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계수. “프로세스 품질경영 성과개선을 위한 6시그마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품질경영학회지」, 제27권, 제4호, 1999, pp.266-279.
· 김수욱 외.「서비스 운영관리」, 서울 : 한경사, 2007.
· 노재범. “서비스산업 체질개선을 위한 6시그마 전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06.
· 노재범 외.「서비스 이노베이션 엔진 6시그마」, 서울 : 삼성경제연구소, 2005.
· 뉴스와이어. 2005년 5월13일자.
· 문화일보. 2007년 6월29일자.
· 박상욱 외.「서비스산업의 6시그마 추진전략」, 서울대경영정보연구소, 2006.
· 박성현 외.「6시그마 혁신전략 : 서비스산업과 사무간접 부분을 중심으로」, 서울 : 네모북스, 2005.
· 박재천 외. “새로운 통신환경에 대비한 정보통신 정책 연구,” 정보통신 정책개발, 04-정책-18, 2005.
· 삼성경제연구소.「6시그마 Black Belt Training Manual」, 2002.
· 서울파이낸스. 2007년 5월29일자.
· 신동설. “블랙벨트를 통해 본 6시그마 성공의 핵심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1.
· 안병진 외.「6시그마 경영 수행기법」, 서울 :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0.
· 안영진.「서비스 6시그마」, 서울 : 박영사, 2004.
· 윤양석 외.「서비스 6시그마 101」, 서울 : 네모북스, 2005.
· 이건창 외. “6시그마 경영활동으로 인한 기업경쟁력 향상에 관한 실증연구,”「경영학연구」, 제33권, 제6호, 2004, pp.1735-1756.
· 이범재. “6시그마 성공 결정요인이 품질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 이재식. “6시그마 경영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생산성논집」, 제20권, 제1호, 2006, pp.101-126.
· 장대성 외. “한국서비스산업의 6시그마기법 시행과 그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품질경영학회지」, 제32권, 제1호, 2004, pp.1-20.
· 최성용. “한국서비스기업의 6시그마에 관한 연구,” 서울여대사회과학연구소. 2006.144 POSRI경영연구 제10권 제2호 2010
· 홍성훈 외. “6시그마 성공사례,”「품질경영학회지」, 제27권, 제3호, 1999, pp.202-208.
· Atuahene-Gima, K. “Differential Potency of Factors Affecting Innovation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and Services Firms in Australia,”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13, 1996, pp.35-52.
· Blakeslee, Jr. “Implementing the Six Sigma Solution -How to Achieve Quantum Leaps in Quality and Competitiveness,” Quality Progress, July, 1999, pp.77-85.
· Brouwer, E. “Into Innovation: Determinants and Indicator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Amsterdam, Utrecht : Drukkerij Elinkwijk., 1997.
· Cohen, W., and D. Levinthal,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5, No.1, 1990, pp.128-152.
· Cooper, R. G., and U. de Brentani. “New Industrial Financial Services : What Distinguishes the Winner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Vol.8, No.2, 1991, pp.75-90.
· Defoe, J. “Six Sigma: Road Map for Survival,” HR Focus, 76, July, 1999, pp.8-15.
· Ebling, G. C. “Innovationsaktivitaten im Dienstleistungssektor-Ergebnisse der Innovationserhebung 1997,” Innovationsaktivitaten in der Deutschen Wirtschaft, Baden-Baden, 1999, pp.99-223.
· Govindarajan, V., and A. K. Gupta. “Strategic innovation: A Conceptual Road Map,” Business Horizons, July-August, 2001.
· Hahn, G., Hill, W. J., and R. W. Hoerl. “The Impact of Six Sigma Improvement Glimpse into the Future of Statistics,” American Statistician, August, 1999, pp.205-215.
· Harold, D. “Designing for Six Sigma Capability,” Control Engineering, January, 1999, pp.62-69.
· Harry, M. J., and R. Schroeder. “Six Sigma: The Breakthrough Management Strategy Revolutionizing the World’s Top Corporations,” Doubleday, 2000.
· . “Six Sigma,” Kindle Book, 2004.
· 통신서비스업의 6시그마 혁신 : SK텔레콤 사례 연구 145
· Hendricks, C. A., and R. L. Kelbaugh. “Implementing Six Sigma at GE,” Journal of Quarterly and Participation, July-August, 2000, pp.48-53.
· Islam, K. A. “E-Learning : Gaining Business Value Through Six Sigma,” Chief Learning Officer, January, 2004, pp.28-33.