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비교종교학] 기독교와 유교

"[비교종교학] 기독교와 유교"에 대한 내용입니다.
5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06.24 최종저작일 2003.06
50P 미리보기
[비교종교학] 기독교와 유교
  • 미리보기

    목차

    가. 서론

    나.한국 무속의 일반적인 이해
    1. 무속의 개념 이해
    2. 한국의 샤머니즘
    3. 한국 사머니즘의 주요 교리
    A . 우주관
    B . 신관
    C . 인간관
    D . 영혼관
    E . 내세관
    4. 샤머니즘의 특징
    A . 기복 신앙
    B . 윤리 의식의 결여
    C . 역사의식의 결여
    D . 혼합주의
    5. 무속의 기복 사상

    다. 성경에 나타난 축복 사상
    1) 축복의 의미
    2) 구약에 나타난 축복 사상
    3) 신약에 나타난 축복 사상

    라. 한국 교회에 나타난 축복 사상
    가. 부정적인 측면
    나. 긍정적인 측면

    마. 결론

    바. 참고 도서

    본문내용

    한국교회는 현대의 성장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와 흐름을 가져 왔다. 또한 의미는 다르지만 한국의 문화와 상황에 맞게 나름의 토착화의 과정을 지난 시간들 동안 계속해서 하여 왔다. 이러한 기독교의 성장과 변화에는 한국의 전통 종교들의 몫이 많은 작용을 하였다.
    한국 민중들의 종교는 시대와 역사의 흐름에 의해 다양한 변화를 보여 왔다. 불교가 그들을 지배하기도 하였고 유교가 그들을 지배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제는 기독교가 우세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교들이 그 본연의 모습을 갖고 한국 민중들 속에서 역사와 함께 내려 왔는지는 의문 스럽다. 왜냐하면 종교는 민족 문화의 특질을 이룰 뿐 아니라 그 민족의 세계관과 가치 체계의 기초를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파울 틸리히가 말한대로 특정 문화나 종교는 생성하고 사멸해 가지만 그 특정한 종교를 존재케했던 즉 유형을 결정하고 있는 요소는 거룩한것의 본질에 속해 있을 뿐 아니라 동시에 인간의 본 성속에 속해 있는 것이다.
    한국의 고대 신화에서부터 지금에 이르기 까지 외래종교가 한국민들의 삶에 많은 영향을 미쳐 왔음을 알수 있다. 역사 초기에 웅녀족과 중국의 이주민인 환웅족의 결합도 그러했고 신라 시대의 처용의 경우도 그러하다. 이러한 신앙의 유입과 한국민들의 신앙- 시베리아 지방에서 발생한 샤머니즘-은 결합을 하면서 점차로 현세적이고 기복적인 요소를 가진 한국 고유의 토착 신앙으로 자리를 잡게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사상적 기반위에 유입된 불교나 유교는 더욱 많은 이론적이고 철학적 사상을 샤머니즘에 제공울 허였을 것이고 결국은 유교나 불교아 오히려 샤머니즘에 의해 변형된 결과마저 낳게 되었다. 또한 샤머니즘은 기독교의 유입과 함께 불교나 유교의 불완전한 내세관에서 기독교의 확실한 내세관의 수용으로 더 한층 발전을 하게 되었으리라.

    참고자료

    · C.A. Clark. Religions of Korea. tjdnf: 서울: 대한기독교서회.1961.
    · C.베스터만. 장일선 역. 성서와 축복. 서울: 대한기독교서출판사. 1983.
    · Johanes Perderson. Israel : It Life and Culture. London.1926.
    · M. Eliade. Shamanism.문상희 역. 세계사상전집 48권. 서울: 삼성출판사.1979.
    · Maxie Dunnam. The workbook of Intercessory Prayer. 오성춘 역. 영적성장을 위한 기도훈련. 서울: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 출판국.1988.
    · 국어대사전. 서울: 삼성출판사.1989.
    · 기독교 대백과사전 제 8권. 서울: 기독교문사.1983.
    · 기독교 대백과사전 제 14권. 서울: 기독교문사.1984.
    · 김광일. 무속과 한국인. 풀빛 목회.1984.4.
    · 김광일. 한국 전통 문화의 정신 분석. 서울: 시인사.1987.
    · 김광일. 한국샤머니즘의 정신분석학적 고찰. 신경정신의학.1972.4.
    · 김기곤. 샤머니즘이 한국인의 기독교 신앙에 끼친 영향. 삼육대 논문집 제 14집. 1982.
    · 김영환. 한국 기독교 문화형성의 과제. 풀빛목회 제 30호. 1983.4.
    · 김의환. 성경적 축복관(1). 신학지남.1981.봄호.
    · 김인희. 한국문화와교육. 서울:이대출판부.1974.
    · 김인희. 한국인의 가치관. 서울: 문음사.1979.
    · 김정준. 히브리서.서울: 대한기독교서회.1964.
    · 김철손. 예수의 축복. 기독교사상.1977.1.
    · 김태곤. 무속상으로 본 단군신화.사학연구.1968.
    · 김태곤. 샤머니즘과 한민족. 새생명 제 9권 7호. 1969.
    · 김태곤. 샤머니즘의 현대적 의미. 원광대학교 민속 연구소. 1973.
    ·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서울: 집문당.1981.
    · 문상희. 샤머니즘과 기독교. 세계와 선교. 1974년 2월호.
    · 문상희. 한국의 샤머니즘. 서울: 보문 출판사.
    · 문상희. 한국의 샤머니즘. 종교란 무엇인가?. 왜관: 분도출판사. 1985.
    · 민경배. 한국기독교회사. 서울: 대한기독교 출판사. 1988.
    · 민경배. 한국의 제례종교. 성서와 기독교.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1985.
    · 민영진. 구약성서의 복- 구원과 평화의 관계하에서. 성서와 함께. 서울: 영 원한 도움의 성모회. 1988.1.
    · 박계홍편저. 한국민속학 개론. 서울: 형설출판사.1983.
    · 박아론. 한국교회와 한국사상. 신학지남. 1973.여름호.
    · 박윤선. 공관복음. 서울: 영음사. 1967.
    · 방인근. 교회안의 무교와 도교. 풀빛목회.1982.
    · 서광선. 부활신앙과 영성. 기독교사상. 1988.4.
    · 서광선. 한국기독교의 새인식.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 성서원어대전 제5권. 서울: 브니엘출판사.1986.
    · 성서원어대전 구약 제2권. 서울: 브니엘 출판사.1986.
    · 성서원어대전. 신약 제4권. 서울: 브니엘 출판사.1986.
    · 앤더슨. 채석봉 역. 구약성서의 이해. 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1981.
    · 오성춘. 영성과 목회. 서울: 장로회신학대학출판부. 1989.
    · 유동식.민속종교와 한국문화.서울: 현대사상.1987.
    · 유동식. 한국종교와 기독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5.
    · 유동식. 한국무교의 역사와 구조.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1978.
    · 이규태. 한국인의 의식구조 2. 서울: 신원출판사. 1983.
    · 이능화. 조선 <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