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사정도구로서의 생애사 연구와 객관석 해석학에 관한 조사 연구 및 사례관리와 실제 사례예시에 대한 연구 분석 리포트A+

6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01.12 최종저작일 2014.01
61P 미리보기
사정도구로서의 생애사 연구와 객관석 해석학에 관한 조사 연구 및 사례관리와 실제 사례예시에 대한 연구 분석 리포트A+
  • 미리보기

    소개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사회복지실천론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목차

    1. 사정도구로서 생애사 연구와 객관적 해석학의 시사
    1) 객관적 해석학
    2) 생애사 연구

    2. 사례 재구성 사례예시
    1) 사회복지실천과 심리사회적 사정도구
    2) 여성·장애인 복지
    3) 다문화와 사회복지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사정도구로서 생애사 연구와 객관적 해석학의 시사

    1) 객관적 해석학
    객관적 해석학(Objective Hermeneutics)은 독일의 사회학자인 Ulrich Oevermann에 의해 발전되었으며, 사회학과 사회과학 분야가 측정가능한 것에만 몰두하는 미국의 양적 연구에 대한 비판과 대안으로 제시된 질적 연구 방법이다. 연구 방법(research method)으로 자료 분석과 해석의 절차를 발전시킨 객관적 해석학은 인간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주체의 행위와 상호작용 규칙에 의해 형성된 의미구조에 관심을 두었다(이효선, 2005). Mead의 언어 이론(theory of language), Searle의 규칙 개념(concept of rules)과 Peirce의 귀추법(abductive research logic)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객관적 해석학은, 특히 독일어권 나라에서 전문직 연구를 비롯한 종교, 미디어, 교육학, 사회복지학 등 많은 영역에서 분석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중 략>

    중도장애를 입게 되면 신체적 변화뿐만 아니라 여러 수준에서 한 사람의 전체 인생행로가 방해받는다는 의미에서 Bury는 중도장애의 경험을 인생역정의 혼란(biographical disruption)이라고도 하였다(임난영/한혜숙, 2004), 이렇듯 비장애인으로서의 삶을 영위하다가 갑작스러운 사고로 장애를 입게 된 중도장애인들은 자신의 신체적 변화에 따라 기존에 살아오던 생활방식을 변화시켜 새롭게 적응해야 하는 문제에 부딪히게 된다. 본 연구의 A, B, C사례도 역시 장애 직후에는 위기를 경험하지만, 각자의 자원을 활용하여 변화된 삶에 적응하며 살아가고 있었다. 이때 장애 이후 적응의 과정에서 이들의 행위를 선택하는 방식은 변화가 아닌 기존의 삶의 전략을 유지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장애로 인한 신체의 변화는 있어도 그들의 생활 패턴은 장애 이후에도 이전의 패턴을 유지하며 장애를 극복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삶의 전략은 세월의 역사를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황과 내용이 바뀌더라도 행동을 결정하는 기제로 작용해 개인의 삶의 패턴을 살필 수 있게 한다. 물론 내부적 변화와 외부와의 상호작용으로 삶의 전략이 변화 혹은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은 있으며, 만약 그렇다면 어떤 과정 속에서 이것이 형성되고 변화하는가를 설명해 주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참고자료

