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고 이를 통해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5.12.15
- 최종 저작일
- 2015.1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sony****
35회 판매

목차
Ⅰ. 서론: 성매매방지특별법
Ⅱ. 본론: 성매매방지특별법의 개정내용
1. 성매매특별법 개정이유
2. 주요개정내용
3. 성매매가 번창하게 된 사회 구조적 원인
4.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할 문제점과 해결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성매매방지특별법
성매매특별법은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성매매 처벌법)과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성매매 방지법)을 말한다. 2004년 9월23일부터 시행됐다. 2000년 9월19일 전북 군산 대명동 성매매집결지 화재로 성매매 여성 5명이 사망했고, 2년 뒤인 2002년 1월29일 군산 개복동 성매매집결지 화재로 성매매 여성 14명이 사망했다. 이 두 사건을 계기로 한국사회가 성매매 문제를 인권 시각에서 접근하게 됐고, 여성단체를 중심으로 성매매 피해여성을 보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게 됐다. 이 같은 동력은 성매매특별법 제정으로 이어졌다.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은 성매매와 성매매 알선, 성매매 목적의 인신매매를 근절하고, 성매매 피해자의 인권 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성매매란 불특정인을 상대로 금품이나 그 밖의 재산상의 이익을 받거나 받기로 약속하고 성교나 구강·항문 등 신체의 일부 또는 도구를 이용한 유사 성교행위를 하거나 그 상대방이 되는 것을 말한다.
참고 자료
박종성,『권력과 매춘: 억압의 음모와 도피의 흉계』, 인간사랑, 1996.
성노동. 다자키 히데아키 엮음 ; 김경자 옮김,『노동하는 섹슈얼리티 : 자본주의
사회의 성 상품화와 성노동』, 삼인, 2006.
김인숙,『여성복지론』, 나남출판, 2000.
김미령,『성적 착취고리 안에 있는 여성들의 삶과 꿈(간행물 ‘기독교 사상’에서
발췌).』, 대한기독교서회, 2001.
『http://www.mogef.go.kr/』← 여성가족부
『http://www.mohw.go.kr/』← 보건복지부
『http://kwdi.re.kr/』← 한국 여성개발원
『http://www.naver.com/』← 네이버 용어사전, 백과사전, 뉴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