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권정생(1937-2007) 문학세계의 기저에는 작품 전반에 걸쳐 기독교 사상이 내재 돼 있음을 볼 수 있다. 동화와 소년소설, 에세이 등 그의 작품에서 연구자들은 공통적으로 기독교사상을 어렵지 않게 찾아내고 있는데, 그의 전기적 고찰은 이를 확연히 뒷받침해 주고 있다. 권정생 생애에서 전쟁으로 비롯된 가난과 질병, 죽음에 맞선 글쓰기로 문학적 성과를 낼 수 있던 근원적 힘, 반전?평화 통일의 추구, 물질문명과 기독교의 세속화를 비판한 문명비평가의 면모도 기독교 사상에서 출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연구자마다 권정생의 반전, 통일지향의식에 의한 평화 추구 의지가 작품에서 표방하는 경향성에는 별다른 이견이 없다. 그러나 그의 문학이 배태하고 있는 기독교 사상에 대한 인식은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예컨대 이오덕, 이재복은 권정생의 기독교 사상에서 자기 구원, 희생정신, 공존의식 등을 찾아내고, 이와 대동소이한 관점을 보이는 연구들이 초기 연구부터 십여 년 동안 있어 왔다.
그런데 2007년 임성규가 권정생 문학에 대해 “호교 문학의 속성을 초기 작품에서 보이나 후기에 와서 기독교를 비판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주는 그의 면모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어쩌면 그러한 철학 내지 사상의 변화야말로 초기 작품세계와 후기 작품세계를 변별하는 하나의 준거가 될지도 모른다.”라고 언급한 이후, 권정생의 기독교 사상에 대해 다각적 관점에서 깊이 있는 연구가 뒤따르고 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권정생의 기독교 사상을 민중신학적 관점에서 접근하기도 하고, 기독교 아나키즘의 관점에서 연구하기도 했다. 기독교 아나키즘의 관점은 권정생의 40년 가까운 문학 활동 기간을 망라해 작품 분석을 하고, 기독교 정신이 변화하고 있는 과정을 기독교 근본주의, 기독교 아나키즘, 생태 아나키즘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권정생,『똘배가 보고 온 달나라』, 창비, 1977.
· ――, 『몽실언니』, 창비, 1984.
· ――, 『초가집이 있던 마을』, 분도출판사, 1985.
· ――, 『점득이네』, 창비, 1990.
· ――, 『하느님의 눈물』, 도서출판산하, 1991.
· ――, 『우리들의 하느님』, 녹색평론사, 1996.
· ――, 『밥데기 죽데기』, 바오로딸, 1999.
· ――, 『또야 너구리가 기운바지를 입었어요』, 우리교육, 2000.
· ――, 『비나리 달이네 집』, 낮은산, 2001.
· 강성모, 『이 사람을 보라 본회퍼의 삶과 신학』, 나눔사, 2006.
· 권오만 외 『기독교와 한국문학』, 역락, 2000.
· 나병철, 『가족로망스와 성장소설』문예출판사, 2004.
· 남우희, 「권정생 문학에 관한 기독교적-脫기독교적 비평」, 성공회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 석사학위논문, 2013.
· 마리아니콜라예바,『아동문학의 미학적 접근』, 교문사, 2005.
· 박재순, 『열린 사회를 위한 민중신학』, 한울, 1995.
· 안병무, 『민중사건 속의 그리스도』, 한국신학연구소, 1989.
· ――, 『갈릴래아의 예수』, 한국신학연구소, 1990.
· 양연주, 『권정생 연구』, 단국대 문창과 박사학위 논문, 2010.
· 엄혜숙, 「권정생 문학 연구」, 인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S.프로이트. 『정신분석입문』민희식옮김, 거암, 1982년.
· 오길주,「권정생 동화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 원종찬, 『권정생의 삶과 문학』, 창비, 2008.
· ――, 『동화와 어린이』, 창비, 2004.
· 이오덕,『삶, 문학, 교육』, 종로서적, 1987.
· 이재복, 「참회와 용서의 문학」,『권정생의 삶과 문학』, 창비, 2008.
· ――, 『우리 동화 바로 읽기』, 소년한길, 1995.
· 이지호, 『동화의 힘, 비평의 힘』,주니어 김영사, 2004.
· 임성규,「권정생 아동문학의 흐름과 연구 방향」,『한국아동문학학회발표자료집』,2007.
· 장여옥, 「권정생 동화 연구」, 조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