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문화정책론 신촌연세로 활성화 방안

"문화정책론 신촌연세로 활성화 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11.25 최종저작일 2014.05
15P 미리보기
문화정책론 신촌연세로 활성화 방안
  • 미리보기

    목차

    Ⅰ. 배경설명

    Ⅱ. 신촌 문화형성을 주도하는 주체
    1. 지방정부
    가. 지방정부입장의 신촌
    나. 지방정부가 주도한 도시문화 형성
    2. 기업
    가. 기업입장의 신촌
    나. 도시문화 형성에 기여한 기업
    3. 시민
    가. 시민입장의 신촌
    나. 자생적으로 발생한 도시문화

    Ⅲ. 창조도시로서의 신촌

    본문내용

    한국전쟁 이후로 경제적으로 급격하게 성장한 대한민국은 선망하는 선진국의 반열에 올랐지만 급성장에 대한 후폭풍을 정리하기엔 아직 ‘선진국’이란 단어가 어색하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개발과 성장이라는 가치아래 기타 유럽이나 북미 선진국의 모습들을 닮아가기 위해 갈등조정, 인간중심 등의 민주적 가치를 뒤로 제쳐놓고 건물을 높이 올리고 자동차 중심의 도시건설에만 집중을 한 것이다. 이렇다보니 만성적인 교통정체, 대기오염, 각종 안전사고, 심리적 불만 등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게 되었다. 중앙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이것에 대한 심각성을 깨닫고 뒤늦게 도로이용의 효율성과 보행권 즉, 사람중심의 도시 건설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고 2000년대 이후부터 사람과 대중교통이 우선하고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보행자전용도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광장 설치 등 부단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서대문구에 위치한 신촌은 최근 위와 같은 초점의 일환으로 연세대학교정문에서 신촌 전철역 2호선에 해당하는 550m 구간의 연세로를 문화의거리로 지정, 대중교통전용지구를 실시 중이다. 또 장기적으로 연세로는 대중교통마저도 찾아볼 수 없는 보행자중심도로로 전환될 예정이며 오직 ‘사람’만이 이 도로를 활보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1990년대의 ‘신촌’은 ‘홍대’와 함께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거리이자 상권이었으나 불편한 이동 환경과 교통체증 등으로 인해 시민들이 불편을 겪어왔다. 그러한 여파로 홍대 주변 상권은 점점 더 활성화가 되어 가고 있으나, 신촌은 점차 퇴보해 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 때문에 서대문구를 비롯한 신촌상권, 지역주민들의 고민은 날로 깊어져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같은 고민을 타파하기 위해 최근 서대문구의 적극적 노력으로 다양한 아이디어를 수집중이고 실제로 이를 토대로 여러 가지를 시험 중이다.

    참고자료

    · 서대문구.「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및 활용방안」.『정례간부회의자료』. 서대문구. 2013.
    · 서대문구.「신촌 연세로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탈바꿈」. 서대문구청홈페이지 보도자료. 서대문구. 2014.
    · 서대문구 주최.「신촌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공개포럼」.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011.
    · 서울특별시.「신촌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역 문화·경제 거점으로 재탄생 」. 서울특별시. 2014.
    · NICE신용평가정보(주). NICEBIZMAP 상권분석 서비스. 2012.
    · 네이버(주). Naver Line 분석 서비스. 2013.
    · 박정한.「창조도시 조성을 위한 문화시설 입지 특성에 관한 연구 = (A)study on location features of the cultural facilities for constructing creative city」.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 이병민.「콘텐츠 중심 창조적 문화도시의 발전방향」.『서울경제』제 108호. 서울특별시 서울연구원. 2014.
    · 조화.「스마트폰 이용자의 성별·연령별 이용현황에 대한 연구」.『Internet & Security Focus』제 13호.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 유명희.「관광지의 랜드마크, 관광지의 이미지, 관광자 행동의 영향관계 -인천의 사례를 중심으로-」.『한국사진지리학회지』제 20호 No.4.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11.
    · 정세훈.「중장년 세대를 중심으로 본 문화의 융합적 관점」.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 박혜자.「문화정책과행정」. 대영문화사. 2011.
    · 내은영.「피드백 추구 행동의 선행요인과 결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 김유리. ⌜창의적 사고기법을 통한 표현력 향상에 관한 연구 : 브레인스토밍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박상수. ⌜보행자 중심의 보행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연세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5.
    · 김은아. ⌜도시디자인의 트렌드 : 세계주요도시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한국디자인포럼』제 20호 181-190쪽.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 최현선. ⌜전략적 기획⌟.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2013.
    · 전지훈. ⌜창조도시의 개념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07.
    · 김주영. ⌜부산 영상문화도시 형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 이은지.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상향식 커뮤니티개발 모델에 관한 연구 : 서대문구 마을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4.
    · 권계희. ⌜가로구조물을 고려한 신촌 가로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 최 광 기자. ‘오프라인으로 뛰쳐 나온 라인·카카오톡’. 머니투데이. 2014.06.14, 13시 접속
    · http://www.mt.co.kr/view/mtview.php?type=1&no=2014060509400117876&outlink=1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