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2014), 초등학교 도덕 4 교사용지도서, 서울: ㈜천재교육.
· 구견서(2003), 다문화주의의 이론적 체계, 현상과 인식,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7(3).
· 권금상 외(2013), 9가지 접근 다문화사회의 이해, 서울: 태영출판사.
· 김미숙(2004), 북한이탈학생의 학교적응 실태분석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김범춘(2013), 다문화사회의 정치철학으로서 공동체주의의 가능성, 시대와 철학, 24(2), p.63.
· 김지현(2008),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와 교육, 철학연구, 대한철학회, 106.
· 김호연(2011), 한국의 동화주의적 이민자 정책과 다문화주의, 인문과학연구,
·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2012), 한국 다문화에 관한 담론, 서울: 경인문화사.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연구사업단(2009), 다문화의 이해: 주체와 타자의 존재방식과 재현양상, 서울: 도서출판 경진문화.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다문화콘텐츠연구사업단(2010),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제, 서울: 도서출판 경진문화.
· 박성춘(2012), 통일교육 학술 연구 문헌 분석, 윤리연구, 한국윤리학회, 84.
· 박찬석 외(2000), 통일교육론, 서울: 도서출판 백의.
· 박찬석(2003), 통일교육, 갈등과 분단을 꿰뚫는 평화의 길찾기, 서울: 인간사랑.
· 엄한진(2011), 다문화사회론, 서울: 도서출판 소화.
· 오경석 외(2007),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경기 파주: 도서출판 한울.
· 이용재(2010), 다문화주의에 대한 이론적 논의, 한국언론정보학회 <작은 토론회 3> 자료집, 한국언론정보학회.
· 이향규(2007),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 적응 실태와 과제, 인간연구,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12.
· 전숙자 외(2009), 다문화 사회의 새로운 이해, 서울: 도서출판 그린.
· 정환희, 통합교육을 위한 도덕과 교수학습전략, 교육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56.
· 조원탁 외(2012),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실천, 경기 파주: 양서원.
· 통일부 통일교육원(2013), 2013 통일교육 지침서(학교용), 서울: 통일부.
· Kymlicka, W(1995). Multicultural Citizenship, Oxford.
· Parekh, B.(2006), Rethinking Multiculturalism: Cultural Diversity and Political Theory, Hampshire: Macmillan Publishers.
· Rawls, J.(1971), A Theory of Justic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황경식 역(2012), 정의론, 서울: 이학사.
· Saha. L. (1984). “Introduction”. in D. Phillips & J. Houston (eds.), A ustralian Multicultural Society: Identity. Communication, Decision Making. Blackburn: A Drummond Book.
· Sandel, M. J. (2009), 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 New York: Farrar, Straus and Giroux, 이창신 역(2010), 정의란 무엇인가, 경기 파주: 김영사.
· Sherlon P. Pack-Brown(2008), Ethics in a Multicultural Context, Sage Publications; 박균열 외 역(2009), 다문화주의 윤리학, 서울: 철학과현실사.
· Valerie Ooka Pang(2001), Multicultural Education: A Caring-Centered, Reflective Approach, Boston: Mc Graw 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