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기아자동차 재무분석 보고서(A+)
- 최초 등록일
- 2016.03.19
- 최종 저작일
- 2015.12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판매자pol****
14회 판매

목차
1. 현대차, 기아차 2014년 12월 재무상태표 재무비율 분석
2. 현대차, 기아차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재무비율 추세분석
3. 현대차, 기아차 지수분석(평점제도)
4. 현대차, 기아차 질적분석
5. 현대차, 기아차의 회사채등급
본문내용
선정이유
우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산업이자 제조업의 꽃으로 불리는 자동차산업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자동차 업계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유명하고, 코스피 시가총액 2위를 차지할 만큼 거대한 기업인 현대차를 선택하였고, 이와 비슷한 업종에서 자주 비교되면서 시가총액 7위에 해당하는 기아차를 선택하였다.
수업시간에 배운 재무비율과 여러 분석 기법을 통한 비교•분석으로 기업의 현황을 알아보고, 둘 사이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각 분석 방법들의 특색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더욱 잘 파악할 수 있는 계기로 삼고자 하였다.
<중략>
우선 두기업의 재무비율을 비교해 보았다.
수익성에서는 EVITA마진율, 매출액 순이익률,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현대자동차가 우수했으며, 자기자본 순이익률이나 총자산 순이익률은 기아차가 조금 높았다.
큰 차이나는 항목은 별로 없었지만, 매출액 순이익률과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현대차가 150%, 200% 높게 비교적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의 최종적이고 전반적인 경영활동의 합리성과 기업의 진정한 영업활동의 효율성은 현대차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기업의 안정성은 비교대상인 4가지 항목에서 대부분 현대차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당좌비율은 두 기업모두 100%이상으로 이상적 수치 이상이며, 유동비율은 현대차가 훨씬 큰 수치를 나타낸다.
또한 부채비율도 현대차가 훨씬 적으므로, 기업의 안정성은 현대차가 우월하다. 그러나 역으로 보면 부채의 레버리지 효과로 글로벌 경제상황이 개선될 경우 기아차의 수익이 더 많이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