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權悳永,「新羅下代 西·南海域의 海賊과 豪族」, 『韓國古代史硏究』41, 2006.․
· 신호철,「후삼국시대 溟洲호족과 崛山寺」, 『한국고대사탐구』 9, 2011.
· 鄭淸柱,「新羅末·高麗初 支配勢力의 社會的 性格 : 後三國 建國者와 豪族」, 『全南史學』9, 1995.
· 이행숙,「왕건과 견훤의 세력 형성과 해양쟁패」, 목포대 교육대학원, 2007.
· 이재희,「후삼국기 왕건의 호족통합정책과 호족의 귀부」, 한국교원대 대학원, 2001.
· 李景植,「高麗前期의 田柴科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김용선,「과거와 음서 : 고려 귀족사회의 두 가지 등용문」, 일조각, 2010
· 박용운,『고려후기 權門의 用例와 그 성격에 대한 재검토 』, 高麗史學會, 2003.
· 이강한, 「고려 충선왕의 정치개혁과 元의 영향」, 韓國文化.제43집, 2008, 우리는 신진사대부(新進士大夫)는 ‘새로 진출한 선비나 학자라는 뜻이다.’ 라고 정의하려 한다.
· 鄭淸柱,「新羅末·高麗初 支配勢力의 社會的 性格 : 後三國 建國者와 豪族」, 『全南史學』9, 1995.
· 이숙영,「신라말 고려초 호족에 관한 연구」, 전주대 교육대학원, 2005.
· 김대월,「나말여초 초적의 등장과 활동」,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2.
· 崔鍾奭, 「羅末麗初 城主·將軍의 정치적 위상과 城」, 『韓國史論』 50, 2004.
· 신호철,「후삼국시대 溟洲호족과 崛山寺」, 『한국고대사탐구』 9, 2011.
· 權悳永,「新羅下代 西·南海域의 海賊과 豪族」, 『韓國古代史硏究』 41, 2006.
· 박용운,『고려시대사』, 일지사, 2008.
· 변태섭,『한국사통론』, 삼영사, 1996.
· 김용선,「과거와 음서 : 고려 귀족사회의 두 가지 등용문」, 『한국사 시민강좌』 46, 2010.
· 김인호,『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2, 지식하우스, 2011.
· 박용운,『고려시대사』, 일지사, 2008.
· 박용운,『고려사회와 문벌귀족가문』, 경인문화사, 2003.
· 김종서,「신분갈등의 관점에서 본 고려 무인지배시대의 특성」, 문명연지, 2001. 참조
· 김아네스, 「고려무신정권에 관한 총체적연구」,· 한국중세사연구. 2010.
· 김인호 외 2명,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2』, 웅진지식하우스 2011.
· 김윤곤, 「한국중세역사상 : 제2편 고려시대의 사회변동 4장 고려무인정권 시기의 교정도감」, 영남대 민족문화 연구소, 2001.
· 이재범, 「대몽항전의 성격에 대하여」, 白山學報, 2004.
· 崔惠淑,『高麗時代 南京의 領域 』,한국사학논총간행위원회, 1999.
· 박용운,『고려후기 權門의 用例와 그 성격에 대한 재검토 』, 高麗史學會, 2003.
· 김윤곤,『한국중세의 역사상』, 영남대학교출판부, 2001.
· 조기봉, 「고려시가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 2003.
· 박용운,『고려시대사(수정증보판)』, 일지사, 2008.
· 이병희, 「고려말 토지겸병과 신진사대부의 동향」, 역사비평 개간 24호, 1994.
· 마종락, 「고려후기 성리학 연구의 역사적 의의」, 한국중세사학회 제 37회 연구발표회, 2000.
· 박용운, 『고려 시대사의 길잡이』, 일지사, 2007.
· 박경순, 「공민왕 대 신진사대부에 대한 고찰」,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학위), 2003.
· 김지희, 「고려 우왕대 신진사대부의 동향」. 숙명여대 대학원(석사학위), 2005
· 朴龍雲 ,『儒州(始寧·文化)柳氏의 사례를 통해 본 高麗社會의 一斷面 - ‘嘉靖譜’를 참고로 하여 - ,韓國史學報 제24호, 2006.
· 李正浩,『高麗後期 安東權氏 가문의 經濟的 기반 - 權仲時-權守平 계열을 중심으로 -』, 韓國史學報 제21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