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청소년과 교우관계 왕따를 중심으로

"청소년과 교우관계 왕따를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1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10.23 최종저작일 2013.08
17P 미리보기
청소년과 교우관계 왕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목차

    Ⅰ. 서어

    Ⅱ. 친구(또래)관계의 의의
    1. 또래관계의 정의
    2. 친구관계 형성의 원인
    3. 또래관계의 분류
    4. 친구관계의 성차

    Ⅲ. 우정의 발달
    1. 우정의 발달 단계
    2. 관계 맺기의 단계
    3. 동조성

    Ⅳ. 집단따돌림-왕따
    1. 들어가며
    2. 집단 따돌림의 정의
    3. 집단 따돌림 특성과 예방의 어려움
    4. 집단 따돌림의 유형
    5. 집단 따돌림의 예방책
    6. 집단 따돌림의 해결책

    본문내용

    또래관계가 빈약하면 이후의 성장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품행장애, ADHD, 반항성 장애, 반사회적 성격장애 등의 진단 준거 목록에도 부적절한 또래관계가 포함되어 있고, 정신 질환이 있는 성인들의 회고 연구에서도 아동기에 사회적 관계에 문제가 있었다고 보고되었으며, 예언적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에서도 아동기에 또래관계가 빈약하면 이후에 사회적 낙오, 학업수행의 저조, 정서적 어려움, 반사회적 행동을 할 것이라는 예언을 확인했다. 이와 같이 아동기에 긍정적 또래관계를 건강한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촉진하는 반면, 또래관계에서의 만성적 어려움은 현재와 미래의 적응 및 행동 문제를 예언하기 때문에 임상가, 교사 미 아동을 대상으로 일을 하는 사람들은 아동의 사회적, 정서적 기능을 평가할 때 또래관계를 중시하고 있다. 이처럼 친구 관계는 과거에서 현재, 미래에 이르는 청년의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보고서에서는 친구 관계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또한 오래전부터 왕따 문제와 관련된 뉴스가 늘 중요한 이슈다. 학교폭력과 더불어 매우 위험한 청소년 문제로서 많은 학자들과 사회단체들이 해결책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그 영향은 미미한 수준이다. 교우관계와 관련된 왕따 문제를 살펴보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도록 한다.

    Ⅱ. 친구(또래)관계의 의의

    1. 또래관계의 정의
    또래에 관한 정의는, 사전에는 ‘서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고 설명되어 있지만, 발달심리학에서는 ‘사회적 동년배’ 또는 ‘최소한 그 순간에는 행동의 복합도가 유사한 수준에서 상호작용하는 개체들’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지난 30여 년 동안 임상 및 발달심리 분야에서는 또래 상호작용이 아동의 사회적, 정서적, 그리고 인지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급증하고 있다.

    참고자료

    · 송영혜, 또래관계 : 진단과 치료, 집문당, 2007
    · 최순영, 인간의 사회 성격 발달심리, 학지사, 2003
    · Phil Erwin, 박영신 옮김,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친구관계, 시그마프레스, 2001
    · 이옥형, 아동 청년 발달, 집문당, 2002
    · 구본용, 청소년 집단 따돌림의 원인과 지도방안, 따돌리는 아이들 따돌림 당하는 아이들, 청소년 대화의 광장, 1997
    · 최윤정, 진혜경, 김종원, 학령기 집단 따돌림 피해 및 가해아동의 인격적 성향에 관한 연구, 소아, 청소년 정신의학, 2001
    · 김문조, 집단 따돌림(왕따)발생의 사회. 문화적 접근, 집단 따돌림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교원대학교 종합연수원, 1999(미발간), 박진규, 청소년 집단 따돌림(왕따)현상에 대한 사회. 문화적 분석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99에서 재인용
    · 이혜영, 김영철, 학생의 집단따돌림에 대한 대책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 이동훈, 교사가 자각한 ADHD아동의 또래, 교사, 부모 관계 특성, 재활심리연구, 2011
    · 김순구, 김영혜, 김명희, 중고등학생의 집단따돌림 극복 과정, 대한간호학회지, 2004
    · 서미경, 김경연, 집단따돌림 피해의 유발 및 지속요인, 한국청소년연구, 2008
    · 김순구, 이미련, 청소년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아동간호학회지, 2006
    · 청혜경, 김경희, 학교청소년이 지각하는 집단 따돌림에 대한 연구초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2001
    · 김영필, 집단따돌림에 대한 하나의 대안 : 철학상담, 새한철학회, 2005
    · 연구보고서, 외톨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부적응,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2000
    · Shantz, C. U., ‘The development and meaning of psychological distance’, 1993
    · McAdams, D. P. and Losoff, M., ‘Friendship motivation in fourth and sixth grader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984
    · Mash, E., Assessment of Childhood Disorder, Guilford Press, 1997
    · Suomi, S. J. Harlow, H. F., ‘Social rehabilitation of isolate reared monkeys’, Developmental Psychology, 1972
    · Higley, J. D., ‘Peers as primary attachment sources in yearling rhesus monkeys’ 1992
    · Hartup, W. W., ‘Peer relations in P. M. Hetheringto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1983
    · Brownell, C. A., ‘Peer social skills in toddlers’, Child Development, 1990
    · Doise Mugny,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 intellect’, Oxford, 1984
    · Sebald White, ‘Teenager’s divided reference groups : uneven alignment with parents and peers’, Adolescence, 1980
    · Wasserstein, S. B., ‘Can peer support buffer against behavioral consequences of parental disorder ’, Child Psychiligy, 1996
    · Quay, H. C., ‘Interim manual for the Revised Behavior Problem Checklist’, University of Miami, 1983
    · Whiting, ‘Children of different worlds’, Cambridge, 1988
    · Serbin, L. A., ‘Shaping cooperative crosssex play, Child Development. 1977
    · Smith, A. B., ‘The relationship of classroom organization to crossage and crosssex friendships’, Educational Psychology, 1990
    · Fine, G. A., ‘The natural history of preadolescent male friendship groups’, Chichester, 1980
    · Dunphy, D. C., ‘The social structure of urban adolescent peer groups’, Society, 1963
    · Selman, R. L., The development for childrens friendshi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 Rotenberg, K. J., Development of children’s restrictive disclosure to friend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995
    · Laursen, B., Conflict and social interaction on adolescent relationships,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995
    · Costanzo, P. R. Shaw, M. E.(1966), Conformity as a function of age level, Child Development,
    · Olweus, D. (1978). Aggression in the schools: Bullies and whipping boys. WashingtonD.C.: Hemisphere(Wiley).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