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신창, 『북한학원론』, (서울 : 을유문화사, 1998)
· 권영경, “북한의 경제현황과 개혁·개방” 『북한이해 2005』,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연구개발과, 2005)
· , “북한의 경제현황과 개혁․개방.” 『북한이해 2008』.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8)
· 김남식, 『남로당연구』(서울: 돌베개, 1984)
· 김봉현, 『‘조선로동당’ 연구자료집』(서울 : 국토통일원, 1978)
· 김성철, “통치 스타일과 정치체계의 운용”, 『김정일 연구 Ⅰ: 리더쉽과 사상』, (서울 : 통일연구원, 2001)
· 김현식․손광주, 『다큐멘터리 金正日』, (서울: 도서출판 천지미디어, 1997)
· 김현철․서보혁 역, 『실패한 외교: 부시, 네오콘 그리고 북핵 위기』(사계절출판사, 2008)
· 남만권 외, 『북한 군사체제 : 평가와 전망 』(서울: KIDA Press, 2006)
· 박갑수, “북한의 군사전략과 군사력”, 『2003 북한이해』, (서울: 통일부 통일교육원 연구개발과, 2003)
· 서대숙, 『현대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과 김정일』(서울: 을유문화사, 2000)
· 서대숙·서주석 역,『북한의 지도자 김일성』(서울: 청계연구소, 1989)
· 서동만․남기정 역, 와다 하루끼 저, 『북조선』(서울: 돌베게, 2002)
· 서옥식, 『북한의 선군정치론』, (도리, 2006)
· 서재진,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새로운 분석』, (서울: 통일연구원, 2001)
· , 『북한의 경제난과 체제 내구력』, (서울: 통일연구원, 2007)
· 양현수, “북한군의 정치적 위상과 역할 - 북한의 ‘군사국가화’ 논의 비평”, 『21세기 남북한과 미국』, (서울 : 삼영사, 2001)
· 연합뉴스, 『북한연감』, (서울: 연합뉴스, 2002)
· 이교덕., 『김정일 현지지도의 특성』(서울: 통일연구원, 2002)
· 이대근, 『북한 군부는 왜 쿠데타를 하지 않나 : 김정일 시대 선군정치와 군부의 정치적 역할 』(서울: 한울, 2003)
· 이민룡, 『김정일 체제의 북한군대 해부』(서울: 황금알, 2004), pp. 118-130.
· 이종석,『신북한 정치론』, (서울: 동림사. 2005)
· , “김정일시대 조선노동당”, 『김정일 시대의 당과 국가기구』(성남: 세종연구소, 2000)
· , 『김정일시대의 당과 국가기구』(서울: 세종연구소, 1999)
· , 『조선로동당 연구』(서울: 역사 비평사, 1995)
· 이종석․백학순, 『김정일 시대의 당과 국가기구』, (성남: 세종연구소, 2000)
· 임순희 외, 『북한인권백서 2006』, (서울: 통일연구원, 2006)
· 정영태, 『김정일 체제하 군부의 역할 : 지속과 변화』(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5)
· 정영태, 『북한군대의 대내외 정세 인식형성과 군대변화』, (서울, 통일연구원, 2007)
· 최송화, “헌법과 통치구조”, 『북한개론』(서울: 을유문화사, 1993), pp. 52〜53.
· 최완규, “조선인민군의 형성과 발전”, 『북한체제의 수립과정』(마산: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1)
· 최완규, 『북한은 어디로』(마산: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6)
· 허문영, 『북한 외교정책 결정구조와 과정: 김일성 시대와 김정일 시대의 비교』(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8)
· 황장엽, 『개인의 생명보다 귀중한 민족의 생명』(서울 : 시대정신, 1999)
· 황장엽, 『어둠의 편이 된 햇볕은 어둠을 밝힐 수 없다』, (서울: 월간조선사, 2001)
· 1.1. 2. 정기간행물
· 고영환, “북한의 정책결정과정에 관한 소고”, 『북한조사연구』,1권1호, 1997.
· 고유환․김용현, “북한의 선군정치와 군사국가화 연구”,『서울평양학회보』창간호, 2002.
· 김성철, “위기 속의 정치⦆체제 변용과 그 전망”, 『통일경제』 1997년 9월호, pp. 17~19.
· 김영윤, “북한의 중국식 개혁·개방 성공을 위한 과제 :北, 실질적 '시장경제' 도입 확대 체제전환적 개혁 앞서야”, 『자유공론』, 제42권 12호 통권489호, 2007년, p. 28.
· 김진무, “북한의 정책결정 과정에서 군부의 영향”, 『한반도 군비통제』, 31집, 2002, pp. 3-83.
· 김진철, “북한은 당․군 관계에 대한 연구”, 『안보연구』19권(1990.6), p. 18.
· 김창근, “북한 당․정․군권위관계의변화 1990년대를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제9권 1호, 2000, p. 188.
· 김창희, “김정일 시대 북한의 체제유지와 실리사회주의.”,『북한연구학회보』,9(2). 2005, 74.
· 김창희, “북핵문제에 대한 북ㆍ미간 갈등과 6자회담”,『한국동북아논총』, (12,1), 2007, p. 130.
