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프린터란(개념), 혁명이유6가지, 부작용이유3가지, 예시사진부착, A+.(산업공학도에게 특히좋음)
- 최초 등록일
- 2014.10.27
- 최종 저작일
- 2013.10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3D 프린터 혁명 이유(장점), 과 부작용에 대해 조사한 레포트입니다. 3D 프린터 몇몇 사용예시 사진부착하였습니다.(제과점, 의료기구 등등), 산업공학도에게 특히 좋은 자료입니다. 3D 프린터 개념(원리)는 간략한 설명했습니다. 장, 단점이 주요 내용입니다.
목차
1 도입
1.1 3D프린터 이슈
1.2 조사내용
2 본론
2.1 3D프린터란
2.2 혁명이유
2.3 부작용이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도입
2013년 2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올해 연두 국정연설에서 “거의 모든 제품의 제작 방식을 혁신할 잠재력을 가졌다”, “미국 제조업을 다시 일으킬 혁신기술이다” 며 3차원(3D) 프린터에 대한 예찬론을 펼쳤다.
미국 MIT 테크놀리지뷰에서는 3D프린터를 세상을 바꿀 기술로 선정하였다.
1.2 조사내용
세계 정상급 나라들과 각 국을 대표하는 과학칼럼에서 주목하는 3D프린터는 대체 무엇인가? 21세기형 연금술로 불리는 3D프린터는 왜 혁신적인가? 또한 3D프린터의 한계점은 무엇들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2.1 3D프린터란
3D프린터란 컴퓨터 디자인프로그램으로 만든 설계도(3d모델링)대로 입체적 물체를 만들어내는 기계를 말한다. 기본적 원리로 프린터 노즐에서 잉크 대신 합성수지를 분사해 얇은 막을 쌓아올리거나 레이저를 이용해 플라스틱, 금속, 콘크리트 등을 설계도대로 깎아내는 방식을 사용한다.
3D프린터는 크게 세 가지 방식을 가진다. 첫 째 액체로 된 상태에서 플라스틱이나 물질을 레이저로 쏘는 방식이다. 둘 때는 플라스틱 필라멘트 물체를 국수형태로 만들어 녹여 쌓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파우더를 풀이나 레이저로 굳히는 방식이다.
2.2.1 개인에 맞춘 소품종대량 생산
수요가 많던 과거에는 만들면 팔리는 소품종 대량생산의 시대였다. 그러나 시대가 흘러 기술이 발달하며 공급이 많아졌다. 그러자 사람들은 자신의 입맛에 맞는 제품을 선택하기 시작했다. 즉 다품종 소량생산의 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기업에서는 개인별 선호에 맞추기 위해 노력 중이나 생산 비용을 낮추기 위해 표준화된 제품을 대량 생산 할 수 뿐이 없다. 소량 생산으로 인한 단가 상승이나, 다양한 부품으로 인해 관리가 어렵고 다양한 Lot에서 오는 복잡성은 일의 능률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이렇듯 현재 제품의 수명주기는 줄어들고 있다.
참고 자료
KBS1 9시뉴스,「미래기술'3D프린터'세계가 주목」
네이버지식백과 시사상식사전,‘3D프린터’
SBS,「서울디지털 포럼 생산의 민주화: 3D 프린팅이 제조업의 미래를 밝힌다.」
맛있는 뉴스토마토 기사
“(집중기획)①제3의 산업혁명, '3D 프린터 태풍' 온다!”,2013.07.17
맛있는 뉴스토마토 기사
“(3D프린터 혁명)②"미래 제조업 패권 걸렸다"..글로벌 경쟁 '치열'”, 2013.07.17
다음 블로그tistory – http://geconomy.tistory.com/481
뉴스플러스,「'3D 프린터 시대'...생체조직도 복제 가능」
Betanews,“3D 프린팅, 제조업의 개념을 바꾼다.”,2013.04.14.,이직
CBS노컷뉴스, “3D 프린터…권총에 이어 '총알'까지”, 2013.05.13., 홍주은
ZD Net Korea, “3D 프린터 작업, 흡연 보다 고위험↑”,2013.08.04., 이도원
MBC, 「특파원 레이더-'3D 프린터' 디지털 산업혁명 이끈다.」
머니투데이방송(MTN), 「곽현화의 MagaZine-3D 프린터 에디슨」
SBS, 「SBS모닝와이드-3D 프린터 에디슨」
채널IT, 「스마트쇼-3D프린터 에디슨」
KBS2, 「생방송 세계는 지금-3D프린터, 모든 것을 출력하다」, 2013.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