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통치이념
- 최초 등록일
- 2020.08.14
- 최종 저작일
- 2018.09
- 18페이지/ MS 워드
- 가격 2,500원
목차
1. 북한의 초기 통치이념: 마르크스-레닌주의
2. 김일성 체제의 통치이념: 주체사상
3. 김정일 체제의 통치이념: 선군사상
4. 김정은 체제의 통치이념: 김일성-김정일주의
본문내용
해방과 더불어 북한에서는 사회주의 이념이 도입된다. 사회주의가 공식 이데올로기로서 표면에 부상하게 된 것은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2월이었다. 김일성은 전쟁 중 주민을 대상으로 한 사상교양의 필요성을 느꼈고, 사상교양 사업의 이데올로기로서 맑스-레닌주의를 내세우기 시작한다. 북한의 맑스-레닌주의는 스탈린의 맑스-레닌주의(스탈린주의)이다. 특히 당의 유일체제의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 중앙집권적 당이론, 프롤레타리아 독재이론, 군중노선 등의 이론들이 강조된 것이 특징이다.
(1). 우선 마르크스-레닌주의란?
마르크스주의의 뿌리는 18세기의 계몽사상, 고전 경제학, 마르크스 이전의 사회주의, 그리고 독일의 관념론 철학이었다. 마르크스는 ‘자본론’을 써서 자본주의의 폐해를 들춰냈고, 과학적으로 공산주의로 향하는 미래상을 전망하며 ‘과학적 사회주의 이론’을 주창했다. 그에 따르면, 역사는 단계적 발전의 과정을 밟아 최종적으로 ‘공산주의’에 귀결하게 된다. 이를 과학적으로 뒷받침 하는 것은 경제학적 분석을 통해 드러낸 ‘잉여가치’와 역사 유물론적 해석을 말한다.
그러나 한계가 분명했다. 마르크스는 역사의 단계적 발전론에 입각해, 원시공산제-노예제-봉건제-자본주의-사회주의로 나아가는 미래를 전망했지만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때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고, 레닌이 주도하는 볼셰비키가 ‘정권’을 이끌어가며 구체적인 방법론을 설정해나간다.
레닌은 마르크스주의가 태동한 시기와는 다른 시대에 그 이론을 적용해내기 위해 애썼다. 레닌은 좀 더 현실적인 사회주의를 만들기 위해서 마르크스의 과학적 사회주의 이론을 재해석하고 현실 정치에 적용했다.
그의 방법론은 공산주의를 실현시킬 모든 방법이 구체화되어 있어 많은 사회주의 체제 국가들의 이론적 지침으로 받아들여졌다. 레닌주의에서 출발하여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최종적으로 계승된다.
참고 자료
오경섭. 10대원칙 개정안의 주요 내용과 정치적 의미. 세종연구소. 정세와 정책 2013년 9월호
서재진. 2002. 북한의 맑스-레닌주의와 주체사상 비교연구: 체제형성에 미친 영향과 개혁〮개방의 논리를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김해인.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이행기. 노동사회과학연구소
박노자. 러시아혁명사. 나무연필 출판사
김창희. 2013. 북한의 통치이념 ‘김일성-김정일주의’ 분석. 한국정치연구소
진희관 ( Hee Gwan Chin ). 2014. 북한의 사상과 김일성-김정일주의 연구. 북한연구학회보, 18(2) : 1-25
김해현( ). 북한의 통치이념과 주체사상, 통일로 신년호.
장의관(2009). 북한의 통치이념과 주체사상, 통일교육원:북한이해.
전미영(2001). 김일성의 말, 그 대중설득의 전략. 책세상
박균열 강명진 외 4명, 2018.03.15, 북한의 정치와 사회, 328p, 경상대학교 출판
통일뉴스 2009.02.15 이계환 기자
송경호, 2008, 북한의 선군정치 추진실태와 향후전망, 치안정책연구소 안보대책연구실
궁민, 2006.7.12 선군정치란? Rudska1466.blog.me/130006277181
연합뉴스. 2010.06.07. 김정일 “국제사회 제재, 북 발전 못 막아”
동아일보. 2011.12.23. “단숨에 기질로 유훈 계승” 선군정치-강성대국 강조
연합뉴스. 2009.10.27. “강성대국, 선군정치 통한 경제성장이 핵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