· 류길재, “예외국가의 군사화”, 『현대북한연구』4권1호(2001), pp. 146〜150.
· , “조선인민군의 경제개방정책에 대한 이해관계 연구”, 『안보학술집』 제11권제2호, p. 221.
· 배성인, “1990년대 북한의 지배담론 변화 ‘우리식 사회주의’에서 ‘강성대국론’까지”, 『북한연구』, 제3권, 2000, p. 166.
· 배성인, “북한 권력구조 개편과 김정일 정권의 권력엘리트”,『북한연구학회보』제4권1호, 2000, p. 135.
· 백승주, “선군정치하 북한군 역할과 위상변화”, 『국방정책연구』54호, 2001, p. 150.
· 안찬일, “김정일 체제와 선군정치”, 『통일로』제32호, 1999년 8월호, pp. 46~53.
· 안찬일, “북한군의 정치기구에 관한 체계론적 연구”,『안보학술논집』, 1995, pp. 29-31.
· 오일환, “북한의 선군정치의 현황과 쟁점 분석”, 『쟁점과 연구』, 1권1호, 2006, pp.95-118.
· 이기동, “선군시대로의 이행과 후계구도”, 『김일성 사후 10년, 김정일체제 평가』제4회 한․중․일 국제학술회의, (2004. 2. 20), p.2.
· 이대근, “조선인민군의 정치적 역할과 한계”, 현대북한연구』4권2호, 2001.
· 이민룡, “북한군부의 정치적 성향과 민군관계 발전에 관한 소고”, 『육사논문집』제48권, 1995.
· 이석호, “북한 정치권력 승계에서 군의 역할”, 한국정치학회보』(1998.12), 1998.
· 이창헌. “김정일 시대 ‘선군정치’의 대외정책적 함의.” 『정치․정보연구』9(1). 2006, p. 298.
· 이태섭, “1990년대 북한의 경제위기와 군사체제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 『2001 신진연구자 북한 및 통일관련 논문집』제 3권, p. 265.
· 임을출. “북한식 도이머이 정책의 성공과제와 가능성”, 『자유공론』489. 2007.
· 장철현, “북한의 통일전선사업부 해부”, 『북한조사연구』 제11권 1호, 2007.
· 전현준, “김정일의 리더십과 권력기반”, 『계간사상』 1997, p. 118.
· 정성임, "북한의 '서군정치'와 군의 역할", 『국방연구』제47권 제1호, 2004.
· 정성장, “김정일의 ‘선군정치’: 논리와 정책적 함의”, 『현대북한연구』제4권 2호. 2001.
· 정성장, "북한의 파워 엘리트 변동: 동향과 전망", 『JPI 정책포럼』, No. 2010-23, 2010.
· 정영태, “김정일정권하 정치군사체제 특성과 변화과정”, 『김정일정권 10년 변화와 전망』, 통일연구원 학술회의 발표논문, 2007
· 최순옥 “선군정치는 우리 당의 위대한 혁명방식”, 『철학연구』주체90, 제3호, 2001. p. 16.
· 최진욱, “개정헌법 이후 북한의 권력구조 정책전망”, 『통일연구논총』, 제7권 2호, 1998.
· 최진욱, “북한 선군정치의 정치적 함의”, 『현대북한연구』제 4권 2호, 2001.
· 한용섭, “북한 권력구조의 동요: 군부와 노동당”, 『계간사상』, 1997년 가을호, p. 153.
· 현성일, “북한사회에 대한 노동당의 통제체계”,『북한조사연구』제 1권 1호, 1997, p. 26.
· 1.2. 3. 학위논문
· 곽인수, “조선노동당의 당적 지도에 관한 연구”, 경남대 북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김근식, “북한 발전전략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1950년대와 1990년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정치학과 박사논문, 1992.
· 김용순. “북한의 대미 외교형태 분석: 선군 리더십의 위기관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김용현, “북한의 군사국가화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김인규, "북한의 당․군 관계 변천과정 분석," 국방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 송인영, “중국정치에서의 군의 역할 : 공산당대회를 중심으로”, 경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1.
· 이대근, "조선인민군의 정치적 역할과 한계-김정일 시대의 당․군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이정주, “북한의 대외정책 결정과정과 군의 역할”,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최주활, “북한체제에서의 당-군 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현성일, “북한의 국가전략과 간부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남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Chico Harlan, "North Korea succession: Kim Jong Il appoints Jang Song Taek caretaker for Kim Jong Eun," The Washington Post, (August 16, 2010)
· Colton. Timothy J., Ibid, pp. 12-22.
· Colton. Timothy J., Perspective on Civil-Military Relationsin the soviet Union, (Princeton, New Jergy: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17.
· Joffe, Ellis, The Chinese Army After Mao,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p.44
· Kolkowicz, Roman, The Soviet Military and the Communist Part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7) 19-20
· Kolkowicz, Roman.. “Toward a Theory of Civil-Military Relation in Communist (Hegemonial) System,” in Roman Kolkowicz and Anfezej(eds.)., Korbonski Soldiers, Peasants and Bureaucrats: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and Modernizing Societies, (London: George Allen& Unwin), 246-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