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한류를 보도하는 미디어 프레임에 대한 비판(SM 엔터테인먼트의 파리 공연보도를 중심으로)

"한류를 보도하는 미디어 프레임에 대한 비판(SM 엔터테인먼트의 파리 공연보도를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3.10.09 최종저작일 2013.08
6P 미리보기
한류를 보도하는 미디어 프레임에 대한 비판(SM 엔터테인먼트의 파리 공연보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목차

    1. 시작하며
    2. 공중파 연예정보 프로그램 분석
    3. 해외 언론반응 분석
    4. 한류를 바라보는 국내 미디어 프레임에 대한 비판
    5. 결 론

    본문내용

    1. 시작하며

    1) 서 론

    미디어는 우리의 시각을 결정하고 구체화하는데 있어 거의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그러나 현상을 인식하고 바라보는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미디어 프레임이 현실과 다른 관점을 유지하고 있다면 이는 수용자들에게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현실과 동떨어진 인식이 형성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현재, 한류를 바라보는 미디어들의 시선 역시 이와 별반 다를 바 없다. 무비판적이고 낙관적인 기조에서 바라보는 한류는 결국 한류라는 현상의 발전이 아닌 제자리걸음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그러므로 이를 막고 제2·제3의 뉴웨이브로서 한류가 전 세계를 뻗어 나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한류를 바라보는 이성적인 시각 및 냉철한 분석이 시도되어야 함이 옳다. 기본적으로 발표는 위와 같은 관점에서 진행될 것이며, 대표적으로 2011년 6월 11일에 프랑스 파리에서 SM엔터테인먼트 주최로 열린 대규모 한류 공연 사례를 바라보는 국내외 미디어들의 시선을 교차 분석하여 한류에 대한 시사점 및 비판, 발전적 대안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 략>

    1) 내셔널리즘+국가산업을 바라보는 기존 프레임의 상호 결합

    공중파 방송이 한류라는 사안을 겉핥기식으로 다뤘던 것과는 달리, 주요 일간지 등에서는 좀 더 분석적이고 세밀한 논조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류를 바라보는 시각은 보수적 성향·진보적 성향의 신문 및 공중파를 막론하고 거의 동일한 접근을 이뤄내고 있었으며, 그와 같은 기저에는 내셔널리즘과 기존의 국가산업을 바라보는 프레임이 상호 결합된 측면이 없잖아 있었다.
    조선일보의 ‘생필품 팔던 한국, 문화로 서구 선진국을 사로잡다’라는 기사 내용을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현재 한류는 산업적 측면에서 주로 접근되고 있으며, 동시에 한류로 인한 국격 상승 및 민족적 자긍심 고취 등이 기사에 매번 빠지지 않고 나오는 것은 결과적으로 기성 미디어들의 프레임이 20세기적 사고방식에 갇혀 있다는 이야기와 다를 바 없다.

    참고자료

    · 기 소르망, 『열린세계와 문명창조』, 박선 역, 서울 : 한국경제신문사, 1998.
    · 이경숙, 「한류 열풍과 공영방송 드라마」,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한국방송학회, 2004.
    · 한윤경, 「한류의 파급현황과 문화산업적 의미에 대한 시험적 고찰 : 한류의 산업적 측면에 대한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석사 학위논문, 2005.
    · 서유환, 「100대 한류 디자인 문화 분류 및 산업적 활용 방안」,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2, No.4,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6.10.
    · 온라인 뉴스팀, 「카라, 日서 드라마 ‘URAKARA(우라카라)’출연」, 『C.NEWS』, 2010.11.9,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1011091049014860758, 2012.5.25.
    · SMart Lee, 「한류와 한류우드」, 『네이버 블로그』, 2008.3.9, http://blog.daum.net/jkleesmart/10806026, 2012.5.24.
    · 봉성창, 「영웅재중, 등장하는 트위터드라마,日서 선풍적인기」, 『JD.NETKOREA』, 2010.4.30, http://www.zdnet.co.kr/news/news_view.asp?artice_id=20100430093355&type=det, 2012.5.25.
    · 온라인 뉴스팀, 「소녀시대, 일본 목캔디 CF 모델로 발탁」,『C.NEWS』, 2011.2.21,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1102211646066300228, 2012.5.25.
    · 강수진, 「프랑스 ‘르몽드’, ‘르피가로’ 한류 집중 소개!」, 『경향닷컴』, 2011.6.10,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106100944231&code=970205, 2012.5.26.
    · 무명씨9(닉네임), 「SM 파리공연, 프랑스 르몽드 기사 번역」, 『가생이닷컴』, 2011.6.11,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ember_translation&wr_id=59347, 2012.5.23.
    · 무명씨9(닉네임), 「SM 파리공연, 프랑스 Le Figaro 기사 번역」, 『가생이닷컴』, 2011.6.11,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ember_translation&wr_id=59360&sca=&sfl=wr_name%2C1&stx=%EB%AC%B4%EB%AA%85%EC%94%A89&sop=and&w10=, 2012.5.23.
    · 이태호, 「SM 파리공연은 한류 쾌거? <르몽드>는 아니네」, 『오마이뉴스』, 2011.6.13,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1580891&CMPT_CD=P0001, 2012.5.25.
    · Lucy Williamson,「The dark side of South Korean pop music」, 『BBC』, 2011.6.14, http://www.bbc.co.uk/news/world-asia-pacific-13760064, 2012.5.23.
    · 부수정, 「BBC의 `K팝 노예 계약` 비판은 `독` 이 아닌 `약`」, 『한국경제』, 2011.6.17.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1061767537, 2012.5.23.
    · Par Philippe Mesmer, 「La vague pop coreenne gagne l'Europe」, 『Le Monde』, 2011.9.11.
    · Falletti Sebastien, 「La vague coreenne deferle sur le Zenith」, 『Le Figaro』, 2011.9.11.
    · 양해림, 「문화의 교류와 한류문화(hallyu culture) 그리고 그 미래 -문화의 자본화와 탈상업주의화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Vol.86, No.0,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 이해영, 「日 CF 전문가가 말하는 한류스타 장단점?」, 『제이피뉴스』, 2012.05.25, http://www.jpnews.kr/sub_read.html?uid=10811§ion=sc1§ion2=연예, 2012.5.24.
    · SBS, 「한밤의 TV연예 소개」, 『SBS』, http://wizard2.sbs.co.kr/w3/template/tpl_freetype.jsp?vVodId=V0000287603&vProgId=1000012&vMenuId=1007149, 2012.5.2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데터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