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준만, 대중매체 법과 이론(서울: 인물과 사상사, 2001)
· 구병삭, 신헌법원론, 제2전정판(서울: 박영사, 1995)
· 권영성, 신고헌법학원론(서울: 법문사, 2002)
· 김동민, 언론법제의 이론과 현실(서울: 한나래, 1997)
· 김일수, 형법각론(서울: 박영사, 1996)
· 김중배, 미디어와 권력(서울: 나남출판, 1999)
· 김철수, 헌법학개론, 제2전정판(서울: 박영사)
· 배재식, 법학방법론서설, 서울대 법학 제25권(서울: 서울대 법학연구소, 1984)
· 배종대ㆍ이상돈, 형사소송법(서울: 홍문사, 1996)
· 서정우ㆍ차배근ㆍ최창섭, 언론통제이론(서울: 법문사, 1993)
· 송효빈, 체험적 신문론(서울:나남, 1993)
· 심현섭, 법철학Ⅰ(서울: 법문사, 1982)
· 양 건, 법사회학(서울: 아르케, 2000)
· 윤석홍 외, 신문방송, 취재와 보도(서울: 나남출판, 2000)
· 이상철, 신문의 이해(서울: 박영사, 1999)
· 이시윤, 민사소송법, 신정3판(서울: 박영사, 1997)
· 이은영, 채권각론, 개정판(서울:박영사, 1993)
· 이종상ㆍ홍천용, 법학개론, 개정판(서울: 동명사, 1984)
· 이종수ㆍ이진구ㆍ안수근 외, 정보사회와 매스컴(서울: 이진출판사, 1998)
· 임병국, 언론법제와 보도(서울: 나남출판, 2002)
· 정성근, 형법각론(서울: 법지사, 1996)
· 최대권 외, 법사회학의 이론과 방법(서울: 일신사, 1995)
· 최종고, 한국의 법사상(서울: 박영사, 1983)
· 법사상사(서울: 박영사, 1985)
· 팽원순, 매스코뮤니케이션법제이론, 개정판(서울: 법문사, 1987)
· 한국언론법제론(서울: 법문사, 1994)
· 한국기자협회, 기자통신(한국기자협회, 2003. 11월호)
· 한병구, 언론과 윤리법제, 증정판(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 허영, 한국헌법론(서울: 박영사, 1993)
· 강경근, 표현의 자유와 명백ㆍ현존하는 위험 원칙, 미국헌법학회(미국헌법연구 제8집, 1997)
· 권영성, 자유언론과 책임언론을 위한 언론법제(헌법논총 8, 1997)
· 김대호ㆍ정용준, 새로운 미디어 환경과 법구조의 개선방향, 정보화시대의 미디어와 문화(서 울: 세계사, 1998)
· 김민남ㆍ안영민, 시민 저널리즘의 지역성과 지역언론 발전 방향 연구(동아대학교, 대학원 논 문집 제24집, 1996)
· 김민남, 시민의 알 권리, 한병구 편, 언론법제통론(서울: 나남, 1990)
· 김원용, 한국언론의 현황과 발전을 위한 과제, 언론연구(서울: 삼성언론재단, 1997)
· 류근일, 언론이 보는 사법부, 언론과 사법 세미나 보고서(법원행정처, 1995)
· 류일상, 미국의 취재원 보호법과 주요 판례, 한국언론재단(세계 언론법제 동향 통권 제7호, 2000)
· 박용상, 언론이 사법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 사법 세미나 보고서(법원행정처, 1995)
· 성낙인, 한국 언론법제의 특징과 문제점(언론중재 봄호, 1994)
· 유의선, 취재원 보호의 적정 범주에 관한 법적 고찰, 한국방송학회(한국방송학보 제17권 제 14호, 2003)
· 유재천, 언론의 과제, 한국언론의 현주소(서울: 한국언론연구원, 1991)
· 윤재윤, 취재원 묵비권의 인정한계, 한국기자협회(기자통신, 2003・11월)
· 이관희, 언론의 자유에 있어서 취재원 비익권의 법리(경찰대학논문집 제5권, 1986)
· 이광재ㆍ한균태, 한국 언론인의 직업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커뮤니케이션 조사연 구소(커뮤니케이션 연구 제7집, 1990)
· 이광재, 취재원 익명 보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저널리즘 비평 제17호, 1995)
· 이민웅, 취재ㆍ보도의 자유의 토대와 한계: SBS 몰래카메라 보도의 함의, 한국방송학회․SBS 주최. 취재원 보호, 알 권리 그리고 보도의 자유 세미나 자료집(2003)
· 이승선, 기자의 통화내역 조회와 취재원 보호간의 갈등(언론정보학회, 언론정보학보 통권 25호, 2004)
· 이인호, 뉴미디어의 발전과 언론자유법의 새로운 전개, 헌법논총 8(서울: 헌법재판소, 1997)
