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내에서의기업규모와시장구조에따른기술개혁 성과에관한실증분석(슘페터이론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03.05.05
- 최종 저작일
- 2003.05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한국내에서의기업규모와시장구조에따른기술개혁 성과에관한실증분석(슘페터이론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정말 열심히 만든 레포트입니다. 물론 학점은 A+ 입니다.
국회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을 이용하면서 자료를 수집했고 각주및주석 참고문헌까지 깔끔하게 정리했습니다.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참고자료로는
곽수일외,「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기술협력방안」, 대한상공회의소 한국경제연구센터, 1991
김적교외, 「硏究開發과 市場構造 및 生産性」, 한국개발연구원, 1989
모리시마, 「사상으로서의 근대경제학」, 비봉출판사, 1995
신동휴,「한국에서의 기업규모와 시장구조의 기술혁신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1998
안영식,「한국제조업의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기술개발성과에 관한 비교연구」, 건국대학교, 1987
이공래, 「기술혁신이론 개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최광,「알기 쉬운 경제원리와 올바른 경제정책」, 비봉출판사, 1998
토드 부크홀츠,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김영사, 1994
이정도구요 이레포트는 제 이름을 걸고 보증하겠습니다.
모두들 건승하세요^^
목차
1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주제
2장 기술혁신과 연구개발의 개념
2.1 기술혁신
2.2 연구개발
3장 슘페터의 가설연구
3.1 기업의 기술개발에 대한 규모의 경제성
3.2 시장구조와 기술혁신
4장 우리나라 연구개발 현황
4.1 우리나라 연구개발 현황
5장 우리나라 기업규모와 시장규모가 연구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5.1 연구방법 및 대상
5.2 변수의 설정 및 모형의 설정
5.3 실증분석의 결과
5.3.1. 기업규모와 연구개발과의 관계
5.3.2. 시장집중도와 연구개발과의 관계
6장 결론
< 보 론 >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기술협력방안
< 참고문헌 >
본문내용
미시경제학을 공부하면서 가장 멋진 이론이라고 생각한 것이 바로 파레토최적이다. 하지만 이 이론은 완전경쟁 하에 있을 때에만 도달될 수 있다는 비현실적인 가정에 입각하고 있다.
사실「파레토최적」에서 가정하는 완전경쟁은 현실경제에서는 존재하지 않으며 사실상 존재할 수도 없다는 한계에 부딪히게 된다. 현실의 경제에서는 규모의 경제 및 기술진보와 그 밖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완전경쟁의 상태에 있기보다는 독점적 경쟁 혹은 과점의 상태에 놓여있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선진국으로부터 자본 및 기술의 도입을 통하여 독과점화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현실경제 하에서 소수의 대기업에 의한 독과점적인 시장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현실경제의 특징과 부합하여 슘페터는 크게 두 가지 주장을 하고 있다.
첫째, 기업의 기술개발에 대한 규모의 경제성과 관련해 기업의 규모가 크면 클수록 기업의 기술혁신적인 활동이 촉진된다고 주장하였다.
둘째, 경제구조가 독점적인 성격인 경우 그 시장에서는 시장의 지배력이 큰 기업일수록 기술혁신에 보다 적극적이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슘페터의 두 가지 주장을 우리나라 경제현실을 통해 분석해 본다면 지난 학기 정치경제학 강의를 수강하며 연구한 "1930년대 세계대공황의 재고찰을 통한 대공황의 재발가능성 검토"와 같이 경제이론을 단지 두꺼운 경제학원론 책에서 배우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부족하지만 현 경제상황과 접목시켜 보고자 하는 내 소망에 부합되는 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는 우선 기업규모의 정의방법, 시장구조의 분석방법, 기술혁신의 정도를 나타내 줄 수 있는 데이터의 결정 및 수집해야 할 것이다.
이번 레포트는 우리나라에서의 기업규모와 시장구조에 따른 기술개발 성과간의 연관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기업규모가 커지면 보다 더 활발한 기술개발 활동이 이루어지는지 혹은 그 반대의 입장인지, 시장구조 즉 시장 집중도와 연구개발과의 관계를 규정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