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경수, [장화와 홍련의 운명관],{도해 한국고소설의 동굴모티브 연구},(태학사,1999)
· 김태준, [장화홍련],{조선 300},(조선총독부,1940)
· 박필례, [장화홍련전 소고-작품 전개 계기로서의 동식물삽입에 대해],{숙대월보},(숙명여
· 대,1957)
· 하순철, [장화홍련전 소고],{청파}6권,(국제대,1978)
· 전성탁, [장화홍련전 연구],(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1975)
· 정연호, [장화홍련전 이본고-한글 필사본을 중심으로],(중앙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199?)
· 이어령, 장덕순, 정병욱 대담, [장화홍련전],{고전의 바다},(현암사,1977)
· 김관웅, [가정륜리소설 장화홍련전],{조선고전작가작품연구},(연변인민출판사,1985)
· 김기동, [가정비극의 전형-장화홍련전],{한국문학}통권20호,(한국문학사,1975)
· 김재용, [장화홍련전],{계모형 고소설의 시학적 연구},(서강대 박사논문,1991)
· 김재용, [계약행위의 연쇄로 본 장화홍련전의 구조와 변이양상],{정연찬선생회갑기념 국어
· 국문학논총},(탑출판사,1989)
· 이 희, [공상 속에서 충족된 외디프스 콤플렉스-장화홍련전],{문학사상}128,(문학사상
· 사,1983)
· 조현설, [남성지배와 장화홍련전의 여성 형상],{민족문학사연구}15,(민족문학사연구
· 소,1999)
· 김우종, [죄수를 위한 불망비-장화홍련전 재고],{현대문학}35,(현대문학사,1957)
· 김동기, [판소리계 장화홍연가에 대하여],{한국언어문학}19,(한국언어문학회,1980)
· 박정자, [장화홍련전],{국어국문학연구}3,(이화여대 국어국문학회,1961)
· 우쾌제, [장화홍련전],{한국고전소설작품론},(집문당,1990)
· 이헌홍, [장화홍련전},{고전소설연구},(일지사,1993)
· 우쾌제, [장화홍련전考],{한국고전소설론},(새문사,1990)
· 우쾌제, [장화홍련전考],{한국문학론},(일월서각,1981)
· 전성탁, [장화홍련전의 관련설화考],{석우논문집}2,(춘천교육대학,1974)
· 박태상, [장화홍련전의 구조적 의미],{고소설의 구조와 의미},(새문사,1986)
· 전성탁, [장화홍련전의 국한문본과 한문본의 내용 및 저작연대에 관한 고찰],{춘천교육대학
· 논문집}8,(춘천교육대학,1970)
· 김일렬, [장화홍련전의 두 의미층],{조선조소설의 구조와 의미},(형설출판사,1984)
· 이연재, [장화홍련전의 사회현상학적 고찰],{한국어문학탐구},(민족문화사,1983)
· 김태준, [장화홍련전의 연구],{삼천리}80,(삼천리사,1936)
· 김태준, [장화홍련전의 연구],{조선문학}5,(조선문학사,1933)
· 전성탁, [장화홍련전의 이본 고찰],{춘천교대논문집}16,(춘천교육대학,1976)
· 전성탁, [장화홍련전의 일연구-박인수 작 한문본을 중심으로],{국어교육}13,(한국국어교육
· 연구회,1967)
· 이성권, [장화홍련전의 판소리 사설적 성격],{고소설연구}7,(한국고소설학회,1999)
· 김기현, [장화홍련전의 한 이본-고대본 <장애홍연전>에 대하여],어문논집14 15,(고려대 국
· 어국문학연구회,1973)
· 김기현, [장화홍련전의 형성],{한국문학논고},(일조각,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