· 이재경ㆍ김진미, 한국 신문기사의 취재원 사용관행 연구,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학 연구 제 2호, 2000)
· 이진구, 의사공시자유의 기본권 보장에 관한 고찰(동아대학교, 동아논총 29집 사회과학편, 1992)
· 방송자유의 제도적 성격에 관한 고찰(동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논집 제 16집, 1999)
· 이태곤, 텔레비전 보도로 인한 인격권 침해의 법적 근거와 침해유형 및 면책사유에 관한 연 구(동아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장호순, 언론법 교육의 현실과 문제점(언론중재, 1998・가을)
· 정진석, 언론법제 연구동향(언론중재, 1999년 겨울호)
· 조재현, 헌법상의 취재원 보호에 관한 미국, 독일과 우리나라의 이론과 판례(연세대학교 법 학연구소, 법학연구 제11권 제3호, 2001)
· 차용범, 언론보도에 의한 명예훼손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동아대학교 논문집, 2000)
· 언론법제 연구의 몇가지 과제-판례 연구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언론학연구 제4집, 2000)
· 공인의 명예훼손에 대한 사법적 논의의 한계, 한국언론학보 제45-2호(한국언론학 회, 2001・봄)
· 공인의 명예훼손에 대한 판결 기준의 변화 추세, 한국언론학회(한국언론학보 제 46-3호, 2002・여름)
· 연예저널리즘과 인격권 보호, 언론중재위원회(언론중재, 2002・겨울)
· 팽원순, 기자단과 우리 취재구조, 신문연구 여름호(1990)
· 한위수, 법관이 본 사법관련 보도의 문제점과 제언(언론중재, 1994・가을)
· 濱田純一, 情報法(東京: 有斐閣, 1993)
· 上口 裕, 刑事司法における取材‧報道の自由(東京: 成文堂, 1989)
· 石村善治, 言論法硏究Ⅱ(東京: 信山社, 1993)
· 松尾 直, 情報法と プライバシ一權(文眞堂, 1995)
· 日本新聞協會硏究所, 新法と新聞(東京: 日本新聞協會, 1990)
· 浦田賢治 編, 新‧判例コンメンタ-ル日本憲法 1(東京: 三省堂, 1993)
· 브라이언 S. 브룩스 외, 취재와 보도(한국언론연구원, 1994)
· 프랭크 맥컬록, 일선기자의 고민과 결단(서울: 대학출판사, 1988)
· The Commission on Freedom of the Press, A Free and Responsible Press(Univ. of Chicago Press. 1966), 이규종ㆍ이광재 공역, 매스컴의 자유와 책임(서울: 보문 각, 1969)
· The Missouri Group, News Reporting and Writing, 4th Ed. (Missouri: St. Marti n′s Press, 1992). 한국언론연구원 편역, 취재와 보도(서울: 한국언론연구원, 1994)
· Kompetenz, B. Verf GE 36, 193 독일연방헌법재판소, 1973. 11. 28. 결정.
· Zipplius, R., 김형배(역), 법학방법론(서울: 삼영사, 1981)
· Benjamin, C. Bradlee, Standards and Ethics, Webb. R. A.(ed), Washington Post Deskbook on Style, McGraw-Hill, New York. 1978.
· Carey, James. A plea for the University Tradition, Presidential Address to the Association for Education in Journalism, Seattle, Washington, 13 Aug. 1978.
· Gillmor, Donald M. and E.E.Dennis, Legal Research in Mass Communications,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1981)
· Joseph R. Dominick, The Dynamics of Mass Communication, 3rd.,(NY, McGraw-hill, Inc., 1993)
· Overbeck, Wayne. Major Principles of Media Law, (FL: Harcourt Brace & Company,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