    · 이효선(2005).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질적연구-이론과 실제. 학현사.
    · Jindra, I. W., & Jindra, M.(1999). Objective hermeneutics and the sociology of religion: Ulrich Overmann’s model of religiosity,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Sociology of Religion(미간행).
    · Reichertz, H.(1997). Objektive Hermeneutik. in R. Hitzler & A. Honer(Eds.), Sozialwissenschaftliche Hermeneutik. Opladen: Leske and Budrich.
    · Oevermann, U., Tillman, A., Konnau, E., & Krambeck, J.(1987). Structures of Meaning and Objective Hermeneutics. In Volker Meja, Dieter Misgeld, Nicholas Stehr(Eds.), Modern German Sociology(pp. 436-447). New York: Colimbia University Press.
    · Steiner, P., & Pichler B.(2009). Objective Hermeneutics: methodological reflections on social structures in women’s lives. Psychology and Society, 2(1), 50-54.
    · 두산동아편집부(2008). 동아 새국어사전(제5판). 두산동아.
    · Aging Clinical Research Center(2004). Geriatric Depression Scale. http://www.stanford.edu/~yesavage/GDS.html
    · Adams, K. B., Matto, H. C., & Sanders, S.(2004).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The Gerontologist, 44(6), 818-826.
    · Dunn, V. K., & Sacco, W. P.(1989). Psychometric evalu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using an elderly community sample. Psychology and Aging, 4(1), 125-126.
    · Olin, J. I., Schneider, L. S., Eaton,, E. M., Zemansky, M. F., & Pollok, V. E.(1992),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n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s screening instruments in an older adult outpatient popul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4(2), 190-192.
    · Montorio, I., & Izal, M.(1996).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 review of its development and utilit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 Association, 8(1), 103-112.
    · Iglesias, G. H.(2004).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and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 study of homebound elders. Clinical Gerontologist, 27(3), 55-66.
    · Brown, L. M., & Schinka, J. A.(2005).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a 15-item Informant Version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 991-918.
    · Danzinger, K.(2003). Where history, theory, and philosophy meet: The biography of psychological objects. in Hill, D. B., & M. J. Kral. Albany(Eds.), About Psychology: Essay at the Crossroads of History, Theory, and Philosophy(pp.19-33).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Quine, W. V.(1969). Natural Kinds. in Quine, W. V.(Ed.), Ontological Relativity and Other Essays(pp. 114-138).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Zeman, J., Klimes-Dougan B., Cassano, M., & Adrian, M.(2007). Measurement issues in emotion research with children and adolescents.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4(4), 377-401.
    · Dean, R. G., & Poorve, N. L.(2008). Assessment and formulation: a contemporary social work perspective. Family in society, 89(4), 596-604.
    · Webb, S. A.(2002). Evidence-Based Practice and decision analysis in social work: an implementation model. Journal of social work, 2(1), 45-63.
    · Corcoran, J.(2003). Clinical applications of Evidence-based family interven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 Corcoran, J., & Nichols-Casebolt, A.(2004). Risk and resilience ecological framework for assessment and goal formation. Children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1(3), 211-235.
    · Yegidis, B. L., & Weinbach, R. W.(2006).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ers. Pearson Education, Inc.
    · Sheikh, J. I., Yesavage, J. A. Brooks Ⅲ, J. O., Friedman, L., Gratzinger, P., Hill, R. D., Sadeik, A., & Crook, T.(1991). Proposed factor structure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3(1), 23-28.
    · 김기홍(2006). 사회과학에서 몇 가지 이분법에 대한 재검토. 사회과학연구, 45, 224-247.
    · 김항규(1993). 과학적 방법 활용의 타당성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27(4), 1301-1319. 한국행정학회.
    · Coleman, R. H., Miles, L. E., Guilleminault, C. C, Zarcone, W. P., & van Der Hoed, J. et al.(1981). Sleep-wake disorders in the elderly: A polysomnographic 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9, 289-296.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Text Revision(DSM-IV-TR).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이효선(2011), 여성중도장애인들의 생애발달 의미에 관한 재구성 연구, 재활복지 15(1): 255-289
    · 이효선(2005).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질적연구-이론과 실제. 학현사.
    · Weick, K. E.(1979).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ing(2nd ed). Reading, MA: Addison-Wesley.
    · 이효선(2007). 파독 간호사의 생애발달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논총, 23, 153-180. 강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이효선(2007a). 생애사 연구를 통한 중도장애인의 삶의 재구성. 사회복지연구, 32, 299-330.
    · 이지연(2008). 기억을 그리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안효진(2009). 유•소년기 기억의 재인식에 의한 섬유조형 표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수철(2003). 위기상황과 위기대응 커뮤니케이션전략 선택에 관한 연구-군의 위기상황과 대응전략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전형권(2008). 국제이주에 대한 이론적 재검토: 디아스포라 현상의 통합모형 접근. 한국동북아농촌, 49, 259-284.
    · 장상희, 양미연(1999). 사회사이버스페이스에 나타난 성역할 이데올로기.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여성학연구 9-1, 55-78.
    · 조영달 등(2007). 다문화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인식 조사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 조혜자(2002). 비본질주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자아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7, 115-130. 한국심리학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