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형일, "사교육비 해소와 학교교육의 정상화," 한국교육비전 2020: 교육전략 교육정책 토론
· 회, 한국교육개발원, 1998.
· 고형일 외, "2002학년도 이후의 입학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1998. 교육부 교육정책 연구보고
· 서(http://www.moe.go.kr/bbs/bbs_25/pds/1_Fin7312.hwp)(공동연구원: 김기수, 박덕제, 성
· 대제)
· 공은배·백성준, 『한국교육투자의 실태와 수익률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1994
· 교육부, "교육발전 5개년 계획," 1999.3.
· 교육부, "2002학년도 대학입학시험제도 개선안", 1998.10
· 교육부, "교육비전 2002: 새 학교문화 창조", 1998.10
·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과정(I)』,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별책 4],
· 1997.
· 김기수, 『아직 과외를 그만두지 마라』, 민음사, 1997,
· 김민남, "교사와 아이들이 마음껏 숨을 쉬는 교육현장을 만들어내는 길밖에 없다. 교육개
· 혁 국민대토론회 - 제2의 교육입국을 위한 새 학교문화 창조 -, 새교육공동체위원회, 1998.11.28
· (http://www.newedu.go.kr/board/view_boardata.cgi?board_list=19&serial=144&page=1)
· 노응원, "선다형 검사의 효율적 학습 및 진실응답 유발 채점제도," 경제논집, 제11권, 1995.
· pp.85-101, 충남대학교 경상대학 부설, 경영경제연구소.
· 노응원, "교육평준화의 효과와 교육최적화 대책," 경제논집, 제9권, 1993. pp.205-240, 충남
· 대학교 경상대학 부설, 경영경제연구소.
· 박승록·김정호, "사교육비 지출의 국민경제적 효과," 삼성경제연구소, 1997.
· 백성준, 『학교·학급 적정화와 재정 대책』, 한국교육개발원, 1997,
· 부정방지대책위원회, 과열과외 실태 및 방지대책, 1994.9(보고서 제 13집)
· 윤정일. "사교육비 개념, 증가 원인 및 대책," 『소비자문제연구』, 제19호, 1997.
· 윤정일 외, 『과외실태 조사연구』,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1997.
· 임연기, "교육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결과," 1998, 한국교육개발원.
· 조난심 외, "제6차 교육과정에서의 중등학교 수준별 수업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5
· 천세영, "'사교육비 절감방안'에 관한 토론," 교육개혁 국민대토론회 - 제2의 교육입국을 위한 새
· 학교문화 창조 -, 새교육공동체위원회, 1998.11.28
· 통계청, 『1996년 사회통계조사보고서: 문화와 여가·교육부문』, 1997
· 한국소비자보호원, 『사교육비 지출실태 및 경감방안』, 1997.5
· Dore, R., "Reflections on the diploma disease twenty years later," Assessment in
· Education, Vol. 4, No.1, 1997, pp.189-206.
· Dore, R., Diploma Disease: Educational Qualification and Development, University of
· California Press, 1976, 이건만·김성학 역, 『졸업장 열병』, 양서원, 1992.
· Lewin, K., "The sea of items returns to China: backwash, selection and the diploma
· disease revisited," Assessment in Education, Vol. 4, No.1<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