장애인,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청년과 같은 노동의 취약계층은 이러한 질적인 고용문제를 훨씬 크게 체감할 수 있다.
    우리와 같은 대학교에서 학업을 마치고 갓 사회로 나온 청년들 또한 이러한 질적인 측면에서의 노동시장의 문제점을 크게 체감하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이러한 고용문제를 체감하고 있으면서도 현재에 안주한다면 고용문제의 개선과 발전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고용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동과 노동환경 및 처우개선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는 정부조직인 고용노동부 자체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함과 동시에 고용노동부 소관의 정책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감시와 평가 분석도 반드시 이루어져한다.

    이러한 이유로 지금부터 고용노동부 조직의 특징을 전반적으로 알아보고 고용노동부가 제시하는 목표가 관리적 관점과 정치적 관점에서 살펴보았을 때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평가해보겠다.

    참고자료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A%B3%A0%EC%9A%A9%EB%85%B8%EB%8F%99%EB%B6%80_%EC%9E%A5%EA%B4%80#cite_ref-1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EC%9D%98_%EA%B3%A0%EC%9A%A9%EB%85%B8%EB%8F%99%EB%B6%80_%EC%B0%A8%EA%B4%80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69406&cid=42107&categoryId=42107
    · 오창균. “野, 이기권 청문보고서 채택한 이유 알고보니.....”.『NewDaily』. 2014.07.09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210617
    · 이희준. “고영선 고용노동부 차관...KDI 20년 경력 경제통”.『이투데이』. 2014.07.25
    ·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956744
    · 김대욱. “[재산공개]고용부·관계기관 재산신고 1위는 32억 박영범 산업인력공단 이사장”. 『헤럴드경제』. 2016.03.25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325000299
    · 유하라. “차별해소 책임 노동부, 정작 자신 내부에선 차별하고 은폐”. 『REDIAN』. 2015.09.10
    · http://www.redian.org/archive/92505
    · 김지환. "노동부 고용센터 무기계약직 간 임금·복지수당 차별". 『경향신문』. 2015.12.23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12231738431&code=940702
    · 김대운. “중앙노동위원회. ‘고용노동부가 전화상담원 차별했다.’판정”.『환경TV』. 2015.09.11
    ·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html?no=52079
    · 남형도. “고용부 과장급 공무원, 국민추천으로 발탁”, 『머니투데이』. 2016.01.26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12610223492546&outlink=1
    · 안혜성. “[기획] 한 눈에 보는 2015년 국가직 9급 공무원시험”.『법률저널』. 2016.01.04
    ·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9200
    · 홍석호. “[단독] 노동 주무부처가 노동법 무시… 고용노동부 산하기관들, 근로계약서 교부 안해”.『국민일보』.2015.10.07
    ·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3270588&code=11131100&cp=nv
    · 고용노동부. 「공직복무관리 및 청렴도 대책」. 고용노동부. 2016.05.01.
    · http://www.moel.go.kr/view.jsp?cate=3&sec=17&mode=view&pimSeq=1&piSeq=1&bbs_cd=OP1403&state=A&seq=1393568790588
    · 홍원기(2014). 신규공무원 교육훈련 실시여건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
    · 김대빈. “정부의 근로자 생애설계서비스 시행”. 『에이블뉴스』. 2016.03.18
    · http://www.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48&NewsCode=004820160318103754601809
    · 김판용. “고용노동부, 장년 나침반 프로젝트 본격 추진”. 『웰빙뉴스』. 2015.03.22
    · http://www.iwellbeing.net/?c=2/16&p=2&uid=25349
    · 매경닷컴 속보부. “정부, 장년 전직 지원 의무화…50세 이상 직장인 대상”. 『매경닷컴』. 2014.0.25
    · http://people.incruit.com/news/newsview.asp?newsno=1546459
    · 신희강. “고용부 '장년 나침반 프로젝트' 본격 가동…"장년층 인생 설계 지원"”. 『아주경제』. 2015.03.18
    · http://www.ajunews.com/view/20150318162210600
    · 고용노동부. http://www.moel.go.kr/view.jsp?cate=5&sec=2&smenu=1
    · 장년나침반 생애설계프로그램. http://www.lifeplan.or.kr/index.do
    · 2015 장년나침반 생애설계 수기공모전 http://miz.kr/event/2015/151106_job.php
    · 네이버 블로그. “[중년/장년층] 인생이모작을 위한 생애설계서비스 지원!”. 고용노동부 공식블로그. 2016.03.04
    · http://blog.naver.com/molab_suda?Redirect=Log&logNo=220645490955
    · 고용노동부 직업능력개발 블로그. “[정책이야기]인생 이모작을 돕는 생애설계서비스 확대”. 2016.03.08
    · http://upgrade-u.tistory.com/3375
    · 사업 안내자료 e-book
    · http://www.nosa.or.kr/ebook/ecatalog.php?Dir=43&catimage=&callmode=admin
    · 신승일(2015). 중소기업 청년 인턴제에 관한 실증연구. 서강대학교 학위논문
    · 류장수(2015). 청년인턴제의 성과 분석. 『노동리뷰』, 통권(제 124호), pp.31-45
    · 중부일보. “청년고용대책, 관건은 실효성”.『중부일보』. 2016.01.22
    · http://www.joongbo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1041936
    · 김놀. “현실성 없는 ‘청년취업인턴제’”. 『경상매일신문』. 2016.02.16
    ·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_page.php?idx=130602&part_idx=289
    · 최영희. “‘청년취업 내일채움공제’ 7월부터 시행”.『파이낸셜뉴스』. 2016.05.05
    · http://www.fnnews.com/news/201605051632111430
    · 김하늬. “청년취업‘목돈 1200만원’, 뜯어보니 기존정책 ‘리패키지’?”. 『머니투데이』. 2016.05.02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6042915254510614&outlink=1
    · 김주완. “2년간 지원금 600만원 더 준다고 중기 취업자 늘어날까”. 『한국경제』. 2016.04.28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42787761
    · 고용노동부. 시간선택제 일자리
    · http://www.work.go.kr/empInfo/tsjEmpInfo/tsjBusiInfo.do
    · 이승한. “일과 육아 사이에서 자유롭고 싶은 ‘워킹맘 유아대디’ 전환형 시간선택제로 해결~!”. 『매일경제』 2016.05.10
    · http://news.mk.co.kr/newsRead.php?no=334254&year=2016
    · 대한상공회의소. 기업의 시간선택제 일자리 활용현황 조사
    · http://www.korcham.net/nCham/Service/Economy/appl/KcciReportDetail.asp?SEQ_NO_C010=20120928807&CHAM_CD=B001
    · 안승섭. “시간선택제 일자리, 기업․근로자 만족도 높아”. 『연합뉴스』. 2016.01.21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1/21/0200000000AKR20160121168000004.HTML?input=1195m
    · 노광표. “시간선택제 일자리, 이대로는 안 된다”. 『프레시안』. 2013.12.23
    ·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12585
    · 정성한. “경력단절여성 시간선택제, 실효성 미비”. 『제민일보』. 2016.03.29
    ·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90794
    · 조안나.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시간선택제 논란... 勞 ‘의료사고 위험’”. 『포커스뉴스』. 2016.04.07
    · http://www.focus.kr/view.php?key=2016040700143029661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