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 숙주 방어기전과 면역
- 최초 등록일
- 2014.10.18
- 최종 저작일
- 2014.02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I.개요
II. 비 특이적 숙주 방어기전
1.물리적 방어 기구
1)피부, 점막
2)섬모,점액
2. 화학적 방어 기구
1)항균물질
2)pH의 역할
3)인터페론
3. 인체의 정상 상재균총
4. 식균작용
5.염증반응
6. 발열
III.특이적 숙주 방어기전
1.개요
2.특이적 면역반응
1)항체 매개성 면역
2)세포매개성면역반응
3.예방접종
1)약독화 생백신
2)사균 또는 불성화백신
3)혼합백신
IV. 면역반응의 억제
V. 자가면역질환
VI. 과민반응
1) I형- 아나팔락시형 반응
2)II형- 세포독소형반응
3)III형 면역 복합체형
4)IV형- 지연형
VII. 면역 결핍증
본문내용
감염과 발증을 일으키는 능력을 미생물 측면에서 보면 병원성으로 표현되지만, 숙주 축에서 보면 감수성으로 표현된다.
감수성은 숙주의 정신적, 육체적 피로, 영양의 저하, 순환장애 , 알코올 중독 등 여러 가지 생리적 조건에 따라 변동된다. 이밖에도 유전 계열, 성별, 연령 등에따라서도 달라진다.
정상적인 생체는 병원체가 조직내로 침입하는데에 저항성 또는 숙주 방어기전을 나타낸다.
II. 비 특이적 숙주 방어기전
방어의 최우선 단계는 비 특이적 방어로서, 여러 병원체들이 침입하는 문호에서의 미생물 감염에 대한 생리적 장벽, 식균 작용, 염증성 반응, 보체와 같은 체액성 성분이 관여하여 병원체의 감염을 막는 방어 기전을 말한다
1.물리적 방어 기구
1)피부, 점막
건강한 사람이나 피부나 점막은 병원체가 체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어 한다.
피부는 두꺼울 뿐만 아니라 피부 분비물을 살균작용을 함으로써 세균의 침입에 대해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한다.
피부층의 가장 바깥표면은 미생물의 표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지 않는 단백질인 keratin으로 구성되어 있다. 만일 피부에 찰과상이나 미세한 상해 등을 받으면 병원균은 그곳을 통해서 침입하고 그 곳을 통해서 침입하고 피하조직에서 증식하며 염증과 농을 형성하게 된다.
2)섬모,점액
호흡기계는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에 대해 상부 호흡기계의 코와 인두를 따라 섬모와 점액 분미물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된다. 재채기와 기침은 호흡기계를 통해 들어오는 많은 미생물을 제거하는 인체의 방어 방법이기도한다.
장관 안에서의 살균작용은 장관벽에서 분비되는 점액이 중요한 방어 기전의 역할을 한다.
담즙은 여러 가지 균종에 대해서 살균 작용을 한다.
생식기의 점막은 두꺼운 상피조직과 산, 그리고 점액성 분비물에 의해서 미생물의 침입을 방어 하고 있다
2. 화학적 방어 기구
1)항균물질
라이소자임은 타액과 눈물, 점약을 포함한 다른 체액에서 발견된다.
Lactoferin은 눈물, 정액, 모유, 담즙 그 리고 비인두, 기관지 , 자궁경부 및 소장점막 분미불에 존재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